• 최종편집 2024-06-02(일)

전체기사보기

  • 문재인 정부, 2025년까지 160조원 투자해 190만개 일자리 창출하겠다...
    문재인 정부, 2025년까지 160조원 투자해 190만개 일자리 창출하겠다... 기획재정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공개디지털 뉴딜 58.2조, 그린 뉴딜 73.4조, 안전망 강화 28.4조추진력 확보 위해 대통령 주재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 발족 14일 기획재정부가 공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보면, 한국판 뉴딜은 안전망 토대 위에 디지털·그린 뉴딜이 추진된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에 대해 “위기 극복과 코로나 이후 글로벌 경제 선도를 위한 국가발전전략”이자 “우리 경제·사회를 새롭게(New) 변화시키겠다는 약속(Deal)”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불평등 사회에서 포용사회로 전환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한국판 뉴딜에는 안전망 강화와 디지털·그린 뉴딜에 올 추경을 포함해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이 투자된다. 이가운데 정부의 재정 투입은 114조1천억원이며, 지방자치단체가 25조2천억원을, 민간기업이 협업을 통해 20조7천억원을 부담한다. 우선 디지털 뉴딜은 2025년까지 58조2천억원을 투입해 디지털 경제 전환과 사회간접자본(SOC)의 디지털화 등을 통해 90만3천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핵심 프로젝트에는 공공데이터 14만개를 공개해 ‘데이터댐’을 구축하고 5G·AI 기반의 지능형 정부 전환 등을 위해 38조5천억원을 투자하는 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가 가장 크다. 또 온라인·오프라인 융합학습과 스마트병원 구축 등 비대면 산업을 육성(3조8천억원), 도로·항만 등 사회간접자본(SOC)과 인프라를 디지털화(15조8천억원) 등도 핵심 프로젝트로 꼽힌다. 그린 뉴딜은 녹색산업 생태계 지원과 향후 탄소 배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73조4천억원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공공임대주택, 어린이집 등 노후건축물의 그린 리모델링을 비롯해 생활 인프라 시설의 녹색 전환(30조1천억원),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등을 통한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35조8천억원), 생물소재 산업 육성과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등을 통한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7조6천억원) 등이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드러난 고용·사회안전망의 취약성을 강화하고 미래형 인재 육성을 위해 28조4천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고용보험 가입대상을 2025년까지 2100만명으로 확대하는 등 고용안전망 강화에 12조2천억원을 투입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하는 등 기초생활보장 제도 개편과 상병수당 도입 등으로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데 11조8천억원을 투입한다. 여기에 AI·SW 핵심인재 10만명 양성 등 미래 고용시장·변화에 맞춘 사람 투자에도 4조4천억원이 투자된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를 발족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매달 1∼2회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 당정추진본부도 신설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정위의장이 공동으로 추진본부장을 맡는다. 기재부는 “한국판 뉴딜은 협업과 실행이 관건”이라며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강력한 추진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Politics
    2020-07-15
  • 내년 최저임금 8천720원 ...'역대 최저' 1.5% 인상
    내년 최저임금 8천720원 ...'역대 최저' 1.5% 인상 내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한 가운데, 노동계는 올해보다 16.4% 올린 시간당 1만원을, 경영계는 2.1% 삭감한 시간당 8410원을 요구했다. 1일 최저임금위원회(위원장 박준식)는 정부서울청사에서 4차 전원회의를 열어 2021년 최저임금에 관한 본격 심의에 착수했다. 최저임금 심의는 노사가 낸 최초 요구안의 격차를 좁히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양쪽은 이날 처음으로 최저임금 요구안을 각기 내놨다.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30원, 1.5% 오른 8,720원으로 결정됐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전원회의의 밤샘 심의 끝에 표결로 내년도 최저임금을 시급 기준 8,720원으로 의결했다.또 인상률 1.5%는 지난 1988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후 역대 최저 인상 폭이다..
    • NEWS & ISSUE
    • Labor
    2020-07-15
  • [단독] Moxa, 뉴 노멀 시대 위한 산업용 사이버 보안 강화
    [단독] Moxa, 뉴 노멀 시대 위한 산업용 사이버 보안 강화
    • NEWS & ISSUE
    • Social
    2020-07-14
  • [단독] 디지서트, 프로스트앤설리번의 TLS 인증서 시장 부문 ‘2020 올해의 글로벌 기업’ 선정
    [단독] 디지서트, 프로스트앤설리번의 TLS 인증서 시장 부문 ‘2020 올해의 글로벌 기업’ 선정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Sullivan)이 전송계층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TLS) 인증서 시장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디지서트(DigiCert)에 ‘2020 올해의 글로벌 기업상’을 수여했다. 디지서트는 새로운 표준의 채택을 지원하고 업계 최고의 최신 공개키기반구조(PKI) 기술을 지속적으로 혁신하며 비즈니스 성장 측면에서 강력한 시장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TLS/SSL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함께 디지서트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장치 보호 및 양자 내성 암호(Post-Quantum Cryptography, PQC)의 개발과 같은 새로운 보안 기술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디지서트는 이러한 기술의 개발과 새로운 보안 활용 사례를 처리하기 위한 기준을 정의함으로써 인터넷 보안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프로스트앤설리번의 스웨타 크리슈나무르티(Swetha Krishnamoorthi) 산업 애널리스트는 “디지서트는 뛰어난 기술력과 이러한 기술의 현지화 그리고 업계 최고의 고객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포춘 500대 기업의 89%와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는 브랜드들로부터 인정받아 왔다”며 “디지서트는 이전 시만텍(Symantec)의 TLS 및 PKI 비즈니스의 기술력을 성공적으로 통합해 파트너와 고객에게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제품 포트폴리오와 확장성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서트의 인증과 관리 도구는 다양한 기업의 요구사항과 활용 사례를 지원하며 표준 TLS부터 구글 앰프(Google AMP) 및 자연인, 법인, 웹 인증(QWAC)에 관한 유럽연합(EU) 공인 자격 인증과 같은 규정별 활용 사례를 망라한다”고 말했다. 이어 “클라우드 기반 코드 서명, 원격 문서 서명, IoT 기기 인증 호스트 및 암호화 시나리오, 대기업 보안 원격 액세스, 보안 이메일 등 많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은 디지서트 서트 센트럴 TLS 매니저(DigiCert Cert Central TLS Manager)를 이용해 자동화 방식으로 인증서를 발급, 확인, 갱신, 취소할 수 있다. 직관적인 UI가 특징인 서트센트럴은 모든 규모에서 쉬운 인증 관리를 위한 API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다.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최신 디지서트 원(DigiCert ONE) 플랫폼은 디지서트 엔터프라이즈 PKI 매니저(DigiCert Enterprise PKI Manager) 및 디지서트 IoT 디바이스 매니저(DigiCert IoT Device Manager)를 포함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국가 내 및 하이브리드 환경과 같은 모든 유형의 인증서 배포 작업의 관리를 지원한다. 디지서트는 세계 최대의 웹 플랫폼 기업들을 위한 대규모 설치, 현지 중심 배포 및 대량의 신속한 인증서 등록을 지원하기 위해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해 왔다. 또한 애자일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경쟁사보다 빠르게 변경사항 및 제품 업데이트 배포가 가능하다.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디지서트는 기업에서 자체 시스템 내 테스트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증서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업계 최초의 PQC 툴킷(toolkit)을 개발했다. 디지서트는 산업 표준 및 규제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새로운 표준 수립과 지원을 진행하고 있고 CA/브라우저 포럼, IETF, W3C, ASCX9, PCI 협의회, SAE, 케이블 랩스(Cable Labs), CI+, 에어로 맥스(Aero MACS), 윈 포럼(Winn Forum), 산업 인터넷 컨소시엄 (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APWG 및 NIST NCCoE를 포함해 소비자에게 안전한 인터넷과 IoT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크리슈나무르티 애널리스트는 “디지서트는 다각화된 혁신 방법을 통해 안정성, 확장성, 복원성 그리고 더 빠른 고객 대응 시간을 약속하는 하이퍼컨버지드, 애자일 인프라를 개발해 왔다”며 “사용자 경험과 제품 개발에 대한 고객 우선의 접근 방식에 역점을 두고 있는 디지서트는 장기적 관점에서 디지털 인증서 시장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매년 프로스트앤설리번은 부문 내 성장 전략과 실행에 있어 탁월한 성과를 보인 조직에 올해의 기업상을 수여한다. 이 상은 고객 가치와 시장 침투 측면에서 제품 및 기술 바탕의 고도의 혁신성 그리고 그에 따른 리더십을 구축한 기업에 대한 인정의 의미로 수여되고 있다. 프로스트앤설리번 베스트 프랙티스 상(Best Practices Awards)은 리더십, 기술 혁신, 고객 서비스 및 전략적 제품 개발과 같은 영역에서 뛰어난 업적과 탁월한 성과를 거둔 다양한 지역 및 글로벌 시장의 기업에게 수여 된다. 산업 애널리스트들은 업계의 베스트 프랙티스를 파악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와 분석, 폭넓은 2차 조사를 통해 시장 참여 기업을 비교하고 성과를 측정한다.
    • NEWS & ISSUE
    • Economy
    2020-07-14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