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ON AIR
-
- [단독] 4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 프러스 ,1인당 최대 1천만원 받을수 있다.
- [단독] 4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 프러스 ,1인당 최대 1천만원 받을수 있다. 정부가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15조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현금 지원 총액은 8조 1천억원이다.'소상공인·고용취약계층 긴급 피해지원금' 항목이다. 이 중 대부분인 6조 7천억원이 집합 금지와 제한 등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에게 지급되는 '버팀목자금 플러스'다.현재 지급이 진행 중인 3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 규모가 4조 1천억원이었는데 이번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그보다 2조 6천억원이나 늘었다.기존 버팀목자금 지급과 관련해 지적됐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형평성 또한 높이면서 지원 대상 사업체 범위가 기존 280만 개에서 385만 개로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다.3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은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른 '소상공인'을 지급 대상으로 함에 따라 종업원이 5명 이상인 사업체는 받지 못했다.◇4차 지원금 지급 대상 사업체, 3차 지원금보다 105만 개 늘어소상공인기본법의 '상시 근로자 수' 기준이 광업과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을 제외한 업종의 경우 '5인 미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4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지급 대상이 '중소기업기본법'상 '소기업'으로 넓어졌다.소기업은 상시 근로자 수 기준이 없어 5인 이상 사업체도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급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9만 8천 개 업체가 지급 대상에 새로 포함된다.다만, 소기업에는 매출액 기준이 적용되는데 대표적인 소상공인 업종인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연 매출액이 10억원을 넘으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반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연 매출액 30억원까지 지급 대상이 될 수 있다.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외에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에 적용되는 연 매출액 한도 또한 기존 '4억원 이하'에서 '10억원 이하'로 상향됐다.◇종업원 '5인 이상'도 지원, 일반업종 매출 한도 10억으로 상향이에 따라 24만 4천 개 업체가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지원받는 일반업종에 추가된다.3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이 확정된 지난해 12월 이후 새로 창업한 업체도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급 대상이 되는데 정부는 그 규모를 33만 7천 개로 예상했다.이와 함께 정부는 이번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원 유형을 이전 버팀목자금보다 세분했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원 내용. 기재부 제공 버팀목자금은 '집합금지'와 '집합제한' 그리고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 3개였지만, 방역 조치 강도와 피해 정도를 고려해 집합금지와 일반업종을 각각 두 개로 나눴다.집합금지 경우 올해 들어서도 금지 조치가 지속하면 '집합금지(연장)'으로, 금지 조치가 제한 조치로 하향됐으면 '집합금지(완화)'로 분류된다.일반업종은 업종 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여행·공연업 등을 추린 '경영 위기 업종'을 신설해 '일반(경영위기)'로, 그 외는 '일반(매출감소)'로 분류했다. ◇피해 사업장 2개면 지원금 50% 가산, 4개 이상은 100% 증액지원 유형이 5개로 세분되면서 지원 단가도 상향됐다.기존 버팀목자금 지원 단가는 집합금지 300만원, 집합제한 200만원, 일반업종 100만원이었다.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집합금지(연장) 500만원, 집합금지(완화) 400만원, 집합제한 300만원, 일반(경영위기) 200만원, 일반(매출감소) 100만원이다.특히, 기존 버팀목자금은 한 사업자가 여러 사업장을 운영할 경우 사업자 기준으로 1명분만 지급됐는데 버팀목자금은 피해 사업장 수를 고려한 추가 지원이 이뤄진다.한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업장이 2개면 지원 금액이 50% 추가되고, 3개면 80%, 4개 이상은 100% 증액된다.집합금지(연장) 사업장을 4개 이상 운영하는 사업자는 최대 1천만 원의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집합 금지·제한 업종 전기요금 각각 50%와 30% 3개월 감면대신, 정부는 집합제한 업종 중 매출이 오히려 증가한 사업자에게는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이전 버팀목자금은 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경우 매출 증감 여부와 상관없이 지급 대상이 됐다.정부는 집합제한과 일반업종 지급 여부를 가릴 매출 증감은 지난 25일 마감된 국세청의 2020년 부가세 매출 신고와 2019년 부가세 매출 신고 비교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소상공인들에게는 전기요금 감면 혜택도 주어진다.감면 기간은 3개월이며 감면율은 금지 업종 50%, 제한 업종 30%로 최대 180만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정부는 전기요금 감면액이 금지 업종 평균 28만 8천원, 제한 업종 평균 17만 3천원으로 전체 규모는 2천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 : 소상공인 지원금, 최대 얼마인가? 답 : 집합금지·제한 등 업종별로 나눠 현금 지원하는 소상공인 피해지원(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최대 500만원이다. 여기에 전기요금 지원 최대 180만원을 추가하면 최대 680만원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문 : 소상공인 지원금, 누구에게 얼마나 주나? 답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피해 정도 등에 따라 5구간으로 나눠 최대 100만~500만원씩 지급한다. 이때 집합금지·제한 구분은 지역별 방역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먼저, 집합금지가 올 1월 2일 방역지침 이후에도 연장된 11개 업종 약 11만5000곳에는 1곳당 500만원을 지원한다.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실내스탠딩 공연장, 직접판매홍보관, 유흥주점,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 홀덤펍, 파티룸 등(수도권 기준)이다. 1월 2일 방역지침에 따라 집합금지가 금지제한으로 완화됐던 학원, 겨울스포츠시설 2종은 1곳당 4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2월 14일까지 집합제한 조치가 지속된 10종(수도권 기준)에는 300만원씩 지급한다.업종 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경영위기 업종은 세부 목록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추후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공고 시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행업, 공연업 등이 대상으로 거론된다. 일반업종의 경우 사업체별 매출 감소 여부를 따져 100만원씩 지급한다. 국세청 부가가치세 매출 신고 기준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 감소 여부를 확인한다. 버팀목자금 플러스 개요 /기획재정부 제공 문 : 한 사람이 사업장을 여러 개 운영하면 1곳만 주나? 답 : 아니다. 작년 버팀목자금과 달리 이번에는 1인이 여러 사업장 운영 시 지원금액의 최대 2배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예컨대 사업장 2개 운영 시 지원금액의 150%, 3개 운영 시 180%, 4개 이상 운영 시 200% 지급하는 식이다. 문 : 상시근로자, 매출한도가 달라졌다는데. 답 : 이번 추경부터는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소상공인도 지원한다. 일반업종 매출한도도 기존 4억원에서 10억원으로 상향한다.다만, 소기업 매출 한도를 넘어가면 지원하지 않는다.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 3은 업종별 소기업 3년 평균 매출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업종에 따라 10억~120억원이다. 문 : 언제 받을 수 있나? 답 : 지금부터는 국회의 시간이다. 정부는 오는 4일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한다. 국회가 추경안을 3월 중순께 처리한다고 가정하면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3월 말께 문자 발송 및 지급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문 : 전기요금 감면은 얼마나 해주나? 답 : 정부는 방역조치 대상 업종 소상공인 115.1만곳의 전기요금을 3개월간 30~50% 감면해주기로 했다. 집합금지는 50%, 집합제한은 30%다. 최대 180만원 한도다. 문 : 이밖에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생계지원은? 답 : 정부는 소득감소 등으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한계근로빈곤층 80만 가구 대상으로 가구당 50만원의 한시생계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학부모 실직‧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1만명에게는 5개월간 250만원의 특별 근로장학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문 : 노점상에게도 준다는데. 답 : 지방자치단체 등 관리 노점상에 대해 사업자 등록을 전제로 소득안정자금을 1곳당 50만원 주기로 했다. 전국 4만곳으로 추정된다.
-
- [단독보도] Evonik ,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 [단독보도] Evonik ,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Evonik,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Evonik은 e-mobility 솔루션을 위하여 보다 가볍고 비용적으로도 효율적인 배터리하우징 개념을 개발에 성공하였다. 새로운 에폭시 SMC는 강도와 고전압 성능을 유지하면서 배터리 하우징 중량을 최대 10%까지 감소시키며, 모든 차량 크기의 등급에 적합하며 상당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하여 설계 및 생산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Evonik, Vestaro 및 관련 업계는 2019년 말부터 다양한 재료 접근법에 대해 협력하기 시작하여, 배터리 하우징의 무게를 약 10%까지 크게 줄이는 독립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배터리 하우징 개념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유리 섬유강화(GF)-시트 몰딩 컴파운드(SMC)이며, 고성능 에폭시 경화제 VESTALITE® S를 기반으로 금속 기반 배터리 인클로저의 성능 수준을 제공하며 기존SMC 재료보다 경량화 시킬 수 있다. Evonik Operations GmbH & Managing Director, Vestero GmbH의 Dr. Leif lckert는 "배터리 모듈과 그 하우징은 현대 전기차의 성능, 효율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되었다. 복합재료기술은 강성과 다기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향후 배터리 하우징 개념을 위해 유망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리의 새로운 유리 섬유 강화 SMC는 차세대 지속 가능한 e-mobility를 추진하는데 자동차 업계가 요구하는 성능과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유리섬유보강형 에폭시 SMC는 휨, 충격강도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내화성과 관련된 모든 사양을 충족하며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 및 극한 조건에서도 연속 생산과 안전에 대한 적합성을 만족시킬 것이다. 또한 consortium 파트너사인 Lorenz Kunstofftechnik은 유리 섬유 강화 SMC 재료를 성공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발했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 요구 사항 증가에 대한 중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새로운 배터리 하우징 개념에 대한 자세한 정보, 이미지 및 문의 사항은 evonik.com/vestalite-s을 방문하세요. Evonik의 새로운 VESTALITE® S 에폭시 경화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vestalite.com를 참조하십시오. 에보닉 에보닉은 특수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 중 한 기업으로,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131억 유로의 매출과 21억 5천만 유로의 영업 이익(조정 EBITDA)을 창출하였습니다. Evonik은 화학을 뛰어넘어 고객을 위한 혁신적이고도 수익성이 높으며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만듭니다. 32,000명 이상의 직원이 함께하며, Evonik과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의 삶이 더욱 개선되기를 바랍니다. www.evonik.com www.evonik.com/crosslinkers Evonik Crosslinkers 및 VESTARO GmbH의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www.vestaro.com
-
- [단독] 블룸버그통신 , 월스트리트저널 계속 거론되는 씨티銀 한국철수설…
- [단독] 계속 거론되는 씨티銀 한국철수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계속적으로 주요외신들이 씨티은행 한국철수설을 보도하고있다. 지난 1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미국 씨티그룹의 새 CEO인 제인프레이저는 최근 그룹 전반적인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한 소식통은 "한국과 베트남을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상업 은행(소매 금융) 영업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단 한국을 포함한 전 지역에서 기관을 대상으로 한 IB 기능은 남겨둘 확률이 크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 안에 따르면 한국씨티은행의 소비자 부문은 철수 가능성이 더욱 유력해는 셈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 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씨티그룹이 한국, 태국, 필리핀, 호주 등 아태지역의 소매금융 사업을 처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씨티그룹의 아태지역 소매금융 수익은 15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 떨어졌다. 국내 금융권에선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할 잠재적 후보로 DGB금융과 OK금융을 거론하고 있다. 매물로 나온다는 전제 하에 OK금융은 은행업 진출을, DGB금융은수도권 거점 확대를 꾀하는 전략에서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현재 한국 은행업의 주가 순자산비율(PBR)은 0.3~0.4배 가량이다. 한국씨티은행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순 자산(6조2953억원)을 감안하면 가격이 최대 2조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매각 대상은 39개 점포를 포함한 자산관리, 카드 사업 등 소매 금융에 국한할 가능성이 높다. 기업 금융 부문을 남기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씨티그룹 본사 측은 이 보도 내용에 대해 “많은 다양한 대안들이 고려될 것이며, 장시간 충분히 심사숙고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한국 소매금융 철수 등 여러 대안에 여지를 남겼다. 반면 한국씨티은행은 “신임 회장의 새 경영전략이 일부 발표됐을 뿐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제인 프레이저 회장이 2015년 중남미 책임자로 근무할 당시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법인을 매각한 이력 등이 부각되면서 씨티그룹의 아태지역 사업 재편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더구나 씨티그룹은 2015년에도 한국에서 소비자금융을 철수하기로 하면서 씨티은행 자회사인 씨티캐피탈을 매각한 바 있다.
-
- [단독취재]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공개
- [단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공개 “코로나19 영향에도 이커머스·개발·물류 자동화 분야 인재 수요 중가” • 기업은 1인 다(多)역이 가능한 핵심 인재 채용을 모색…문제 해결,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 경쟁 심화 •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디지털 연봉 조사를 통해 전 세계 31개국 최신 채용시장 트렌드 및 연봉정보 제공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1인 가정과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던 온라인 소비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의 확대로 빠르게 다양한 산업 군에 도입되어 올해 채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온라인 산업의 급속 성장과 더불어 비(非) IT기업도 디지털 전환에 앞다퉈 나서면서 이커머스, 앱·웹 개발, 및 물류 자동화 관련 산업 분야에서 인재 채용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지난 1월 18일 올해 고용시장 동향과 연봉 수준을 전망한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Digital Salary Survey 2021)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 연봉 조사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를 통해 이직한 지원자들의 연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무회계, 소비재 및 소매, 헬스케어, 인사관리 및 법률, 기술혁신, 제조(자동차, 반도체, 화학, 에너지, 물류) 등 총 6개 산업의 직무 별 연봉 정보를 제공한다. 2021 연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재택근무 권고와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 실현으로 많은 소비재 기업들이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온라인 서비스 개선에 집중하면서 앱 및 웹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획 및 개발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대면 업무로 많은 기관 및 기업의 업무 환경이 클라우드로 전환되고 화상 수업의 일상화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서비스의 이용량이 늘어나면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의 플랫폼 개발 및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전반에 대한 인력 수요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헬스케어 분야는 신약개발, 로봇수술,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사업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신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지면서 관련 연구개발직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AI 관련 고성능 칩을 설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특히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면서 공급 부족 현상을 겪는 차량용반도체 분야의 인재 확보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는 구직자들과 기업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67%가향후 1년 이내 이직을 모색한다고 답했으며, 이직을 모색하는 구직자들은 ‘차별화된 보상과 혜택 (33.5%)’보다 ‘동기부여가 되는 기업문화 및 동료 ’(63%)’와 ‘고용 안정성 (45.3%)’을 중요하게 판단했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올해 가장 중요한 지원자의 역량으로 ‘문제해결 능력(78.5%)’과 ‘커뮤니케이션(62.2%)’ 능력을 꼽았다. 이는 코로나 시대를 겪으며, 기업 경영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일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즉각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역량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은 “전반적인 채용 규모 축소 및 채용 보류로 일부 기업들이 1인 다(多)역이 가능한 핵심인재의 채용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급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구직자들은 유연한 태도와 트렌드를 읽어내는 능력, 비즈니스 감각, 독창적 사고력 등 직무 능력 외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핵심인재를 육성하고 유지려면 인센티브나 스톡옵션 등을 통해 매력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하고, 좋은 리더 양성을 위한 리더십 트레이닝,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을 갖추는 등 인재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로버트 월터스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채용 컨설팅 기업으로 지난 20여 년간 전 세계 고용동향과 연봉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연봉 조사서를 발간해왔다. 2021년 디지털 버전으로 재탄생한 로버트 월터스의 [디지털 연봉 조사서]는 노동 시장과 고용 정보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정보와 우수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전 세계 31개국의 산업별, 직무별 연봉정보를 쉽게 볼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연봉 조사 사이트 (https://www.robertwalters.co.kr/salary-survey)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단독] 박남춘 인천시장 , 스태츠칩팩코리아 방문... 인천청년 채용 당부
- [단독] 박남춘 인천시장 , 스태츠칩팩코리아 방문... 인천청년 채용 당부 박남춘 인천시장이 최근 1500명 신규 채용 계획을 밝힌 스태츠칩팩코리아(대표이사 김원규)를 방문해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하고 인천 청년 채용을 당부했다.박 시장은 27일 인천국제공항 배후단지 소재 반도체 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 생산현장을 방문했다. 박 시장은 신규 채용 계획에 맞춰 지역 인재 우선 채용을 당부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박남춘 인천시장이 최근 1500명 신규채용할 계획을 밝힌 스태츠칩팩코리아(대표이사 김원규)를 방문해 감사인사를 전하며, 인천 지역 청년 채용을 당부했다.(사진제공 인천시)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세계 3위 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세계 반도체 시장 수요에 대응해 올해 150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5G·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에 필요한 제품을 개발해 생산할 계획이다.박 시장은 김원규 대표를 만나 “코로나19로 고용시장이 악화된 시점에 대규모 인력을 채용하는 스태츠칩팩코리아에 감사하다”며 “신규 인력 채용 시 인천시교육청 등과 협력해 지역 청년들이 일할 수 있게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이어 “인천형 뉴딜로 기존 제조업 중심 산업을 첨단 디지털·바이오 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구조를 전환하고 있다”며 “앞으로 디지털 분야 중견·중소기업들이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부연했다.박 시장은 지원 대책으로 ▲중소기업육성자금 대폭 확대 ▲혁신사업 분야 1조 원 규모 펀드 조성 ▲인천스타트업파크 육성 등을 약속했다.인천스타트업파크는 국내 첫 개방형 혁신 창업 거점으로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기업들이 속속 입주하고 있다.스타트업파크 입주 예정 업체 77개 중 현재 44개가 둥지를 틀고 있다. 나머지 기업들도 다음 달까지 모두 입주할 예정이다.입주 기업들은 주로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바이오융합 기술을 다루는 스타트업이다. 입주 기업 77개는 민간 주도 육성 기업 37개와 공공 주도 육성 기업 40개로 구성됐다.민간 주도 육성 프로그램 운영은 신한금융지주 컨소시엄이 담당한다. 매년 운영예산 30억 원과 펀드 500억 원을 지원한다. 공공 주도 육성은 인천테크노파크가 맡는다.박 시장은 다음 달 열리는 ‘인천스타트업파크, 렛츠 붐업(Let′s BoomUp)’ 행사에 참석해 인천스타트업파크 운영에 힘을 보태고, 입주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이 행사는 당초 이달 28일로 계획됐지만, 신임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임명 문제로 연기됐다. 늦어도 다음 달 중순 쯤 다시 날짜가 결정될 전망이다.박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핵심 과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미래 산업 발굴”이라며 “첨단 신산업 육성으로 인천 경제 생태계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청년 창업자와 구직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단독] 스태츠칩팩코리아, 고용한파 속 올해 1500명 신규채용 계획 발표
- 단독- 스태츠칩팩코리아, 고용한파 속 올해 1500명 신규채용 계획 발표 글로벌 반도체 후 공정 세계 3위 기업인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제조·정비·기술개발 분야에서 근무할 1,500명을 2021년에 신규 채용한다. 회사는 2019년 6억 달러 수출의 탑, 2020년에는 7억 달러 수출의 탑을 받는 등 국가 경제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지난달 24일에는 노사화합과 산업평화정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30회 인천광역시 산업평화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코로나19로 취업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올해 대규모 채용계획을 발표한 기업이 있어서 화제다. 글로벌 반도체 후 공정 세계 3위 기업인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제조·정비·기술개발 분야에서 근무할 1500명을 2021년에 신규 채용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고용시장은 코로나19로 꽁꽁 얼어붙은 상황이다. 지난 13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년 연간 고용동향 자료를 보면 취업자 수는 전년대비 22만 명이나 감소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전세계 반도체 시장의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최첨단 기술인 5G, IOT, AI, 자율주행 등의 제품 개발과 생산을 위해 올해 1500명 채용을 발표해 의미가 크다. 채용 분야는 생산 라인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제조직 1000명과 생산 장비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는 제조 정비직 300명, 반도체 신제품 개발,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 기술 개발직 200명 등 총 1,500명이다. 스태츠칩팩코리아는 대졸자뿐만 아니라 특성화고 졸업생들에게도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회사가 위치하고 있는 인천지역을 비롯해 전국의 특성화고등학교 출신 학생 500명 이상을 채용하였는데 특정 지역 교육청 및 폴리텍 대학과 협약을 체결하고 입사 전 학생들에게 사전교육을 통해 빠른 현장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채용 직무별 접수 마감 기한은 없으며 충원 시까지 상시 채용할 예정이고 채용 확정이 된 사원들은 회사의 입사시기에 따라 영종도 사업장에서 근무를 하게 될 예정이다. 채용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일반 채용포털사이트를 통해 수시로 게시할 예정이다. 스태츠칩팩코리아는 2015년 경기도 이천에서 인천 영종국제도시로 사업장을 이전한 후 지속적 신기술 개발과 공격적인 기업투자로 2015년 대비 현재 325%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어왔다. 꾸준한 인력 채용과 양질의 일자리 제공으로 2019년과 2020년 연속 일자리 으뜸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회사는 2019년 6억 달러 수출의 탑, 2020년에는 7억 달러 수출의 탑을 받는 등 국가 경제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지난달 24일에는 노사화합과 산업평화정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30회 인천광역시 산업평화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회사에는 현재 3,800여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중 절반은 회사 기숙사와 영종하늘도시 아파트에 마련한 사외기숙사 또 공항신도시 등에 거주하고 있어 지역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스태츠칩팩코리아 김원규 대표이사는 "세계 반도체 수요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신기술개발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공격적인 경영전략을 세워 전 분야에 걸쳐 대규모 채용을 시행할 계획"이라며 "수출 증대로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채용 확대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단독]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0 올해의 일자리 대상 민간 일자리 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 부문 2년 연속 대상
-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0 올해의 일자리 대상 민간 일자리 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 부문 2년 연속 대상 글로벌 인재 채용 전문 기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Robert Walters Korea)가 ‘2020 올해의 일자리 대상’에서 민간 일자리 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 부문 대상을 2년 연속 수상했다. 2020 올해의 일자리 대상은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충격에서도 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고용 안정과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모범 기업 및 기관을 발굴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본 상은 조선일보가 주최하고 고용노동부 · 산업통상자원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중소 벤처기업부 · 여성가족부가 후원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에서도 각 산업 별 국내외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채용 활성화에 기여하고 글로벌 인재 육성 및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한 점을 높게 평가 받아 본 상을 수상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지난 10년간 한국 시장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경험을 기반으로 채용 시장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고객사가 뛰어난 팀을 구성하고 후보자들이 커리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인재 채용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2010년 설립한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회계 및 재무, 뱅킹 및 금융 서비스, 제조업, 자동차, 화학, 정보기술, 인사, 리테일 및 소비재, 의료기기, 물류 및 구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다국어 구사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 채용을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기업 및 국내 진출 외국계 기업 고객에게 한국의 기업문화 및 채용 프로세스 기반 채용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최준원 신임 지사장 선임을 계기로 기존의 외국계 기업 및 국내 글로벌 기업 중심에서 나아가 국내 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으로까지 인재 채용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글로벌 영상 세미나(Webinar)를 통해 업무 방안 개선, 원격 채용, 스마트 워크 체계 수립 등 폭넓은 주제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등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온라인 외국인 투자기업 채용박람회는 물론, 개발자 채용 박람회 등 각 산업에 특화된 채용 박람회에도 적극 참가하여 구인-구직 수요를 연결하고, 대학생, 대학원생 및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글로벌 기업 입사를 위한 취업특강을 개최하는 등 미래 인재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설문조사, 세미나, 미디어 활동 등을 통해 최신 고용시장에 대한 정보와 견해도 제공한다. 특히, 2010년부터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를 통해 이직에 성공한 지원자의 연봉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외 고용시장 동향 및 산업별, 직군별 최신 연봉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연봉 조사서’를 매년 발간하고 있다. 2020년 국내 채용 수요 분석과 2021년 고용시장 전망을 담은 ‘2021 온라인 연봉 조사’는 내년 초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은 “구직자와 기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글로벌 인재 채용 컨설팅 기업으로서, 로버트 월터스는 늘 ‘사람’과 함께하고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를 중시해 왔다. 2년 연속 올해의 일자리 대상 수상으로 로버트 월터스의 우수한 일자리 발굴을 위한 노력과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됐다.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기업과 함께 고용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적극 모색하여 앞으로도 양질의 일자리 발굴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 [단독]시너지케어 토탈 헬스케어서비스 제공
- [단독]시너지케어 토탈 헬스케어서비스 제공 사진설명- (주)시너지케어 김경 대표이사(왼),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회장인 프랑스계 자동차 부품회사인 아레이몬드 김종세 한국대표(오) 시너지케어(대표이사 김경)는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회장 김종세)와의 서비스 제휴를 통해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회원사 임직원에게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는 2005년에 창립되어 주한글로벌기업 대표이사의 친목도모 및 상호협업을 통해 성장과 사회봉사를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다.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는 산업자원부로 부터 사단법인 허가를 취득하고 500여개의 다국적 기업을 회원사로 두고 있다.사진설명- (주)시너지케어 김경 대표이사(왼),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회장인 프랑스계 자동차 부품회사인 아레이몬드 김종세 한국대표(오)시너지케어는 2000년도에 설립된 국내외 병원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전문회사이다.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10여개 국가에서 비즈니스 중인 다국적 헬스케어 업체 Inova Care International의 관계사이다.김경 대표는 “이번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와의 제휴를 통해 다국적 기업 임직원에게 양질의 편의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능동적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찾고 선택 할 수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장을 마련하는데 시너지케어가 앞장 설 것” 이라고 밝혔다. 시너지케어는 능동형 모바일 웹사이트 'My시너지케어’를 통해 800여 명의 주요 질환별 명의(名醫)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정보의 높은 신뢰성과 신속함을 보장한다. 또한 위치기반 시스템을 통해 치과, 안과, 성형외과, 피부과 등 10개 진료 분야 4만 3천여 병의원의 위치 정보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My시너지케어’를 가입한 회원이라면 자신이 위치한 곳의 근거리 병의원 정보부터, 희망하는 지역의 병의원 정보까지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다. 시너지케어는 국내 최대 제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2000여 병의원을 통한 비급여진료비 비교 및 견적 조회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비급여 진료의 합리적인 가격과 서비스를 선택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글로벌 의료기간 네트워크를 통해 중대한 난치병 진단을 받은 환자가 해외 명문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의사로 부터 의료 2차 소견 진료 서비스를 국내에서 받아 볼 수 있는 ‘글로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년간의 서비스 제공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 비교적 의료 수준이 취약한 외국인 및 교민에게는 국내 명문 병원의 명의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 1[단독외신] MacKenzie Scott gives nearly $4.2B to charity in 4 months amid pandemic
-
- 2[단독외신] Honda recalls 1.4M vehicles in US for software, overheating problems
-
- 3[단독외신] Marriott axes more than 800 workers at Times Square hotel
-
- 4[단독외신] Airbnb stock tumbles after more than doubling last week
-
- 5[단독외신] Sneaker site StockX valued at $2.8 billion in new funding roun
-
- 6[단독] 벤츠코리아, 신임 사장에 토마스 클라인 벤츠 중동 대표 선임. 2021년 1월1일 부터 임기 시작
-
- 7[단독외신] Warren Buffett and Goldman Sachs boss call for small business relief
Hot Channel
Economy더보기 +
-
김희제 03-05 15:29
[단독보도] Evonik ,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단독보도] Evonik ,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Evonik,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Evonik은 e-mobility 솔루션을 위하여 보다 가볍고 비용적으로도 효율적인 배터리하우징 개념을 개발에 성공하였다. 새로운 에폭시 SMC는 강도와 고전압 성능을 유지하면서 배터리 하우징 중량을 최대 10%까지 감소시키며, 모든 차량 크기의 등급에 적합하며 상당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하여 설계 및 생산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Evonik, Vestaro 및 관련 업계는 2019년 말부터 다양한 재료 접근법에 대해 협력하기 시작하여, 배터리 하우징의 무게를 약 10%까지 크게 줄이는 독립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배터리 하우징 개념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유리 섬유강화(GF)-시트 몰딩 컴파운드(SMC)이며, 고성능 에폭시 경화제 VESTALITE® S를 기반으로 금속 기반 배터리 인클로저의 성능 수준을 제공하며 기존SMC 재료보다 경량화 시킬 수 있다. Evonik Operations GmbH & Managing Director, Vestero GmbH의 Dr. Leif lckert는 "배터리 모듈과 그 하우징은 현대 전기차의 성능, 효율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되었다. 복합재료기술은 강성과 다기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향후 배터리 하우징 개념을 위해 유망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리의 새로운 유리 섬유 강화 SMC는 차세대 지속 가능한 e-mobility를 추진하는데 자동차 업계가 요구하는 성능과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유리섬유보강형 에폭시 SMC는 휨, 충격강도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내화성과 관련된 모든 사양을 충족하며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 및 극한 조건에서도 연속 생산과 안전에 대한 적합성을 만족시킬 것이다. 또한 consortium 파트너사인 Lorenz Kunstofftechnik은 유리 섬유 강화 SMC 재료를 성공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발했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 요구 사항 증가에 대한 중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새로운 배터리 하우징 개념에 대한 자세한 정보, 이미지 및 문의 사항은 evonik.com/vestalite-s을 방문하세요. Evonik의 새로운 VESTALITE® S 에폭시 경화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vestalite.com를 참조하십시오. 에보닉 에보닉은 특수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 중 한 기업으로,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131억 유로의 매출과 21억 5천만 유로의 영업 이익(조정 EBITDA)을 창출하였습니다. Evonik은 화학을 뛰어넘어 고객을 위한 혁신적이고도 수익성이 높으며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만듭니다. 32,000명 이상의 직원이 함께하며, Evonik과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의 삶이 더욱 개선되기를 바랍니다. www.evonik.com www.evonik.com/crosslinkers Evonik Crosslinkers 및 VESTARO GmbH의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www.vestaro.com -
김종철 03-03 18:11
[단독] 블룸버그통신 , 월스트리트저널 계속 거론되는 씨티銀 한국철수설…
[단독] 계속 거론되는 씨티銀 한국철수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계속적으로 주요외신들이 씨티은행 한국철수설을 보도하고있다. 지난 1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미국 씨티그룹의 새 CEO인 제인프레이저는 최근 그룹 전반적인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한 소식통은 "한국과 베트남을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상업 은행(소매 금융) 영업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단 한국을 포함한 전 지역에서 기관을 대상으로 한 IB 기능은 남겨둘 확률이 크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 안에 따르면 한국씨티은행의 소비자 부문은 철수 가능성이 더욱 유력해는 셈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 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씨티그룹이 한국, 태국, 필리핀, 호주 등 아태지역의 소매금융 사업을 처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씨티그룹의 아태지역 소매금융 수익은 15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 떨어졌다. 국내 금융권에선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할 잠재적 후보로 DGB금융과 OK금융을 거론하고 있다. 매물로 나온다는 전제 하에 OK금융은 은행업 진출을, DGB금융은수도권 거점 확대를 꾀하는 전략에서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현재 한국 은행업의 주가 순자산비율(PBR)은 0.3~0.4배 가량이다. 한국씨티은행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순 자산(6조2953억원)을 감안하면 가격이 최대 2조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매각 대상은 39개 점포를 포함한 자산관리, 카드 사업 등 소매 금융에 국한할 가능성이 높다. 기업 금융 부문을 남기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씨티그룹 본사 측은 이 보도 내용에 대해 “많은 다양한 대안들이 고려될 것이며, 장시간 충분히 심사숙고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한국 소매금융 철수 등 여러 대안에 여지를 남겼다. 반면 한국씨티은행은 “신임 회장의 새 경영전략이 일부 발표됐을 뿐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제인 프레이저 회장이 2015년 중남미 책임자로 근무할 당시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법인을 매각한 이력 등이 부각되면서 씨티그룹의 아태지역 사업 재편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더구나 씨티그룹은 2015년에도 한국에서 소비자금융을 철수하기로 하면서 씨티은행 자회사인 씨티캐피탈을 매각한 바 있다. -
유하정 02-26 15:13
[단독취재]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공개
[단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공개 “코로나19 영향에도 이커머스·개발·물류 자동화 분야 인재 수요 중가” • 기업은 1인 다(多)역이 가능한 핵심 인재 채용을 모색…문제 해결,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 경쟁 심화 •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디지털 연봉 조사를 통해 전 세계 31개국 최신 채용시장 트렌드 및 연봉정보 제공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1인 가정과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던 온라인 소비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의 확대로 빠르게 다양한 산업 군에 도입되어 올해 채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온라인 산업의 급속 성장과 더불어 비(非) IT기업도 디지털 전환에 앞다퉈 나서면서 이커머스, 앱·웹 개발, 및 물류 자동화 관련 산업 분야에서 인재 채용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지난 1월 18일 올해 고용시장 동향과 연봉 수준을 전망한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Digital Salary Survey 2021)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 연봉 조사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를 통해 이직한 지원자들의 연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무회계, 소비재 및 소매, 헬스케어, 인사관리 및 법률, 기술혁신, 제조(자동차, 반도체, 화학, 에너지, 물류) 등 총 6개 산업의 직무 별 연봉 정보를 제공한다. 2021 연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재택근무 권고와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 실현으로 많은 소비재 기업들이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온라인 서비스 개선에 집중하면서 앱 및 웹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획 및 개발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대면 업무로 많은 기관 및 기업의 업무 환경이 클라우드로 전환되고 화상 수업의 일상화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서비스의 이용량이 늘어나면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의 플랫폼 개발 및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전반에 대한 인력 수요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헬스케어 분야는 신약개발, 로봇수술,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사업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신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지면서 관련 연구개발직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AI 관련 고성능 칩을 설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특히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면서 공급 부족 현상을 겪는 차량용반도체 분야의 인재 확보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는 구직자들과 기업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67%가향후 1년 이내 이직을 모색한다고 답했으며, 이직을 모색하는 구직자들은 ‘차별화된 보상과 혜택 (33.5%)’보다 ‘동기부여가 되는 기업문화 및 동료 ’(63%)’와 ‘고용 안정성 (45.3%)’을 중요하게 판단했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올해 가장 중요한 지원자의 역량으로 ‘문제해결 능력(78.5%)’과 ‘커뮤니케이션(62.2%)’ 능력을 꼽았다. 이는 코로나 시대를 겪으며, 기업 경영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일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즉각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역량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은 “전반적인 채용 규모 축소 및 채용 보류로 일부 기업들이 1인 다(多)역이 가능한 핵심인재의 채용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급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구직자들은 유연한 태도와 트렌드를 읽어내는 능력, 비즈니스 감각, 독창적 사고력 등 직무 능력 외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핵심인재를 육성하고 유지려면 인센티브나 스톡옵션 등을 통해 매력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하고, 좋은 리더 양성을 위한 리더십 트레이닝,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을 갖추는 등 인재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로버트 월터스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채용 컨설팅 기업으로 지난 20여 년간 전 세계 고용동향과 연봉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연봉 조사서를 발간해왔다. 2021년 디지털 버전으로 재탄생한 로버트 월터스의 [디지털 연봉 조사서]는 노동 시장과 고용 정보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정보와 우수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전 세계 31개국의 산업별, 직무별 연봉정보를 쉽게 볼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연봉 조사 사이트 (https://www.robertwalters.co.kr/salary-survey)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김희제 01-28 22:42
[단독] 박남춘 인천시장 , 스태츠칩팩코리아 방문... 인천청년 채용 당부
[단독] 박남춘 인천시장 , 스태츠칩팩코리아 방문... 인천청년 채용 당부 박남춘 인천시장이 최근 1500명 신규 채용 계획을 밝힌 스태츠칩팩코리아(대표이사 김원규)를 방문해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하고 인천 청년 채용을 당부했다.박 시장은 27일 인천국제공항 배후단지 소재 반도체 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 생산현장을 방문했다. 박 시장은 신규 채용 계획에 맞춰 지역 인재 우선 채용을 당부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박남춘 인천시장이 최근 1500명 신규채용할 계획을 밝힌 스태츠칩팩코리아(대표이사 김원규)를 방문해 감사인사를 전하며, 인천 지역 청년 채용을 당부했다.(사진제공 인천시)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세계 3위 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세계 반도체 시장 수요에 대응해 올해 150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5G·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에 필요한 제품을 개발해 생산할 계획이다.박 시장은 김원규 대표를 만나 “코로나19로 고용시장이 악화된 시점에 대규모 인력을 채용하는 스태츠칩팩코리아에 감사하다”며 “신규 인력 채용 시 인천시교육청 등과 협력해 지역 청년들이 일할 수 있게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이어 “인천형 뉴딜로 기존 제조업 중심 산업을 첨단 디지털·바이오 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구조를 전환하고 있다”며 “앞으로 디지털 분야 중견·중소기업들이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부연했다.박 시장은 지원 대책으로 ▲중소기업육성자금 대폭 확대 ▲혁신사업 분야 1조 원 규모 펀드 조성 ▲인천스타트업파크 육성 등을 약속했다.인천스타트업파크는 국내 첫 개방형 혁신 창업 거점으로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기업들이 속속 입주하고 있다.스타트업파크 입주 예정 업체 77개 중 현재 44개가 둥지를 틀고 있다. 나머지 기업들도 다음 달까지 모두 입주할 예정이다.입주 기업들은 주로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바이오융합 기술을 다루는 스타트업이다. 입주 기업 77개는 민간 주도 육성 기업 37개와 공공 주도 육성 기업 40개로 구성됐다.민간 주도 육성 프로그램 운영은 신한금융지주 컨소시엄이 담당한다. 매년 운영예산 30억 원과 펀드 500억 원을 지원한다. 공공 주도 육성은 인천테크노파크가 맡는다.박 시장은 다음 달 열리는 ‘인천스타트업파크, 렛츠 붐업(Let′s BoomUp)’ 행사에 참석해 인천스타트업파크 운영에 힘을 보태고, 입주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이 행사는 당초 이달 28일로 계획됐지만, 신임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임명 문제로 연기됐다. 늦어도 다음 달 중순 쯤 다시 날짜가 결정될 전망이다.박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핵심 과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미래 산업 발굴”이라며 “첨단 신산업 육성으로 인천 경제 생태계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청년 창업자와 구직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olitics더보기 +
-
김종철 12-24 11:20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비대면 온라인 출범식 과 이재명식 기본소득,기본주택등 보편복지 나래펼칠듯.......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비대면 온라인 출범식 과 이재명식 기본소득,기본주택등 보편복지 나래펼칠듯....... 22일 오후 경남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출범식에서 상임대표인 송순호 도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의회 경남에서도 시민사회, 농민, 청년, 예술인 등이 참여하는 기본소득제도 추진을 위한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가 출범했다.22일 오후 3시 경남도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된 출범식의 1부 행사는 기본소득에 동의하고 공감하는 모든 세력들이 직접 나서서 시행 가능한 제도를 만들어가자는 내용의 출범선포식과 행사 축사 영상이 방송됐다. 2부에서는 ‘성장과 혁신 그리고 새로운 기본권과 기본소득’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초청 강연을 진행하며 “기본소득은 4차산업 혁신의 시드머니이며, 새로운 기본권으로 청년과 대한민국의 미래 만들기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기본소득국민운동 경남본부 상임대표로 선출된 송순호 도의원은 “기후위기, 신자유주의가 가속화한 불평등과 양극화, 저출산·고령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저성장과 고용불안의 시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기본소득이 필요하다”며 “향후 국민운동경남본부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기본소득 논의를 범국민적 사회운동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9일에는 연내 범국민적인 기본소득 운동조직 결성이 성사될 경우 기본소득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정책 행보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에 따르면 기본소득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체(정치공동체)가 모든 구성원 개개인에게 아무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이다. 기본소득은 모든 구성원에서 지급한다는 보편성, 자산 심사나 노동 요구 없이 지급한다는 무조건성, 가구 단위가 아니라 구성원 개개인에게 직접 지급한다는 개별성 등의 특성에 의해 기존 생활보장제도와 구별된다. ▲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8일 오후 수원역 11번 출구 앞 팝업무대에서 열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락(樂) 페스티벌에서 개그맨 출신 MC 노정렬씨, 김제영 청년기본소득 청춘크리에이터 대표 등과 함께 ‘청년 Q&A(“청년이 묻고, 지사가 답하다”)’를 하고 있다. ⓒ 경기도 이재명 지사는 또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경기도에서 '기본소득 국제박람회'를 개최했고, 농민 개인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농민기본소득과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농촌기본소득 사회실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본소득 재원확보를 위해 정치권을 상대로 기본소득토지세 도입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또한 충남, 전남, 전북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들도 농민들의 생계 지원을 위해 농민수당 등을 지급하고 있다."재난지원금으로 기본소득 경험... 우리 미래를 위해 중요"기본소득국민운동본부 출범 제안자에는 강남훈 교수를 비롯해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인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 윤석인 희망제작소 부이사장, 이원재 LAB2050 소장 등 대표적인 우리나라 기본소득 전문가들과 학계·시민사회 대표들이 참여했다. -
김종철 12-03 01:55
[사설] 미국대선 대통령 당선결과 공식발표는 미연방대법원의 판결 이후로 미룬다.
[사설] 미국대선 대통령 당선결과 공식발표는 미연방대법원의 판결 이후로 미룬다. 한국의 주요언론과 정부의 입장은 미국대선결과 바이든후보가 당선자로 공식입장을 발표하고 있지만 본지는 공식발표보도를 올해 연말이나 내년 1월중 적어도 미국연방대법원의 판결이후에 하고자 한다. 현재 미국의 상항은 이번 대선이 우편투표를 통한 미국 역사상 희대의 부정선거국면으로 트럼프측과 바이든측의 소송으로 진행중에 있고 트럼프 지지자와 바이든 지지자들간의 극심한 갈등으로 계엄령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글로벌 공식 사회관계망에서도 아직 바이든후보를 유력 당선인 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CNN 등 미국내 민주당 바이든 ,오바마, 힐러리를 지지하는 언론사에서는 바이든 후보가 당선인이라고 기정사실화 하며 보도를 하고 있으며 미국내 상항은 법원과 의회는 트럼프편 언론은 바이든편 이라는 말이 희자되고 있다. 트럼프측의 전략전술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은 행보를 보일것으로 본지는 추측해본다, ㅡ 연방대법원에서 9명중 6명의 대법관이 그 주의 표를 무효화. ㅡ 그렇게 되면 트럼프ㅡ바이든 모두 유효 선거인단 270 확보가 불가능. ㅡ 결국 의회 중 하원이 대통령을 결정 ㅡ 하원 435명이 하는것이 아닌 각 주당 하원 대표 한명씩 50명이 투표. (하원 435석 중 민주당이 다수) 그러나 각 주대표는 공화당이 26석, 민주당이 22석 이므로 결국 트럼프는 재선 당선 가능 시나리오를 추진하는듯 보인다. 최근 CNN이 "트럼프 재당선 가능성 " 이라는 보도기사 제목을 내놓은 것도 주목할만하다. 그리고 오비이락이라는말이 무색하도록 CNN은 갑자기 방송매체를 시장에 매각하기위해 매물로 내놓았다. 현재 미국내 CNN 방송 청취률이 바닥을 치고있고 오히려 SNS 등의 개인뉴스들이 신뢰를 가지고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연방법원의 결정에 의하든 미하원의 투표결과를 통하든 트럼프의 재선 또는 바이든의 당선 뉴스는 미국 선관위의 공식적 발표가 있은후에 하고자한다. 이 모든것이 한치앞도 내다볼수없는 현 미국의 상항이므로 본지 만큼이라도 CNN등 주요 거대언론매체의 기사를 그대로 인용하는 국내 주요언론매체와는 달리하고 싶다. 주한외국기업뉴스 [GEN] 대표기자 김종철 -
박준구 11-26 16:09
정부 “파키스탄 테러 강력 규탄…희생자 애도”
지난 20일 파키스탄 카이버팍툰콰주 소재 대학교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인해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데 대해 우리 정부는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이러한 테러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 지난 20일 파키스탄 탈레반은 한 대학에서 총기난사 테러를 저질렀다. 이 날 테러로 5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정부는 21일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이 같이 밝히고 “이번 테러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과 파키스탄 국민들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테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는 반인륜적, 비인도적 범죄행위로서 반드시 근절돼야 하며 우리 정부는 이러한 확고한 입장하에 테러 척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최문열 11-25 10:16
경기도청 공무원들 헌혈 동참 '헌혈 통해 생명 나누고 사랑 실천'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구합니다. 헌혈은 혈액 성분 중 한 가지 이상이 부족해 생명을 위협받는 다른 사람을 위해 건강한 사람이 아무 대가 없이 자신의 혈액을 기증하는 사랑의 실천입니다. 4일 경기도청 공무원들이 도청을 찾은 헌혈버스에서 생명을 나누고 사랑을 실천하는 헌혈에 동참했습니다. ▲ 4일 경기도청을 찾은 헌혈버스에서 도청 공무원이 헌혈을 하고 있다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에 따르면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혈액은 아직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거나, 대체할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 헌혈버스 내부 모습
Social더보기 +
-
류채영 03-05 15:51
[단독] 4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 프러스 ,1인당 최대 1천만원 받을수 있다.
[단독] 4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 프러스 ,1인당 최대 1천만원 받을수 있다. 정부가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15조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현금 지원 총액은 8조 1천억원이다.'소상공인·고용취약계층 긴급 피해지원금' 항목이다. 이 중 대부분인 6조 7천억원이 집합 금지와 제한 등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에게 지급되는 '버팀목자금 플러스'다.현재 지급이 진행 중인 3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 규모가 4조 1천억원이었는데 이번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그보다 2조 6천억원이나 늘었다.기존 버팀목자금 지급과 관련해 지적됐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형평성 또한 높이면서 지원 대상 사업체 범위가 기존 280만 개에서 385만 개로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다.3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은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른 '소상공인'을 지급 대상으로 함에 따라 종업원이 5명 이상인 사업체는 받지 못했다.◇4차 지원금 지급 대상 사업체, 3차 지원금보다 105만 개 늘어소상공인기본법의 '상시 근로자 수' 기준이 광업과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을 제외한 업종의 경우 '5인 미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4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지급 대상이 '중소기업기본법'상 '소기업'으로 넓어졌다.소기업은 상시 근로자 수 기준이 없어 5인 이상 사업체도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급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9만 8천 개 업체가 지급 대상에 새로 포함된다.다만, 소기업에는 매출액 기준이 적용되는데 대표적인 소상공인 업종인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연 매출액이 10억원을 넘으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반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연 매출액 30억원까지 지급 대상이 될 수 있다.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외에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에 적용되는 연 매출액 한도 또한 기존 '4억원 이하'에서 '10억원 이하'로 상향됐다.◇종업원 '5인 이상'도 지원, 일반업종 매출 한도 10억으로 상향이에 따라 24만 4천 개 업체가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지원받는 일반업종에 추가된다.3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이 확정된 지난해 12월 이후 새로 창업한 업체도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급 대상이 되는데 정부는 그 규모를 33만 7천 개로 예상했다.이와 함께 정부는 이번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원 유형을 이전 버팀목자금보다 세분했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원 내용. 기재부 제공 버팀목자금은 '집합금지'와 '집합제한' 그리고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 3개였지만, 방역 조치 강도와 피해 정도를 고려해 집합금지와 일반업종을 각각 두 개로 나눴다.집합금지 경우 올해 들어서도 금지 조치가 지속하면 '집합금지(연장)'으로, 금지 조치가 제한 조치로 하향됐으면 '집합금지(완화)'로 분류된다.일반업종은 업종 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여행·공연업 등을 추린 '경영 위기 업종'을 신설해 '일반(경영위기)'로, 그 외는 '일반(매출감소)'로 분류했다. ◇피해 사업장 2개면 지원금 50% 가산, 4개 이상은 100% 증액지원 유형이 5개로 세분되면서 지원 단가도 상향됐다.기존 버팀목자금 지원 단가는 집합금지 300만원, 집합제한 200만원, 일반업종 100만원이었다.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집합금지(연장) 500만원, 집합금지(완화) 400만원, 집합제한 300만원, 일반(경영위기) 200만원, 일반(매출감소) 100만원이다.특히, 기존 버팀목자금은 한 사업자가 여러 사업장을 운영할 경우 사업자 기준으로 1명분만 지급됐는데 버팀목자금은 피해 사업장 수를 고려한 추가 지원이 이뤄진다.한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업장이 2개면 지원 금액이 50% 추가되고, 3개면 80%, 4개 이상은 100% 증액된다.집합금지(연장) 사업장을 4개 이상 운영하는 사업자는 최대 1천만 원의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집합 금지·제한 업종 전기요금 각각 50%와 30% 3개월 감면대신, 정부는 집합제한 업종 중 매출이 오히려 증가한 사업자에게는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이전 버팀목자금은 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경우 매출 증감 여부와 상관없이 지급 대상이 됐다.정부는 집합제한과 일반업종 지급 여부를 가릴 매출 증감은 지난 25일 마감된 국세청의 2020년 부가세 매출 신고와 2019년 부가세 매출 신고 비교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소상공인들에게는 전기요금 감면 혜택도 주어진다.감면 기간은 3개월이며 감면율은 금지 업종 50%, 제한 업종 30%로 최대 180만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정부는 전기요금 감면액이 금지 업종 평균 28만 8천원, 제한 업종 평균 17만 3천원으로 전체 규모는 2천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 : 소상공인 지원금, 최대 얼마인가? 답 : 집합금지·제한 등 업종별로 나눠 현금 지원하는 소상공인 피해지원(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최대 500만원이다. 여기에 전기요금 지원 최대 180만원을 추가하면 최대 680만원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문 : 소상공인 지원금, 누구에게 얼마나 주나? 답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피해 정도 등에 따라 5구간으로 나눠 최대 100만~500만원씩 지급한다. 이때 집합금지·제한 구분은 지역별 방역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먼저, 집합금지가 올 1월 2일 방역지침 이후에도 연장된 11개 업종 약 11만5000곳에는 1곳당 500만원을 지원한다.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실내스탠딩 공연장, 직접판매홍보관, 유흥주점,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 홀덤펍, 파티룸 등(수도권 기준)이다. 1월 2일 방역지침에 따라 집합금지가 금지제한으로 완화됐던 학원, 겨울스포츠시설 2종은 1곳당 4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2월 14일까지 집합제한 조치가 지속된 10종(수도권 기준)에는 300만원씩 지급한다.업종 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경영위기 업종은 세부 목록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추후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공고 시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행업, 공연업 등이 대상으로 거론된다. 일반업종의 경우 사업체별 매출 감소 여부를 따져 100만원씩 지급한다. 국세청 부가가치세 매출 신고 기준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 감소 여부를 확인한다. 버팀목자금 플러스 개요 /기획재정부 제공 문 : 한 사람이 사업장을 여러 개 운영하면 1곳만 주나? 답 : 아니다. 작년 버팀목자금과 달리 이번에는 1인이 여러 사업장 운영 시 지원금액의 최대 2배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예컨대 사업장 2개 운영 시 지원금액의 150%, 3개 운영 시 180%, 4개 이상 운영 시 200% 지급하는 식이다. 문 : 상시근로자, 매출한도가 달라졌다는데. 답 : 이번 추경부터는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소상공인도 지원한다. 일반업종 매출한도도 기존 4억원에서 10억원으로 상향한다.다만, 소기업 매출 한도를 넘어가면 지원하지 않는다.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 3은 업종별 소기업 3년 평균 매출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업종에 따라 10억~120억원이다. 문 : 언제 받을 수 있나? 답 : 지금부터는 국회의 시간이다. 정부는 오는 4일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한다. 국회가 추경안을 3월 중순께 처리한다고 가정하면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3월 말께 문자 발송 및 지급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문 : 전기요금 감면은 얼마나 해주나? 답 : 정부는 방역조치 대상 업종 소상공인 115.1만곳의 전기요금을 3개월간 30~50% 감면해주기로 했다. 집합금지는 50%, 집합제한은 30%다. 최대 180만원 한도다. 문 : 이밖에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생계지원은? 답 : 정부는 소득감소 등으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한계근로빈곤층 80만 가구 대상으로 가구당 50만원의 한시생계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학부모 실직‧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1만명에게는 5개월간 250만원의 특별 근로장학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문 : 노점상에게도 준다는데. 답 : 지방자치단체 등 관리 노점상에 대해 사업자 등록을 전제로 소득안정자금을 1곳당 50만원 주기로 했다. 전국 4만곳으로 추정된다. -
김종철 12-21 11:23
수도권 23일 0시부터 내년1월3일까지 '5인 이상 집합금지
수도권 23일 0시부터 내년1월3일까지 '5인 이상 집합금지 23일 0시부터 서울에서 5인 이상 모임이 금지된다고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21일 밝혔다.서정협 권한대행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을 열고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세를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린다고 밝혔다.이 조치는 실내외를 막론하고 적용된다. 이에 따라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의 지인 모임 등이 대거 취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뿐만 아니라 경기도와 인천시도 같은 내용의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5인 이상 집합 금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서 적용되는 '10인 이상 집합 금지'보다도 더 강력한 조치다. 이 조치가 시행되면 4인 이하의 모임만 허용된다.동창회, 동호회, 야유회, 송년회, 직장회식이나 워크숍은 물론 계모임과 집들이, 돌잔치, 회갑‧칠순연과 같은 개인적인 친목모임도 일체 금지된다. 단 결혼식과 장례식만 행사의 예외적 성격을 감안해 2.5단계 거리두기 기준인 50인 이하 허용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이재명 경기지사로부터 촉발됐다. 이재명 지사는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5인 이상 집합금지를 강력 권고한다"고 적었다. 그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에도 수도권 지자체장 중 가장 적극적이다.이재명 지사는 "수도권은 단일생활권이라 서울, 인천과 동시에 5인 이상 집합을 금지하지 않으면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밝혔고 서울시에 이어 인천시까지 이 지사의 의견에 동참했다.정부는 이와 별개로 성탄절과 새해 연휴 관련 방역 강화 대책을 내일 발표할 예정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대본 차원에서 오늘 오후 정부 및 지자체와 논의해 내일 발표할 예정"이라며 "3단계 (격상) 의사 결정은 상황을 지켜보며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
김종철 12-21 08:09
한시적 긴급복지지원제도 12월 말까지 시행!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모든 국민이 아실 때까지!! 한시적 긴급복지지원제도 12월 말까지 시행! 코로나19로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위기가구 대상 위기상황과 소득, 재산, 금융재산 기준 충족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75% 이하 • 재산기준 : 대도시 3억 5천만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억 7천만 원 이하 * 재산 차감 기준 반영 시 • 금융재산 : 1인가구 763만 원, 4인가구 1,212만 원 이하 * 생활준비금 공제비율 확대(65% → 150%) 반영 시 12월 31일(목)까지 신청하세요! • 신청 : 시군구청 • 상담 : 시군구청, 읍면동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
김종철 12-18 20:51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위기가구 총 35만 가구에 최대 100만 원 지급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위기가구에 최대 100만 원(4인 이상 가구 기준) 지급되는 긴급생계비가 12월 18일부터 2차 지급 대상인 약 15만 가구에 지급된다. 보건복지부는 위기가구 긴급생계비를 지난 12월 4일 1차 지급에 이어 12월 18일부터 2차 지급한다고 밝혔다. 오늘부터 지급되는 대상자는 지난 11월 7일에서 11월 30일까지 신청·접수된 가구 중 소득・재산 조사와 기존 복지제도 및 타 코로나19 피해지원 사업 중복 여부 등을 조사한 후 최종 지급 결정된 15만 가구이다.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실직·휴폐업 등으로 소득이 감소한 기준중위소득 75% 이하의 코로나19 피해 가구를 대상으로, 4인 이상 가구 100만 원(1인 40만 원 / 2인 60만 원/ 3인 80만 원)을 1회 지급(계좌 입금)하는 사업이다. 그간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저소득층에 최대한 위기가구 긴급생계비를 지원하기 위해, 신청 기준 완화・증빙 서류 간소화, 신청 기간 연장 등과 더불어 지자체별로 시도, 시군구별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전담조직(TF)을 운영하고 지자체별 민관협력체계, 찾아가는 서비스를 활용 등 적극적인 행정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피해로 인한 실직자, 재래시장 소상공인, 일용직 근로자 등 타 코로나19 지원 사업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저소득층 35만 가구에 위기가구 긴급생계비가 지급되었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복지정책관은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은 타 코로나19 피해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지 못해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을 최대한 발굴하여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긴급생계비가 코로나19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코로나19 피해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으시는 저소득층을 최대한 발굴하여 지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던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일선의 노력 덕분에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이 차질 없이 신속하게 지원될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Culture더보기 +
-
박하록 12-16 00:54
[단독] 달라라네트워크, 싱가폴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 투자 유치 성공
[단독] 달라라네트워크, 싱가폴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 투자 유치 성공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 장면 - 상단 왼쪽에서 2번째 달라라네트워크 김채원 대표이사 엔터테인먼트플랫폼 스타트업 달라라네트워크는 11일 싱가폴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에서 64만6000달러(약 7억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 행사는 싱가포르 NTUitive(난양이공대 I&E 컴퍼니)와 SWITCH(싱가포르 기술혁신주간, Singapore Week of Innovation and Technology)가 공동주최한 모의투자 시뮬레이션으로 프레스코캐피털, 골든게이트벤처스 등 싱가포르 유수의 VC들과 전 세계 스타트업들이 참여해 투자게임을 펼쳤다. 달라라네트워크는 이 행사에서 IR을 통해 다수의 VC들로부터 총 64만6000달러(약 7억원)을 유치하며 글로벌 플랫폼사로써 확장 가능성을 증명했다.달라라네트워크는 2018년 엔터테인먼트미디어산업의 새로운 경제생태계 구축을 비전으로 설립돼 게임과 핀테크를 접목한 신개념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개발 중인 스타트업으로, 2019년 중소벤처부에서 개최한 ‘Welcome To TIPS(웰컴투팁스)’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글로벌 투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Grand TIPS(그랜드팁스)’에서는 TIPS 비참여기업 중 1위를 차지했다. 최근 아시안스타트업컨퍼런스에서 1위를 차지하며 산업계와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모으며 촉망받고 있다.2021년 1월 론칭을 앞둔 달라라네트워크의 베타버전 서비스는 언택트 엔터테인먼트 오디션 플랫폼으로, 빅데이터, AI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도입한 혁신적 모멘텀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지향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리드하고 있다.달라라네트워크 CEO 김채원은 “이번 인베스트먼트게임을 통해 K-플랫폼의 밝은 앞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류채영 12-02 00:48
PCI 파마 서비스, 콜버그와 무바달라의 다수 지분 인수 종결 발표
PCI 파마 서비스, 콜버그와 무바달라의 다수 지분 인수 종결 발표 선도적인 제약 및 바이오제약 글로벌 공급사슬 솔루션 제공업체인 PCI 파마 서비스(PCI Pharma Services, 이하 ‘PCI’ 또는 ‘회사’)가 이전에 공표한 바 있는 콜버그 앤 컴퍼니(Kohlberg & Company, LLC 이하 ‘콜버그’)로 지배 지분을 넘기는 인수 거래를 종결했다고 1일 발표했다.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Mubadala Investment Company)와 파트너스 그룹(Partners Group, 고객 대행사)은 회사의 소수 지분을 갖게 된다.콜버그와 무바달라가 CEO인 살림 하파르(Salim Haffar) 주도로 PCI의 관리팀과 협력해 회사의 혁신 여정을 계속하게 됨에 따라 이 획기적인 인수는 PCI의 중요한 진일보가 된다. PCI 관리 팀은 PCI의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고객의 삶을 변화시키는 생물약제 요법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유기적, 비유기적으로 특정 기능과 지역을 추가하게 된다. 생물학 제제 및 전문 약물 요법의 글로벌 성장 추세를 활용하면서 미래의 기능에는 주사제 멸균 충전 포장이 포함되는 한편, 고효능 및 전문 제조가 확대되며 지리적으로는 아시아 및 유럽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한다.콜버그는 뉴욕주 마운트 키스코에 본사를 둔 유수의 사모 펀드 회사로, PCI 파마 서비스와 같은 회사 및 경영진들과 30년 넘게 성공적으로 파트너 관계를 맺어왔다.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Mubadala Investment Company, 이하 ‘무바달라’)는 주주인 아부다비 정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재정적 수익 창출을 목표로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독립 투자자이다. -
박하록 12-02 00:3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지역사회 발전 및 나눔 문화 확산 공로로 ‘2020 경기도지사 표창’ 수상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지역사회 발전 및 나눔 문화 확산 공로로 ‘2020 경기도지사 표창’ 수상 -
김상중 11-26 17:00
슈퍼주니어, 10월 8일 마카오 MGM COTAI서 컴백 쇼케이스 개최! 클래스가 다른 ‘한류킹’
슈퍼주니어가 남다른 클래스의 쇼케이스를 개최한다. 슈퍼주니어는 오는 10월 8일 스페셜 미니앨범 ‘One More Time’(원 모어 타임) 발매와 동시에 같은 날 저녁 6시(현지 시간) 마카오 최대 규모의 럭셔리 호텔 MGM COTAI에서 컴백 쇼케이스를 개최, 명불허전 ‘글로벌 한류킹’ 다운 귀환으로 음악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예정이다. 쇼케이스가 열리는 MGM COTAI 호텔 내 ‘MGM Theater’는 고정된 무대가 아닌 열 가지가 넘는 다른 무대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아시아 최초의 다이내믹 씨어터로, 슈퍼주니어의 화려하고도 카리스마 넘치는 퍼포먼스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무대와 2,000여 명의 관객들이 함께할 계획이어서 높은 관심이 전망된다. 특히 이번 앨범 타이틀 곡 ‘One More Time (Otra Vez)’ 뮤직비디오에는 MGM COTAI의 이국적인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아, 감각적인 영상미로 보는 재미를 배가 시켰다. 더불어 슈퍼주니어는 9월 27일 낮 12시 멜론, 지니, 아이튠즈,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샤미뮤직 등 각종 음악 사이트를 통해 새 앨범 수록곡 ‘Animals’ 음원을 선공개, 신곡 ‘Animals’는 로맨틱한 분위기의 미드 템포에 트로피컬 요소가 혼합된 노래로, 가까워질 수 밖에 없는 서로의 사이를 솔직한 가사로 표현해 중독성 있는 ‘슈주 표’ 라틴 팝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모든 트랙이 라틴 팝 곡으로 구성된 슈퍼주니어의 새 앨범 ‘One More Time’ 전곡 음원과 동명의 타이틀곡 ’One More Time (Otra Vez)’ 뮤직비디오는 10월 8일 오후 6시 베일을 벗는다.
Labor더보기 +
-
유하정 12-16 00:24
[단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0 소비자의 선택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 2년 연속 대상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0 소비자의 선택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 2년 연속 대상 Robert Walters Korea 최준원 지사장 글로벌 인재 채용 전문 기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Robert Walters Korea)가 지난 10월 22일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열린 ‘2020 소비자의 선택’에서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2020 소비자의 선택’은 중앙일보와 중앙SUNDAY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후원하는 행사이다. 본 상은 국내 최고의 소비자 조사 기관인 한국 리서치와 공동으로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소비자의 직접 평가를 바탕으로 최고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그 성과를 알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지난 10년간 한국 시장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경험을 기반으로 채용 시장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고객사가 뛰어난 팀을 구성하고 후보자들이 커리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인재 채용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수준 높은 HR 컨설팅 서비스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 가치를 공감한 노력을 높게 평가받아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의 대상으로 2년 연속 선정되었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최준원 신임 지사장 선임을 계기로 기존의 외국계 기업 및 국내 글로벌 기업 중심에서 나아가 국내 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으로까지 인재 채용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로버트 월터스는 구직자와 기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글로벌 인재 채용 컨설팅 기업으로서 코로나19상황 이전부터 채용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끄는 혁신 기술을 도입해 왔으며, 디지털 인재정보 관리 및 소싱 체계 기술과 구인기업 맞춤형 서치를 통해 앞으로 더 다양한 구직자와 고객사에 체계화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준원 한국 지사장은 “‘사람과 조직이 자신의 특별한 잠재 능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미션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지난 10년간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해온 결과로 2년 연속 수상이라는 큰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고객사와 구직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채용 컨설팅 파트너로서, 한 차원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최준원 지사장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에서 탤런트리쿠루팅 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하고있다. -
유하정 11-26 18:11
맥킨지 "직원 상대평가제는 엉터리" 사망선고.."기업 대안모색"
맥킨지 "직원 상대평가제는 엉터리" 사망선고.."기업 대안모색" "시간 낭비, 과도하게 주관적, 동기 잃게 해 기업에 도움 안 된다" 산업화시대 성과 평가제론 직무변화 못 따라가..MS "경쟁보다 협력장려 성과관리" "시간 낭비, 과도하게 주관적, 동기 잃게 해 기업에 도움 안 된다" 산업화시대 성과 평가제론 직무변화 못 따라가…MS "경쟁보다 협력장려 성과관리" (서울=연합뉴스) 윤동영 기자 = 세계적 경영자문회사인 맥킨지앤컴퍼니가 기업의 현행 상대 성과평가제에 사망선고를 내리면서, 기업 일각에서 활발하게 일고 있는 대안 모색 움직임을 소개했다. 기업들이 연말마다 직원의 업무성과를 평가해 보수와 승진 등을 결정하는 성과관리 상대평가제가 "(평가에) 시간만 잡아 먹고, 지나치게 주관적이며, 동기를 부여하기보다는 동기를 잃게 하고, 궁극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는 것에 평가하는 관리자나 평가받는 직원 모두 공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종 모양의 정상분포 곡선.L자형 멱함수 곡선 이 회사가 발행하는 계간 '맥킨지 쿼털리' 5월호는 '성과관리제의 미래'라는 제목의 머리글에서 "직원 성과평가라는 연례행사가 엉터리라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공공연한 비밀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열에 아홉은 기존의 성과평가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현행 제도는 "직원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거의 기여하는 바가 없는 것"은 물론, "직원들로 하여금 등급 평점과 보수에 대해 전전긍긍하고 평가결과를 납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도리어 업무수행을 해칠 수도 있다"고 맥킨지는 지적했다. 현행 평가제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 평가는 이미 오래된 것이지만, 최근 점점 두드러지는 것은 지난 15년간 기업의 직무에서 일어난 변화 때문이다. "점점 더 많은 일자리가 더욱 깊은 전문가적 지식, 더욱 독립적인 판단, 더 나은 문제해결 기술"을 요구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자리마다 고객과 관계나 사업 협력 상대와 관계에서 더 큰 책무를 지고, 산업화시대 성과관리·평가제도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시대의 도래에 따른 변화다. 관리자들 스스로 현행 평가제에 만족하지 않으면서도 바꾸지 못하는 것은 혹시 직원들이 나태해지고 성과가 떨어지지나 않을까, 또는 보수책정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불안감과 걱정 때문이지만 "해답이 등장하고 있다"고 맥킨지는 말했다. 모든 직원을 상대평가해 정해진 비율에 따라 높고 낮은 등급을 강제할당하는 이른바 '스택 앤드 랭크' 방식의 표상이었던 제너럴 일렉트릭(GE)과 마이크로 소프트(MS)는 이 제도를 버리고, 대신 관리자가 앱 등을 통해 직원들과 수시로 업무수행에 관해 대화하면서 지도하거나, 직원 간 경쟁보다는 협력을 장려하는 새로운 성과관리 방식을 시험하고 있다. GE는 과거 하위평가자 10%는 가차 없이 '저성과자'로 분류, 해고하는 것으로 유명했고, MS의 직원 성과 평가제는 전·현 직원들로부터 "가장 파괴적인 절차"라는 혹평을 들었다. 지난 2013년 11월 3일 자 뉴욕타임스는 MS의 기존 성과 평가제 폐지 소식을 전하면서, 1등급에서 5등급까지 상대평가에 따른 일정비율 강제할당 때문에 유능한 직원이 다른 유능한 직원과 함께 일하기를 꺼리고, "이미 고목을 쳐낸 상황"에서도 또 4등급과 5등급이라는 최하위 등급을 매겨야 하는 부조리한 실태를 소개했다. 최종 평점 때는 평가 대상자와 함께 일해본 적도 없는 다른 부서 관리자들의 평가가 큰 작용을 하는 것도 직원들의 불만이었다. 넷플릭스도 매년 사전에 정한 목표 대비 성과를 평가하는 방식을 버렸다. 회사의 목표가 점점 유동적이 돼서 급속히 바뀔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구글은 직급별로 고성과자에게 보상하던 방식을 바꿔, 직급에 상관없이 소수의 최고성과자들에게 파격적인 보상을 함으로써 최고 인재의 이직을 막는 방식을 채택했다. 업무성과 분포가 정상분포 곡선(최고, 최저가 가장 적고 중간이 가장 많은 종모양의 곡선)이 아니라 멱함수 곡선(소수 최고인력에 몰리고 나머지는 평균 이하의 긴 꼬리를 이루는 L자형 곡선)을 이룬다는 게 그 이론적 토대다. 맥킨지는 "이들 회사가 추진하는 변화들은 새롭고, 회사마다 다양하며, 일부 실험적이기도 하지만" 일정한 패턴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같은 회사내에서도 판매팀과 연구팀 등 직무 분야에 따라 각각 다른 성과관리 접근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 -
김종철 09-11 13:07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노총 가입 무산돼..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주노총 가입 무산돼.. 르노삼성 노사에 의하면, 9일,10일 이틀간 이뤄진 조합원 투표 결과 찬성표 60.7%(1158명), 반대표 39%(743명)결과로 민주노총 가입이 무산됐다. 이번 투표 대상에는 작년 노조가 추진한 전면파업 때 참여를 거부했던 노조원 300여명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를 탈퇴하거나 제명당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가입을 위해서는 조합원 과반수가 투표하고 투표자의 3분의 2(66.6%) 이상 찬성을 받아야 한다. 투표율은 96.1%를 기록했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3월 초에도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조합원들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노조 집행부가 작년 전면파업을 강행했을 때에도 조합원 70%는 집행부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정상 출근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수출이 급감한 사유로 인하여 르노삼성의 올해 1~8월 자동차 판매량은 8만4158대로 작년 동기 대비 26.6% 감소했다. -
김종철 09-11 12:13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장애 포용적 직장 공간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인 ‘장애인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Microsoft Enabler Program)’을 론칭했다. 전 세계 장애인(PWD)이 10억 명이 넘는 상황에서 장애 포용적 고용은 경제 생산성 증가로 이어져 아태지역 GDP가 1~7%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게 United Nations ESCAP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진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5개 국가에서 시범 실시된 후 올해 말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먼저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기업과 단체는 비영리단체로부터 포용적 고용주가 되기 위한 트레이닝을 받게 되고 장애인들을 위해 직업체험, 인턴십, 멘토링, 테크 분야 채용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AI 분야에 필요한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모두에게 포용적인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고용주(파트너), 비영리단체, 장애인 모두에게 필요한 협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비백 푸트코드(Vivek Puthucode) 마이크로소프트 아태지역 담당 최고 파트너 책임자는 “최근 각 직장의 업무 환경을 보면 구성원 모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같은 포용을 위한 수단이 바로 접근성이다. 이는 책임이자 곧 기회이기도 하다. 기술이 사용자의 다양성을 반영한다면 사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며 “포용적 기업들은 동종 업체들보다 실적이 더 좋으며 인재들을 계속 모으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용성이 어떻게 혁신을 주도하는지에 대한 사례도 계속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CEO Interview더보기 +
-
박하록 12-24 09:14
[단독] 주한외국기업 CEO 초대석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단독] 주한외국기업 CEO 초대석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다음은 주한외국기업 CEO 초대석 입니다. 오늘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신임 회장으로 선출되신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님과 수석부회장으로 선출되신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님을 모셨습니다. 앵커 정보경:안녕하세요? 두 분 먼저 바쁘신 일정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인터뷰에 응해주신 점 대단히 감사드리도요. 금번 신임 회장님과 수석 부회장님으로 선출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먼저 두 분께 회사소개부터 들어보면 좋을 것 같은데 먼저 김종세 회장님부터 부탁드립니다. 김종세 사장: 앵커 정보경:다음으로 하운식 사장님 회사 소개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네, 회사 소개 잘 들었습니다. 예전 회장님들도 마찬가지지만 이번 신임 회장님과 수석부회장님의 회사 역시 훌륭한 글로벌기업인 것 같습니다. 신임 회장단 리더로서 내년도 4기 협회의 발전을 위한 활동 계획과 포부에 대해서 두 분께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먼저 김종세 회장님부터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다음은 하운식 수석부회장님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다음으로 외국계 기업 한국지사들은 국내기업에 비해 다른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다보니 회사에서 원하는 기업의 인재상 있을 것 같은데요… 두 분 회사의 기업문화와 인재상을 기업에 입사하고 싶어하는 경력직 및 신입직원 후보자들을 위하여 설명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 네, 잘 들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오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요. 두 분께서 내년 4기 협회 발전에 이바지함으로서 협회가 한 차원 더 발전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별도 녹화 )) Closing Ment 앵커 : 이상으로 2020년도 두 번째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을 마치겠습니다. 2021년도부터는 매 분기마다 여러분들을 찾아 뵐 텐데요. 좋아요와 구독 신청 부탁드리고요. 저희 인터넷뉴스매체 주한외국기업뉴스 GEN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럼 저는 내년 봄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시청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
김종철 09-03 12:28
[단독특종 인터뷰] 아베총리의 전격사임은 정치적 “쇼” 실상은 측근의 선거법위반 과 지지율하락 때문
[단독특종 인터뷰] 아베총리의 전격사임은 정치적 “쇼” 실상은 측근의 선거법위반 과 지지율하락 때문 (*) "아베 총리, 건강 이상 전격 사임은 '쇼'..실상은 측근 선거법 위반 때문" (*) "아베 방패막이 검사장 최근 사임..아베 개입 의혹 커져 법정에 설 수도" (*) "후임 총리 후보 중 이시바 시게루는 반(反) 아베 선봉장, 한국과 좋은 관계 구축 가능" (*) "기시다 후미오 포스트 아베, 한일관계 개선에 도움 안될 것" 최근 일본 아베 총리가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악화 진단 등 건강상의 사유로 전격적으로 사임을 발표한 가운데 건강 상의 사유가 아닌 정치적 쑈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매체는 한국으로 귀화한 대표적 지한파 정치학자 [ 호사카 유지- 세종대 대양휴머니티칼리지 교수] 와의 인터뷰를 진행 하였다. 호사카 유지 교수 - (ほさかゆうじ | Hosaka Yuji) 출생: 1956년 2월 26일, 일본 도쿄 현재: 대한민국 국민 - 서울거주 소속: 세종대학교(교수)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비교정치 전공) 경력: 2009.05~ 세종대학교 독도종합연구소 소장 질문자: 김종철 [주한외국기업뉴스 매체 대표기자 ] 응답자: 호사카 유지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교수 ] 질문) 최근 아베 총리가 피를 토 한 후 건강악화로 게이오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총리직을 수행하기 어려워 사퇴를 하였다고 일본 및 국내언론매체에서 기사를 보도했는데요. 호사카 교수님께서는 이것은 건강상의 사유가 아닌 측근의 선거법 위반과 아베 총리의 지지율 하락으로 인한 정치적 쑈 라고 주장하셨는데요. 이에 대하여 구체적인 교수님의 견해를 설명 부탁 드립니다. (호사카 유지 교수) 상식적으로 보자면 국가 정상의 건강이상은 극비로 다루어져야 할 문제인데 반하여 이번엔 매우 공개적으로 언론 플레이를 하였습니다. 이것은 일본국민들에게 대놓고 그만 두겠다고 시그널을 보내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건강상의 사유를 크게 부각시킴으로써 다른 숨은 속셈이 가리워지는 것입니다. 아베 총리의 건강상 문제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17세 이후로 계속되어진 질병으로서 궤양성 대장염일뿐이고 그동안 의학이 발달하여 혁신적인 치료법이 나왔고 새로운 치료법으로 거의 완치에 가까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건강상의 사유가 아닌 다른 숨은 정치적 의도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제가 바라보는 사임의 사유로는 코로나 방역 실패로 인한 지지율 하락과 아베 측근의 스캔들 문제라고 봅니다. 아베 총리와 연관되어 있는 측근의 법원 공판이 8월25일 이후로 일주일에 2번 이상 열리게 되었습니다. 올해 안에 결론을 지을 목표로 100번 이상의 공판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공판의 주요 심판은 선거법 위반이고 그전 까지는 아베의 방패막이인 도쿄 고검의 구로카와 검사장이 온갖 아베 정권의 정치적 비리들을 막아왔었는데 최근 그가 내기 마작 혐의로 적발 되어 검사장 직을 그만두게 되었고 도쿄지검 등이 주축이 되어 그동안 덮어왔던 아베 정권의 비리를 조사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아베 총리가 법정에 수차례 출석을 하게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지지율 하락에 더하여 더 큰 재앙적 지지율 하락으로 인하여 자민당 지지율이 바닥을 치게 되어 자칫하면 중의원 선거에서도 참패를 하고 정권교체까지 가게 됩니다. 한마디로 재판 회피가 주목적이고 병은 핑계라고 봅니다. 아베의 파수꾼 격인 구로카와 검사장을 검찰총장으로 취임 시키려고 아베총리는 구로카와의 정년을 이례적으로 연장 시키기까지 했지만 내기 마작으로 그는 사임해서 아베 측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고 그동안 아베에게 무시 당해온 하야시 마카토가 2020년 7월1일 새로운 검찰총장으로 취임했습니다. 그는 아베를 향한 사정의 칼날을 겨누고 있습니다.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건강상의 핑계로 지금 물러나고 아베 측근으로 남은 공백 임기기간을 채우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입니다. 아베는 병을 핑계로 법원 출석을 거부할 것 입니다. 질문) 그러면 현재 일본의 주요언론들도 호사카 교수님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아직까지는 일본의 주요언론들은 저와 같은 시각으로 보도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소수의 그룹 의견 중심으로 확대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가 그렇게 주장한 후 일본의 유명학자나 뉴욕타임즈도 비슷한 견해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질문) 역대 최장수 총리로 이름을 남겼는데요. 일본 국민들의 민심은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대체적으로 7:3 정도로 평가가 갈라지는데요. 70% 국민들은 그래도 오랜 기간 총리를 맡았고 잘했다고 하고 30% 국민들은 너무 장기집권을 하면서 좋지않은 유산들을 남겼다는 부정적인 평가 입니다. 70%가 긍정평가로 나온 것에 대해서는 아베정권이 그동안 언론을 장악하여 우호적인 기사만 내보내고 자신들에 부정적인 코멘트성 기사가 많이 나가지 않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저같이 정권에 부정적인 인사들은 일본에서 방송에 출연조차 시키지 못하게 하였지요. 질문) 그렇다면 후임총리에 대하여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있고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 ,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 ,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이렇게 3명이 유력 후임총리로 함아평에 오르고 있는데 대하여 어떻게 바라보시는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우선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은 대표적인 친한파로서 반 아베전선의 선봉장 입니다. 이시바 시게루 전임 간사장의 경우 야스쿠니 신사에 신으로 합사되어 있는 A급전범 14명을 분리하겠다고 주장하고 있고 한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지향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개헌으로 자위대를 일본군으로 개편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아베와 거의 같은 노선입니다. 이시바는 결정적으로 자민당 내 소수파벌로서 이번엔 자민당 총재나 총리가 될 가능성은 낮다고 봅니다.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의 경우는 한마디로 포스트 아베라고 원래 아베가 지명한 인물입니다. 기시다 후미오가 후임총리가 되면 아베 정권의 정책을 이을 것이기 때문에 한국과의 관계는 지금과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요새 스가관방장관이 총재선거에서 우세하다고 전해지면서 기시다는 아베정권과의 차별화 정책을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기시다가 총리가 되면 아베가 뒤에서 막후정치, 수렴청정을 할 것이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경우는 지금까지 거의 아베의 대변인 역할을 해왔고 아베정권의 정책을 실재로 실천해 온 사람입니다. 그 만큼 9월2일의 총재선거 출마 기자회견에서 그는 아베정권 계승을 주장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를 밀고있는 현 자민당 간사장 니카이 토시히로는 원래 친한, 친중파 이기 때문에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후임 총리가 되면 한일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나타나지 않을 까 기대가 되지만 스가는 이미 아베정권 계승을 강조했고 많은 파벌들이 아베정권 계승을 조건으로 스가를 밀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질문) 한국내 정계에서는 후임총리가 누가되든 한일관계 개선은 어려울것으로 보는데 호사카 교수님의 의견은 어떠 하신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솔직히 현재 일본의 여론 70%는 한국과의 관계개선을 반가워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잘 아시다싶이 일본국민들은 한국에 대해서 잘 모르고 정치리더의 말에 따라서 여론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베가 7년 8개월 동안 극우적 입장에서 “한국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나라다” 라는 식으로 여론을 조성하였기에 그런 것 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새로운 총리가 “한국과의 관계개선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한다면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여론은 뒤 바뀔 것입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정치인들도 국민들의 여론을 상당히 의식을 하기 때문 이지요. 질문) 후임총리가 선출되면 수출규제 문제는 어떻게 변화 될까요? (호사카 유지 교수) 당연히 누가 총리가 되든 변화될 것이라 봅니다. 단적으로 말해서 과거 1년간의 한일경제전쟁은 일본의 패배였습니다. 반도체소재의 경우도 일본 반도체기업이 한국에 팔 수도 있었을 이익의 절반을 손해보았습니다. 만일 스가 관방장관 같은 인물이 후임총리가 된다면 실용적인 사람이라 그런 문제는 단장 풀리기는 어려워도 대화정도는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질문) 제가 2주전에 기사화한 차기 후임총리는 스가 관방장관 ? 이라는 내용으로 저는 스가 관방장관이 유력한 후임총리가 될것으로 예견하였는데요. 향후 일본 정계개편에 대한 호사카 교수님의 견해는 어떻습니까 ? 호사카 유지 교수) 현재 돌아가고 있는 일본의 정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민당 각 파벌과 연대한 스가정권 창출이라고 단정 지울 수 있겠습니다. 9월14일로 예정된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관방장관에게 투표하겠다는 세력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민당 최대파벌인 호소다파 98명, 아소파 54명, 니카이파 47명, 다케시타파 54명, 이시하라파 11명이 스가 관방장관지지를 표명했고 이것으로 자민당 국회의원 394명중 이미 264명을 차지했습니다. 자민당 지방당의 표141표를 포함한 총535표 중 이미 과반수를 넘었습니다. 이에 스가계 국회의원 50여명정도가 합류하면 스가를 지지하는 국회의원수는 300명을 넘습니다.앞으로도 다른 파벌에서도 스가를 지지할 확률이 커서 스가 관방장관이 압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김종철 기자님이 예견 하신 것 처럼 이미 스가정권의 탄생은 초읽기 입니다. 이런 정계구도를 그린 사람은 원래는 니카이 간사장이고 이에 아소파가 먼저 합류했습니다. 니카이는 온건파 이지만 아소는 아베와 똑 같은 극우 강경파 입니다. 아소파에 소속하는 고노 다로는 아소의 설득으로 총재선거 출마를 포기했습니다. 대신 스가 정원의 새 관방장관이 될 확률이 큽니다. 그렇게 되면 반한, 반중의 강경파인 고노 다로로 인해 한일 관계는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원래 스가와 아소는 대립관계였는데 최근 스가가 이권을 조건으로 제시해서 두 사람의 관계는 급속도로 접근 되었 습니다. 그 이권이란 최근 홍콩의 몰락으로 아시아의 금융시장이 이동을 시작하고 있는데 홍콩을 대신하는 아시아의 금융센터를 아소의 선거구 후쿠오카에 만든다는 내용으로 스가가 제안을 한 것입니다.에에 아소는 크게 기뻐하며 스가와의 연대를 결정한 것 입니다. 이것은 최근 주간신초 (2020년 8월27일호)에도 기사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소와 호소다파가 스가에게 연대의 조건으로 제안한 것은 “아베 정권 계승“이고 스가도 이에 승낙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볼 때 한일관계는 힘든 가을을 예고한다고 봅니다. 질문) 마지막으로 최근 일본의 대표적 경제지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이재명 경기도 지사를 두고 “인권 변호사 출신인 이 지사는 “2016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본은 적성국가다. 군사대국화할 경우 최초의 공격대상이 되는 것은 한반도다’라고 올리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을 반대했다” 고 이재명 지사는 과격한 반일인사임을 강조한 내용에 대하여 이재명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불편한 마음을 표현하면서 일본은 극우세력을 지탱해오던 최장수 아베 총리의 몰락과 코로나19, 경제침체 등으로 패닉상태입니다. 현실에 힘겨워하는 자국민의 시선을 외부로 돌려 적대감을 만들며 내부결속을 강화하는 일본 극우세력의 전통적 전략에 따라,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일본 극우세력이 선택한 돌파구는 한일관계 비틀기일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그들이 바라는 것은 반한감정 조장을 통한 한일갈등입니다. 라고 글을 게시 하였습니다. 왜 지금의 정국에서 4년전의 이지사 페북글을 거론하며 이지사를 공격하는것인지에 대하여 교수님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일본 측은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다음 한국의 대통령이 될 것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지일파로 알려진 이낙연 현 민주당 대표나 보수 측 인사가 차기 한국 대통령이 된다면 일본은 대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재명 지사가 차기 대통령이 된다면 한일관계 개선은 어렵고 일본도 강경노선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의지를 벌써 여러 언론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고 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아직 대통령 후보였을 때도 비슷한 기사가 일본에서 상당히 많이 게재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어떤 한국 지도자에 대해 일본국민들에게 선입견을 심어주려는 바람직하지 못한 시도라 봅니다. 마무리 ) 바쁘신 와중에도 이렇게 소중한 시간을 내주시고 인터뷰에 응해주심을 대단히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일본에 대한 많은 정보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하시는 모든일에 행복이 넘쳐나시길 기대합니다. 호사카 유지 교수) 네 코로나19로 국내외 경제가 많이 어려운데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민들이 힘을 합쳐 슬기롭게 극복하고 한일관계도 정상화 되어 모두가 행복한 미래를 향해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
김희제 07-06 22:02
엑스트라홉 코리아 김훈철 지사장 “NDR는 IoT시대 해킹 방어 첨병 역할하겠다.”
엑스트라홉 코리아 김훈철 지사장 “NDR는 IoT시대 해킹 방어 첨병 역할하겠다.” <김훈철 엑스트라홉 코리아 지사장> 김훈철 엑스트라홉코리아 지사장은 NDR '리빌엑스'는 보안정보이벤트관리(SIEM)솔루션과 엔드포인트탐지대응(EDR) 솔루션이 대응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메꾸는 최적 보안 솔루션” 이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네트워크위협탐지대응(NDR) 솔루션은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해킹과의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IT담당자를 미생(未生)에서 완생(完生)으로 전환해주는 변곡점 역할하는 데 적지 않게 기여합니다.” 라고 밝혔다. 이는 사각지대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기 위해선 EDR는 반드시 에이전트를 설치해야 하지만 IoT 기기에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서다. 또 SIEM은 시스템 환경이 바뀔 때 마나 일손이 필요하고 수많은 서버에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김 지사장은 “리빌엑스는 고객이 안고 있는 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엑스트라홉 '리빌엑스'는 전체 시스템의 운영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환경에서 쉽게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간 대용량 100Gbps 네트워크 스트림 분석 성능을 기반으로 사각지대 없는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의 가시성을 지원한다. 1일 최대 1PB 처리 용량까지 가능하다.“리빌엑스는 70개 이상의 웹, DB, 메시지큐, 미들웨어 등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깊이 있는 행위 분석 방식을 제공하는 게 장점입니다. 이는 다시 말해 국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주고받는 70개국 대화 내용을 정확히 듣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특히, 그는 금융·통신 등 기업들이 외부 해킹 방어에만 너무 치중한 나머지 IoT 장비를 통해 서버와 서버 간 몰래 잠입한 내부 해킹 공격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짙다고 강조했다. 해커가 데이터를 탈취한 과정도 감지하고 분석해 보안 대응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그는 “엑스트라홉의 리빌엑스는 네트워크에서 흐르는 모든 와이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찾아내고 분류, 언제 내부에서 터질지 모르는 이상 징후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어데이터는 서버, 클라이언트, 사용자 단말기 등 IT 인프라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 흐름과 과정을 하나로 묶어 분석이 가능하도록 보여주는 데이터를 말한다.김 지사장은 “리빌엑스는 에이전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 시스템에 종속되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어 IT 인프라 운영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다”면서 “기업 IT 담당자는 본연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엑스트라 홉의 NDR 리빌엑스를 1년 전에 국내 선보인 이후 도입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직 NDR 개념이 국내에서 폭 넓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NDR 시장에서 선두 기업으로 발돋움할 계획입니다.” -
류채영 06-14 22:06
단디코리아 홍경표 대표이사 사장 -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 으로 거듭나....
단디코리아 홍경표 대표이사 사장 -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 으로 거듭나.... #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 소개 # 기자: 홍경표 대표님 안녕하세요.. 흔히들 CRO 업무는 관리가 어렵고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처음 몇년은 엑셀로 버텨보다가 그래도 안되면 업체에게 개발을 맡겨 보지만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고들 하는데요.. 단디코리아에서 수행하는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홍경표 대표이사: 임상시험업무는 3년에서 5년 이상 오랜기간에 걸쳐 수백여개가 동시에 이루어 집니다. 프로젝트 등록, 일괄배분 , 진행율 매출 , 프로젝트 원가와 손익을한번에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CRO관리 전문 프로그램과 맞춤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접목이 성공요인이라 생각합니다. 저희 수익성분석 시스템을 구축 해 보시면 프로젝트별 손익 , 견적적정가 , 스폰서 가 원하는 시스템 밸리데이션. 감사기록관리 등 소프트웨어 밸리데이션(유효성 확인)에 을 만족시키는 시스템임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울러 스폰서 마다 ERP 시스템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요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기자: 단디코리아에 대한 회사의 정의를 말할수 있다면 어떻게 표현 하실수 있을가요? 홍경표 대표이사: 저는 이렇게 짧고 간결하고도 단호하게 정의를 내리고 싶습니다. " 한 고객에게 모든 정성을 다 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 단디코리아 입니다. " 참조: ( 단디코리아 제공 ) https://www.dandykorea.com/ 주식회사 단디코리아 영업팀 82-2-594-2912 webmaster@dandykorea.com -
유하정 03-29 23:22
인적관계망 구축이 최고의 정보력이다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상임대표 김종철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상임대표 김종철(사진=김지윤 기자) Q 김종철 대표님께서는 고급비즈니스 온라인 커뮤니티구축 및 각종 고급정보수집능력에 있어서 대한민국 최고라 인정 받으실 정도로 탁월한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는 소문이 자자하시던데 그 비결은 무엇이라 보이는지요 A 인적자원을 활용한 커뮤니티 구축 및 유지는 첫째가 찾고자하는 Target (대상)을 찾고 그 대상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용기라고 봅니다. 한국사람들 95%가 자존심이 강하고 상대에게 먼저 인사를 하거나 다가설 때 상대가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상대가 나를 외면하면 어떻하나? 등등의 선입감으로 다가서기를 두려워 합니다. 즉 자기의 자존심이 강하여 상대가 먼저 나에게 다가오기를 기다리는 소극적인 성격이 강하지요. 가장 쉬운 예로 같은 아파트나 같은 회사 건물에 거주하는 분 중 자주 마주치는 사람에게 인사를 하고 싶어도 괜히 먼저 나서기가 두렵기도 하고 창피하기도 하다는 생각이 자신을 가두게 되고 또 막상 용기를 내어 먼저 인사를 하게 되면 상대방이 당황해 하거나 경계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오히려 서양권 외국인들이나 서양권에서 오래 살다 오신분들의 경우는 더욱 접근하기도 편하고 개방적이라 쉬운 편이지요. 상대에게 먼저 다가갈수 있는 적극적인 용기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둘째로는 끈기 있는 인내와 자기 희생정신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동호회나 사단법인 협회나 협동조합 등 각각의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커뮤니티를 운영하는데 는 자기희생이 필요합니다. 금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보상이 안되더라도 끈기있는 노력과 손해를 감수 하지 않는다면 그 모임을 유지하기도 어렵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흐지부지 해지고 결국에는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는 현상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셋째로는 누구 한사람이 이탈 되더라도 자동적으로 돌아가는 시스템 구축과 모임이 유지될 수 있는 contents 와 value를 구축하고 끊임없이 연구 개발 하여야 유지될 수 있습니다. 즉 구성원들이 ownership 가지게 할수 있는 조직문화가 필요하고 조직원들의 turn over률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도 필요합니다. 어느 모임이나 매년 이탈자는 생기게 되고 새로 영입되는 신규회원들이 있고 매년 이탈하지 않고 꾸준히 모임에서 활동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탈자를 가급적 줄이고 꾸준히 매년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도록 만드는 retention program과 아울러 유능하고 명망있고 인성 있는 훌륭한 신입회원을 많이 유치하는 Talent Acquisition & Management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부분들이 어느 협회나 단체에서도 고민이고 과제일 것 입니다. Q 고급정보수집능력에 대해서 특히 많은 관심이 가는데요. 주로 어떤 방법으로 정보를 수집하시고 특별한 Knowhow 등이 있으신지요. A 정보수집능력은 타고난 능력도 있을 수 있겠지만 끈기 있는 집념과 노력을 통한 자기와의 싸움과정이라고 봅니다. 정보수집의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론이 있지만 크게 두가지의 방법론을 많이 활용 합니다. HUMINT(human intelligence) 인간 관계망을 통한 정보수집과 SIGINT(signal intelligence) 신호정보를 통한 정보수집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한국에 어느 외국기업이 투자진출을 할 예정이라고 가정하고 한국에 진출을 준비하는 한국 지사장의 인적정보를 알아야할 때 제일먼저 인간관계망을 동원해 그 정보가 Fact 인지 False인지 정보의 Value를 평가하고 그 인적정보를 알아내거나 휴민트로 정보수집이 실패할시 각종 SNS 및 온라인 정보 및 구굴링 등을 통해 신호정보를 종합분석하고 검색어를 수십차레 바꾸어가면서 찾아내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시건트의 경우 빠르면 30분 이내에 찾아내는 경우도 있지만 늦으면 3일밤을 꼬박 새어 찾아내야만 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Q 김종철 대표님께서 현재 운영하시는 단체는 언제 만들어졌고 운영의 목적은 무엇인지요 처음 커뮤니티를 만들게 된 동기는 국내기업에서 4년 근무 후 외국기업 한국지사 인사부에 입사하면서부터 였습니다. 다른 외국기업 한국지사의 직원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그 회사의 복리후생은 어느 정도일까? 그 회사의 제품 특성은 무엇일까? 등등의 호기심과 아울러 2000년대 초반 온라인 커뮤니티 초기 활성화 붐에 힘입어 지금까지 20여년 운영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그당시 대리급 또래 멤버들이 지금은 한국지사장이 되거나 인사부 등 각부서의 전무나 상무급 임원이 되고 지금까지도 인연의 끈을 놓지 않고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목적이라 함은 거창하지는 않지만 대한민국 산업발전과 사회공익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구성원들과의 교류 및 친선을 통하여 상호 품앗이 하듯 도움을 주는 집단지성의 문화공간을 꿈꾸고 있습니다. Q 협회단체를 만드시고 운영하시면서 가장 힘들고 어려우셨던 때는 언제 인지요 사람들이 많이 모집되고 회비가 조금이라도 쌓이게 되면 함께 하던 사람들의 마음도 변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지금 운영하는 산업부 산하 사단법인을 두번째 만들었습니다. 산업부 사무관이 말하기를 대한민국에서 사단법인을 두번씩이나 만드신 분은 처음이고 원래 허가불가 사안이나 대표님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능력에 감탄하여 허가를 해주지 않을 수가 없었다 라는 말까지 들었습니다. 4년 전에도 지금현재 제가 운영하는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들의 협회와 유사한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협회를 저 혼자 기획하고 밤낮을 안가리고 정보력을 동원해 사람들도 모으고 회비도 걷고 해 지금처럼 산업부 산하에 사단법인을 만들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모집하였던 회원들 중에서 회장 및 부회장 그리고 각종 분과위원장까지 선임해 맡기고 저는 명예적으로 상임대표와 사무총장의 역할했습니다. 저의 개인 시간을 다 투자하고 저의 사업도 다 포기하고 밤낮을 수면도 취하지 못할정도로 협회의 발전을 위해 회원 모집 및 가입 유치하고 재정기반도 마련했습니다. 물론 금전적 보상도 받지 않고 무보수였지요.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함께했던 운영회장단 구성원들이 따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저를 소위 왕따 시키더니 저를 부하직원 취급하는 인권유린을 자행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급기야 사단법인 1년차 되는 다음해 신년회 때 저를 부당하고도 적법하지 않은 방법으로 강제 해임해 추방을 하는 반인륜적 비도덕적인 만행에 아픈 사연이 있었습니다. 이점이 제일 가슴 아픈 트라우마이며 슬픔입니다. 그래도 굴하지 않고 다시 딛고 일어나 지금 현재의 사단법인 협회를 다시 만들고 재기를 하게 된 것 입니다. 많은 수업을 받은 셈이지요. 인생에 있어서 드라마에서만 보았던 막장 드라마의 주인공도 되어보고 결국 성공을 하는 그런 드라마 같은 삶과 닮아보이기도 합니다(웃음) Q 김종철 대표님은 스펙 인물 품성도 좋아보이시는데 아직도 미혼이시라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특별히 찾고 계시는 이상형이라도 있는지요 네 맞습니다 제가 나이에 비해 젊어보인다는 말을 많이 듣긴하는데 사실 저는 나이가 많습니다. 사실 처음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만들 때 모임에서 괜찮은 여성을 만나서 결혼을 하고자 하는 사심도 있었습니다(웃음) 그런데 운영을 열심히 해도 항상 짝짓기해 결혼하는 커플들은 일반 참가 회원들이더라고요. 아시다시피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에 근무하시는 여성분들은 대부분 인물, 스펙더 좋으시고 외국어도 뛰어나신 즉 회사에서 검증되신 분들이잖아요. 20여년 동안 매달 모임을 운영하다보니 매달 제 이상형의 여성들은 나타나는데 그것이 풍요속의 빈곤이라고나할까요. 지금 돌이켜보면 외모도 중요하고 학력 등 스펙도 중요하지만 서로 대화가 잘통하고 코드와 성격이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김지윤 기자 heart@enewko.com -
유하정 02-06 20:19
저성장시대에도 급성장하는 화제의 외국기업 한국리치텍 (박순구 -Justin Park 사장)
기사송출: 2020년2월6일 기사작성: 편집부 기자 사진: 리치텍코리아 박순구 (Justin Park )대표이사 RICHTEK Technology Korea는 전력 관리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Power analog 반도체 업체이다.본사는 대만 신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세계 1,100여명의 직원이 대만, 중국, 한국 (아시아 태평양) 및 미국, 유럽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국지사는 2003년 6월7일에 설립되어 현재 판교 테크노밸리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Sales , FAE, CS 와 IC design center 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한국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고 있다. 2018년 기준 본사 및 Worldwide 전사 기준 매출은 $5.24억 달러를 (한화 약 5,800억) 기록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전자제품 고객 사에 주요 파트너업체로서 제품 공급하고 있다. 2003년 당시 한국에 지사를 설립할시 박순구 (Justin Park ) 지사장은 작은 오피스텔에서 1인으로 시작하여 현재 40여명이 넘는 규모의 회사로 키워냈다. 회사의 분위기는 호칭과 서열파괴로 가족같은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기업의 경쟁력은 매출신장에도 있지만 그 매출을 만들어 내는것도 결국은 사람이고 즉 직원들의 역량과 로열티가 가장 큰 경쟁력이라고 박순구 (Justin Park ) 지사장은 말한다. 경쟁기업보다 더 좋은 근무조건과 복리후생을 항상 유지하려 노력한다고 한다. 회사 소개 영상 아날로그 반도체 랭킹 RICHTEK 본사 (대만 신주 위치) 회사사진 RICHTEK 한국 지사 (판교 테크노밸리 위치) 회사사진 RICHTEK한국지사 2018년도 송년회 대만 MediaTek Group 사 RICHTEK 및 대만 MediaTek Group 사 소개
HR Interview더보기 +
기타보도더보기 +
-
김종철 03-08 15:44
비트코인 등으로만 쇼핑 가능한 회원제 쇼핑몰, 'UTmall' 오픈
코인으로 쇼핑 가능한 회원제 쇼핑몰, 'UTmall'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유캔디앤디(대표 김태환)는 현금 결제 없는 비트코인 등으로만 쇼핑 가능한 회원전용제 쇼핑몰인 'UTmall'을 선보였다고 8일 밝혔다. 유캔디앤디는 각 국의 쇼핑몰이 상품이 판매되면 판매대금에서 광고비 등 각종 부대비용을 공제해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부담시키는 것에 반해 소비자부담이 없고 소비자에게 비용이 이익으로 전환될 수 있는 현금 결제 없는 코인결제 쇼핑몰을 오픈해 외국인들이 코인결제로 한국에서 쇼핑을 가능하게 그 길을 열었다. 김태환 대표는 "최근 화두가 되는 블록체인에서 중앙화와 탈중앙화에 대한 거론을 많이 하고 있는데 'UTmall'은 탈중앙화 쇼핑몰이다. 중앙화란 간섭을 받는 뜻이고 탈중앙화는 간섭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외국인 입국이 힘들고 법정화폐 사용으로 인한 국가의 통제와 불편함으로 쇼핑몰은 매출에 한계가 있다"며 "이에 당사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코인으로 상품을 쇼핑하고 결제 가능할 수 있도록 해 명실상부한 법정화폐의 간섭을 받지 않는 탈중앙화 쇼핑몰을 전 세계인 대상으로 영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회원이 있는 사업체와 협업하고 그 회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오픈 형태의 쇼핑몰은 상품 마케팅의 약자인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막대한 이익을 챙기는 구조이고 결제를 현금으로만 하다 보니 결제방식과 보증 등으로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그러나 UTmall은 생산자와 상품을 직접 계약하고 판매하고 그 이익을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공유시켜 그 이익으로 각자의 몫을 가져갈 수 있는 쇼핑몰이고, 또한 대부분 쇼핑몰은 현금 결제라는 벽으로 가능하지 못한데 UTmall이 상품결제를 코인으로 전액 다할 수 있다는 것은 획기적이고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유캔디앤디는 코로나19와 언택시대에서 비대면에 활용할 수 있는 소비자와 인터넷 망을 연결한 제3의 물류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물자교환교차시스템(Commodity Exchange Crossing System)'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으로 소비자는 인터넷에서 쇼핑몰에 상품을 위탁하고 마치 쇼핑몰을 개인의 가게처럼 활용하고 더 나아가서 서로의 상품을 교차하고 코인 등으로 교환하여 서로의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비트코인 등으로 결제하면 거품이 없는 착한 가격으로 상품을 서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결제의 방법이 탈중앙화되어 세계를 대상으로 거래를 할 수 있다. 유캔디앤디 쇼핑몰 개발자는 "유캔디앤디의 회원전용 쇼핑몰은 블록체인 기반의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커뮤니티라고 생각한다. 이 커뮤니티에서 활용될 수 있는 '사람을 사랑하는 코인, 하트'가 쇼핑 전용 코인으로 탄생했고 이 HEART는 대체화폐로서 언택시대에 국적과 관계없는 탈중앙화 서비스에 활용돼 생산과 소비가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매체로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김종철 03-08 15:32
서울시, 서울-지역 청년 교류협업 프로젝트 발굴해 지원… 10개 참여단체 모집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서울시가 서울과 지역의 청년들의 교류와 협업으로 다양한 연결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실제 변화를 만드는 「청년 교류 지원사업 - ‘연결의 가능성’」 10개 내외 프로젝트를 발굴해 지원한다. 프로젝트 당 최대 3천만 원(총 3억5천만 원)을 지원한다. 5월부터 시작한다. 「청년 교류 지원사업 - ‘연결의 가능성’」은 2019년 시범사업을 거쳐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사업은 서울과 지역의 청년단체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프로젝트를 기획‧실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컨대, 서울-지역 청년단체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교류모델을 발굴하거나, 청년마을 조성과 자립을 위한 사업모델을 실험해 일자리, 주거, 문화, 생활 등 지역사회 청년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시는 ▴서울과 지역단체 간 협력으로 경험을 공유하고 ▴인적‧물적 자원 교류를 통해 문제해결력을 강화하고 ▴활동무대를 지방까지 확장해 서울과 지역 청년의 다양한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시는 올해 「청년 교류 지원사업 - ‘연결의 가능성’」에 참여할 청년단체를 3.8부터 3.26 18시까지(19일 간) 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모집한다. 또 3.19 사업설명회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개최한다. 서울시는 선정된 단체에 대해 보조금 교육, 사업 참여단체 네트워크 구축, 사업 대상 지자체 연계, 온·오프라인 홍보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표자가 청년(만19~39세, 공고일 기준)인 서울과 지방의 법인, 기업, 단체(영리·비영리 무관) 2개 이상이 컨소시엄 형태로 공동 응모할 수 있으며, 공고문 첨부양식을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사업 공고는 서울시청년포털 및 서울시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문의는 서울시 청년청으로 하면 된다. 이 사업을 통해 작년에는 서울의 청년들과 충청, 전라 등 11개 광역시도의 청년들이 12개 프로젝트를 펼쳤다. 12개 청년단체들이 중심이 되고, 115개 단체들과 협업해 인적·경제적·문화적 교류를 토대로 상생협업 모델을 발굴했다. 고정관념을 깨는 참신한 실험들을 통해 지역 청년과 청년단체들의 역량과 자생력을 키우는데도 협력했다. 작년 한 해 총 2,800여 명의 청년들이 프로젝트에 함께 했다. 시는 작년 12개 단체(지역) 모집에 총 61개 컨소시엄 단체가 신청해 지역적 교류에 대한 청년들의 높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충남 부여에서는 지역 간 문화불균형 격차를 줄이고 자생력을 확보하는 ‘예술로 부여잡기’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청년예술인이 교류하고 축제를 개최해 지역홍보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했고, ‘민-관-학’ 분야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전북 전주에선 주거-활동-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복합형 청년거점공간을 구축을 시도한 ‘LIFE TEST BED in 전주’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도시‧지역 청년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청년의 살자리, 일자리, 놀자리를 보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서로 다른 꿈을 가진 청년들이 약 3개월 간 이곳에서 함께 살면서 창업 등 진로와 꿈을 키웠다. 경북 울릉군에서 추진된 ‘자기발견섬(島)’ 프로젝트에 함께한 10명의 청년들은 2주 동안 울릉도라는 낯설고 고립된 환경에서 생활하며 자기를 발견하고, 건강한 회복탄력성, 치유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
김종철 03-08 12:02
"재택근무 잘하는 기업으로 가는 길",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참여기업 모집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고용노동부는 올해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3월 8일부터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1차 참여기업 모집은 3월 26일(금)까지 3주간 진행되고, 올해 상반기 중 3회 내외의 모집 기간이 추가로 있을 예정이다. 중소.중견기업 등 재택근무 도입·개선을 희망하는 기업은 폭넓게 신청할 수 있으며, 올해 총 400개소의 참여기업 선정되어 12주 무료 컨설팅을 지원받게 된다.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은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일하는 방식인 재택근무의 현장 안착을 지원하고, 선도사례를 육성하고자 2020년 9월부터 시작된 한국판 뉴딜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재택근무를 희망하는 기업에 전문 컨설팅 기관 소속 인사노무 컨설턴트와 정보기술(IT) 컨설턴트를 현장 투입하고, 총 12주 동안 사업장 진단(1~2주), 인사노무제도·정보기술(IT) 기반시설 도입 설계 및 정부지원제도 연계(3~8주), 시범운영(9~10주) 및 사후관리(11~12주)를 한다. 기업은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인사노무관리 규정의 재·개정, 정보기술(IT) 기반시설 도입, 노사협의 및 인식개선, 노동법적 쟁점 해결, 정부지원제도 연계 등에 대해 현장 경험이 풍부한 컨설턴트의 밀착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올해 컨설팅 수행기관으로는 한국생산성본부, 한국능률협회컨설팅, 한국표준협회 총 3개 전문기관이 참여하여 기업별 맞춤형 재택근무 도입·운영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 2020년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의 주요 성과 ] 2020년에는 총 212개소의 중소·중견기업 및 공공기관에 컨설팅을 했고, 다양한 업종·규모의 기업이 참여하여 만족도가 높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23.1%, 49개소), 정보통신업(22.6%, 48개소),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8.4%, 39개소), 도소매업(11.3%, 24개소) 등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업장 규모로는 종사자 수 30~99명 규모가 80개소(37.7%)로 가장 많았고, 30명 미만 59개소(27.8%), 100~299명 51개소(24.1%), 300명 이상 22개소(10.4%) 순으로 다양한 규모의 사업장이 참여했다.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컨설턴트의 전문성에 만족한다는 의견이 92.3%, 컨설팅이 재택근무 도입.활용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90.7%를 차지하는 등 컨설팅에 대한 사업장 만족도가 크게 높았다. 또한, 많은 중소·중견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다양한 재택근무 우수사례도 도출됐다. 건설서비스업종 중견기업인 ‘벽산 엔지니어링(주)’는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컨설팅을 실시하여 부서장 등 중간관리자의 부정적 인식을 극복한 사례이다. 재택근로자 설문조사 등 내부의견 수렴을 통해 재택근무에 꼭 필요한 세부 규정 정비, 컴퓨터 대여 서비스 제공 등을 추진한 결과, 작년 11월 시범운영 이후 재택근무 활용 인원은 150명에 달하며, 업무집중도와 효율성, 근무 만족도 측면에서 긍정 평가가 이루어지는 등 제도가 순항 중이다. 제조.전자상거래업종의 ‘한국캘러웨이골프(유)’는 기존의 다양한 유연근무제를 운영해 온 바탕 위에 상시적 재택근무를 전사 범위로 확대하기 위해 컨설팅을 신청했다. 원활한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재택근무 적합 직무 분류를 위한 정성·정량평가를 하고, 주당 최대 3일의 재택근무일 배정, 업무 양과 질 관리 절차 등 관련 규정을 구체화했다. 이후 시행한 시범운영에서 근로자와 관리자 양측의 높은 만족도는 물론, 간결한 회의와 보고체계를 바탕으로 생산성도 향상됐다. 평균 근로시간도 주 45.7시간에서 43.7시간으로 2시간 단축됐다. 공공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도 재택근무를 일.가정양립형, 전염병 예방형 등으로 분류하고 유형별로 세분화된 규정, 지침서를 마련하여 안정적인 제도운영의 모범 사례가 됐다. 그 밖에도 정보기술(IT) 및 전문 서비스업종 중 ‘한국씨아이엠(주)’가 재택근무로 절감한 사무실 운영비용을 각종 복지제도로 구성원에게 환원한 사례, ‘㈜퍼니플럭스’가 장거리·해외거주자, 장애인, 임산부 등을 근무 장소의 제약 없이 고용하여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상생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재택근무를 확대한 사례, ‘㈜서울CRO’가 완전한 비대면 근무를 목표로 컨설팅에 참여하여 현재 100% 재택근무 중인 사례 등이 돋보였다. 이 같은 우수기업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수록한 2020년 재택근무 종합컨설팅 우수사례집은 고용노동부 일생활균형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2021년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주요 개편사항 ] 한편, 고용노동부는 2020년도 성과를 바탕으로 2021년도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사업을 확대·개선하여 양질의 선도사례를 육성·발굴해나갈 계획이다. 2020년도 212개소 지원에 이어 2021년도에는 총 400개소로 지원 규모를 약 2배로 늘이고, 기업당 컨설팅 기간도 9주에서 12 주로 확대했다. 또한, 재택근무를 처음 접해보는 기업에 대한 종합컨설팅뿐만 아니라 자체 운영 경험을 토대로 성과관리, 조직문화 개선 등 특정 주제에 대해 심화 컨설팅을 원하는 기업에 적합한 컨설팅 과정을 새롭게 개발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2021년도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우편 또는 전자우편으로 신청서 및 수행계획서 등 작성서류와 사업자등록증, 고용보험 완납증명원 등 구비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작성서류 서식은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기업은 신청서 작성 시 선호하는 컨설팅 전문기관을 지정할 수 있고, 별도의 기관을 지정하지 않거나 지정한 기관의 컨설팅 물량 소진 시에는 적절한 기관으로 조정하여 배정될 수 있다. 민길수 고용지원정책관은 “재택근무가 더욱 활성화되어 우리 기업의 경쟁력 및 생산성 강화, 근로자의 일·생활균형 증진을 도모하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재해 등 비상상황에서도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는 등 미래의 사회·경제구조에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김종철 03-08 11:38
코로나19로 피해 입은 중소기업 위해 법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 3개월 연장한다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행정안전부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에 대해 2021년 법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을 모든 지자체에서 3개월 직권 연장한다고 밝혔다. 납부기한 직권 연장 대상은 코로나19 방역조치에 따른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의 중소기업과 고용위기지역·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이고, 연장 기간은 당초 4월 말에서 3개월 늘어난 7월 말까지이다. 직권 연장 대상 중소기업과 관련하여, 국세인 법인세의 납부기한 직권 연장을 받은 기업은 법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을 별도로 지자체에 신청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연장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 국세청, 지자체가 협력했다. 3개월이 넘는 납부기한 연장*이 필요한 기업은 '지방세기본법'에 따라 법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기한 만료일 3일 전인 4월 27일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연장 신청을 하면 된다. 이번 조치로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의 중소기업 등 총 34,900여 개 기업(‘20년 기준 법인지방소득세 납부액 약 470억 원)이 법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직권 연장을 받게 될 것으로 추산된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법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으로 어려운 중소기업의 짐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릴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부처와 협업하여 코로나19 피해에 대한 지원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김종철 03-08 11:28
젊은 어업인에 어촌계원 자격 넘기면 연간 최대 1,440만 원 지급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해양수산부는 3월 8일 수산분야 경영이양 직접지불금의 지급액을 고시한다고 밝혔다. 경영이양 직접지불제도(이하 ’경영이양직불제‘)는 올해 3월부터 시행되는 수산분야 공익직불제 중 하나로, 만 65세 이상부터 만 75세 미만 어촌계원이 만 55세 이하의 어업인에게 어촌계원의 자격을 넘기면 일정액의 직불금을 지급하여 고령 어업인에게는 소득 안정을, 젊은 후계 어업인에게는 적극적인 어촌 진입 기회를 제공한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분야 경영이양 직접지불금 지급액 고시 제정을 통해 경영이양직불제 지급 대상자에게 주는 지급액을 확정했다. 지급대상자에게는 신청 연도 직전 최근 3년간 어촌계 1인당 평균 결산소득을 기준으로 200만 원 이하인 경우 연간 120만 원을 정액 지급하고, 200만 원이 넘고 2,400만 원 이하인 경우엔 연간 결산소득의 60%를, 2,400만 원이 넘으면 연간 1,440만 원을 정액으로 연령에 따라 최대 10년 동안 지급한다. 경영이양 직불금을 받으려면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어업경영 관련 정보 등을 등록한 어업인으로서, ▲10년 이상 계속해서 어촌계원 자격을 유지하고 ▲어촌계 결산보고서를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있는 어촌계원이어야 한다. 또한, ▲소속 어촌계 가입조건을 충족하면서 경영을 이양 받고자 하는 만 55세 이하의 젊은 어업인이 있어야 하는데, 신청자의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인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경영이양 직불금을 신청하고자 하는 어업인은 소속된 어촌계의 계원 명부, 신청연도의 직전 3년간 어촌계 결산보고서 등을 준비하여 거주지의 읍·면·동 사무소로 신청하면 된다. 다만,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금과는 중복하여 신청할 수 없다. 2021년 경영이양 직불금은 연중 신청이 가능하며, 사업 대상자 선정(60일) 및 직불금 지급을 위한 약정체결(30일) 등 일정을 감안하여 만 65세 이상 만 75세 미만의 생년월일이 도달하기 3개월 전부터 미리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경규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관은 “경영이양직불제가 고령의 어업인과 젊은 어업인이 조화롭게 상생하며 잘 사는 어촌을 만드는 기반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어촌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
김종철 03-08 11:10
中, 태양광 발전설비 규모 6년 연속 글로벌 1위 달성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2020년 중국의 신설 태양광 발전설비 규모는 48.2GW, 누적 발전설비 규모는 253 GW에 달했으며, 폴리실리콘, 실리콘 웨이퍼, 전지셀, 모듈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14.6%, 19.7%, 22.2%, 26.4% 증가하였다. 중국태양광발전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은 누적 태양광 발전설비 규모, 신설 발전설비 규모, 폴리실리콘 및 모듈 생산량이 6년, 8년, 10년, 14년 연속 글로벌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PV 제품 수출은 198억 달러로 코로나19의 영향 및 가격인하로 전년 대비 5% 감소하였음. 비록 수출액이 감소했지만 모듈 수출량은 전년 대비 18% 증가했고, 실리콘 웨이퍼와 전지셀 수출량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임. 폴리실리콘 수입량은 전년 대비 30% 감소했으며 자급율이 80%에 달한다. 산업집중도의 제고로 폴리실리콘, 실리콘 웨이퍼, 전지셀, 모듈 상위 5대 기업 생산량이 중국 전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87.5%, 88.1%, 53.2%, 55.1%로 집계되었다. [출처 : 인민일보] -
김종철 03-08 11:09
중국, 음식 배달앱 어러머, 기업 대상 생화 배송서비스 개시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중국내 유명 음식 배달입 어러머(饿了么)는 생화 프랜차이즈 브랜드 및 중소규모 생화매장을 포함한 5,000개 점포와 협력하여 3월 3일부터 기업 대상 생화주문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대부분의 생화는 10송이부터 주문 가능하다. 최근 어러마는 생화·녹색식물 분야에서 부단히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으며, 올해 3월부터 '생화 주문시 꽃병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여 소비자의 재구매율을 높혔고, 올해 신정 기간에는 생화매장과 협력하여 DIY 제품인 '작은 소나무(카드와 스티커 증정)'를 출시하여 호평을 받았다. 지난해 7월 어러마는 '음식 배달 플랫폼'에서 '생활서비스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한다고 발표했으며, 100여개 도시의 요식업체, 생활서비스업체, 소매업체와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출처 : 환구망] -
김종철 03-08 07:53
미국, 에어버스 보조금 관련 對영국 보복관세 4개월간 보류 방침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미국이 에어버스 불법보조금에 근거하여 부과한 對영국 보복관세 부과를 4개월간 보류키로 결정, 협상을 통한 항공보조금 분쟁 해결의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美 무역대표부는 4일 협상을 통한 항공보조금 분쟁해결을 위해, 위스키, 치즈 등 5억5천만 파운드 상당 영국 상품에 부과한 25% 보복관세를 4개월간 보류키로 결정했다. 이는 앞서 영국이 올 초부터 보잉 불법보조금 관련 對미 보복관세를 잠정 유예하며 미국에 유사한 조치를 통한 관계 개선을 촉구한 데 미국이 호응한 것이다. 이에 대해 보잉과 에어버스는 영-미간 상호 보복관세 잠정중단을 환영하며 협상을 통한 보조금 문제 해결로 중국 등의 반사적 이익을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U와 미국은 2004년 에어버스 항공기 판매(인도분 기준)가 처음 보잉의 판매량을 상회한 이후 EU-미국간 항공보조금 분쟁이 격화, WTO 사상 최장의 분쟁으로 기록된다. WTO는 양측의 항공보조금 모두 불법보조금으로 판정, 미국에 75억 달러, EU에 40억 달러 상당의 상대국 상품에 대한 25% 보복관세 부과를 허용했다. 영국이 EU를 탈퇴함에 따라 WTO가 EU에 허용한 보복관세 권한을 영국이 승계, 對미 보복관세 부과 또는 중단 권한 보유 여부가 논란이다. 영국은 EU 탈퇴에도 불구, 여전히 對미 보복관세 재개 권한을 유보하고 있으며, 미국과 직접협상을 통한 보조금 문제 해결 등이 브렉시트의 긍정적 효과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WTO가 보복관세 권한 주체로 EU 이외에 영국을 언급하지 않아, 브렉시트와 함께 영국의 對미 보복관세 권한도 상실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EU가 6개월간 상호 보복관세 중단과 협상을 제안한데 대해, 미국도 공정경쟁 관점에서 보조금 분쟁을 재검토할 것임을 시사하는 등 협상 가능성은 고조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자체 제작 C919 항공기의 상업적 운용을 연내 개시할 예정인 가운데, 보조금 분쟁에 따른 중국의 반사적 이익 우려되는 점도 협상촉진의 계기가 될 전망이다.
CEO Event더보기 +
-
박하록 12-24 09:06
[단독] 주한외국기업 상의. 단체 뉴스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단독] 주한외국기업 상의. 단체 뉴스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다음은 주한외국계기업 단체 및 상의관련 뉴스 입니다. 먼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내표이사협회 G-CEO 의 새로운 회장 선출 소식 입니다. 지난 7일 G CEO는 송년임시총회를 통해 새로운 회장으로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를 선임했고 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밝혔습니다. G-CEO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비영리 단체로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한국대표이사들의 비영리협회이며 주한외국기업연합회 코파[KOFA]의 소속단체입니다. G-CEO는 자기 성장과 사회적기여라는 미션으로, 세미나를 통한 역량 개발과 회원사 간의 네트워킹을 통한 비즈니스 교류, 산학협력차원에서 CEO 특강 활동과 기타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한편 전임 회장이었던 리치텍코리아 박순구 사장은 올해 12월부터 대만 본사로 영전해 R&D 부문 글로벌 책임자로 발령됐습니다. 이밖에 각 산업별 분과 위원장으로 반도체산업분과에 인피니언테크널러지코리아 이승수 사장, 자동차산업분과에 브로제코리아 금종구 사장, 화학산업분과에 에보닉코리아 최윤영 사장, PR.광고산업분과에 DDB Korea 고광수 사장, 네트워크위원장에 키네트테크널러지코리아 나종배 사장, 골프분과에 단디코리아 홍경표 사장, 탤런트리쿠르팅 분과에 로버트월터스코리아 최준원 사장 등이 1차로 선임 됐습니다. 한편 아직 선임되지 않은 분과의 위원장들은 내년 상반기 이사회의 제안을 거쳐 새로 선임된 회장단의 승인과정을 통해 2차로 선임할 계획이라고 협회 김종철 상임대표는 밝혔습니다. 다음은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코펜에이치알 소식 입니다. KOFEN HR 은 이관영 회장이 AIG Korea 인사전무에서 한국씨티은행 총괄인사전무로 영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관영 전무는 국내 글로벌 대기업인 동부그룹 인사담당 최고임원으로 시작해서 씨티은행 인사담당 최고임원을 거쳐 AIG Korea로 자리를 옮겨 AIG Group 내 여러 자회사에서 인사담당 최고임원 및 AIG 자회사들의 한국지사장까지 경력을 쌓은 인사 전문가이자 최고경영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
김희제 12-08 12:11
[단독]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 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 선임 -
김희제 10-28 15:16
G-CEO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G-CEO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회장 - 리치텍코리아 박순구 대표이사) 가 G-CEO 10월 호텔 루프탑행사를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지난 16일(금) 강남에 위치한 호텔 크레센도 바이 아코르앰버서더 15층 루프탑에서 개최되었고 코비디19 장기화에 따른 인사노무 전략에 대한 박진화 노무사님의 브리핑 시간과 참가한 정회원사 외국계기업 대표이사들간의 네트워크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날 행사에는 G-CEO 홍보대사인 SBS 공채 탤런트 이상은씨가 가을의시 낭송 협찬도 하였다. 다음 행사는 11월18일 골프행사와 송년회 행사등도 다채롭고 유익한 내용으로 준비할 예정이라고 사무총장 류성현 ( 법무법인 광장 국세전문 파트너 변호사 ) 는 밝혔다. -
김희제 08-03 19:15
[G-CEO] Global Enterprise CEO Association, annou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ages and benefits of foreign companies in Korea, and hold a rooftop event
[G-CEO] Global Enterprise CEO Association, annou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ages and benefits of foreign companies in Korea, and hold a rooftop event [G-CEO]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on the 22nd that the held a rooftop dinner event at the Glad Live Gangnam Hotel and announced the results of the 2020 survey on wages and benefits of foreign companies by Mr. Roo Sung-hyun ( attorney for law firm Lee & Ko ). In a survey of more than 2,000 foreign companies in Korea, 135 companies responded, and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Korea country managers of foreign companies in 2020 was more than 300 million won (28.68 percent), and it seems to have risen slightly from 250 million won in 2019.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executive-level officers (full-time, executive and director) was 100 to 150 million won (38.71 percent). The detailed survey report will be published as a booklet "The White Paper on Foreign Companies in Korea 2020," with the current status of 2,000 foreign companies nationwide (such as representatives, recent sales amount, employee numbers, addresses, business license numbers, etc.) and books containing major laws, labor issues and HR issues that recently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 The booklet will be distributed free to regular members. n particular,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offline special lectures due to Corona 19, the G-CEO said it will also provide E Book and video animation special lecture materials. Bang Ha-nam (former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Lee Sang-eun (SBS Drama actress), Park Ha-rok (specialized photographer ), and reporters from the media industry department of GEN were specially invited to the rooftop evening event. Photographs: [G-CEO] Submit
HR Event더보기 +
-
김희제 11-23 01:12
G-CHRO [ KOFEN HR ] 11월 Rooftop 정기학술모임 소식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G-CHRO , KOFEN HR ] ( 회장 - 씨티그룹코리아 이관영 전무이사) 가 11월 정기학술모임 행사를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지난 18일(수) 강북에 위치한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인 닐슨코리아에서 개최되었고 글로벌 개인진단인 버크만진단을 통해 참석회원들의 개인적 조직적 성향에 대한 분석을 김진규 교수 (건국대 겸임교슈) 가 디브리핑을 하였다. 이번 행사는 협회에 가입한 정회원사를 방문하는 회원사방문행사의 일환이었고 방송매체에서 뉴스로만 접해오던 닐슨코리아의 비즈니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접할수 있는 행사였고 다음 행사는 12월10일 (목)에 라마다 서울에서 송년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사무총장 김진규 ( 주 선진 - 하림그룹) 는 밝혔다. -
김희제 10-25 23:36
G-CHRO [ KOFEN HR ]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G-CHRO [ KOFEN HR ]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G-CHRO , KOFEN HR ] ( 회장 - 씨티그룹코리아 이관영 전무이사) 가 10월 호텔 루프탑행사를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지난 23일(금) 강남에 위치한 호텔 크레센도 바이 아코르앰버서더 15층 루프탑에서 개최되었고 코비디19 장기화에 따른 인사노무 전략에 대한 박진화 노무사님의 브리핑 시간과 참가한 정회원사 인사담당간의 네트워크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다음 행사는 11월18일에도 유익한 내용으로 준비할 예정이라고 사무총장 김진규 ( 주 선진 - 하림그룹) 는 밝혔다. -
김희제 08-02 23:56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 KOFEN HR], 외국계기업 & 국내글로벌기업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결과발표회 가져....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 KOFEN HR], 외국계기업 & 국내글로벌기업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결과발표회 가져....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는 ( 회장 이관영, 54, AIG Korea 인사전무) 지난 15일 협회 회의실에서 2020년 주한외국계기업 & 국내글로벌기업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결과발표회를 하였다고 KOFEN HR 시장조사분과 위원회 공현정 위원장 ( 한국아즈빌 인사부장 ) 는 밝혔다. 이날 조사발표에서 2000여개 주한외국계기업 및 국내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한 조사에서 135개 기업이 응답을 하였고 2020년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의 평균 연봉은 3억 이상 (28.68%) 인것으로 나타났고 2019년 2억5천만원보다 다소 상승한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임원급(전무,상무,이사)의 평균 연봉은 1억에서 1억5천만원(38.71%) 로 나타났다. 인사담당 임원급 (전무,상무,이사)의 평균 연봉의 경우도 1억에서 1억5천만원(29.63%) 로 나타났다. 인사담당 신입사원의 연봉은 3천만원에서 3천오백만원 사이 (38.27%) 로 발표되었다. 자세한 조사결과발표자료는 8월중순경 "2020 주한외국기업백서 " 책자로 발간되며 금번조사한 급여및 복리후생결과와 올해 7월말 기준 2,000여개 외국계기업 전국 각지역별 현황 (상호,대표자,최근 매출액, 종업원수,주소,사업자번호등 ) 과 최근 국회를 통과한 주요법령 과 노동이슈,인사노무현황등을 수록한 책자를 정회원사를 대상으로 무료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특강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E Book 과 동영상 에니메이션 특강자료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사무총국 제공 -
김종철 06-02 18:07
외국계기업과 국내글로벌기업 인사담당들 "포스트 코로나와 노동법 이슈 " 에대한 토론회 가져
외국계기업과 국내글로벌기업 인사담당들 "포스트 코로나와 노동법 이슈 " 에대한 토론회 가져 외국계기업 과 국내 글로벌대기업의 인사담당 임원들과 중간관리자들로 구성된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회장 AIG Korea 이관영 인사전무 ] 이 "포스트 코로나와 노동법 이슈 " 에대한 토론회 를 개최하였다. 5월27일(수) 에 열린 모임에서 법무법인 세종 오세웅 노무사의 기조발제후 인사담당자로서 코로나19로 인한 인력관리 방안에 대한 기업의 애로사항과 대처방안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Other Event더보기 +
-
박하록 12-15 01:40
[단독] 주한덴마크대사관-한국환경공단, 바이오가스·그린수소 생산 분야 업무 협약 체결
주한덴마크대사관-한국환경공단, 바이오가스·그린수소 생산 분야 업무 협약 체결 왼쪽부터 장준영 환경공단 이사장,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가 서울 중구 주한덴마크대사관저에서 ‘순환경제: 바이오 가스 및 그린 수소 생산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에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주한덴마크대사관(대사 아이너 옌센)과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장준영)이 14일 서울 중구 주한덴마크대사관저에서 ‘순환경제: 바이오 가스 및 그린 수소 생산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이번 협약은 바이오 가스와 그린 수소 생산 분야의 양국 협력 증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성사됐다.두 기관은 순환경제 분야 협력을 통해 양국 우호 증진 및 협업 활성화에 나설 예정이다.협약서에는 포괄적인 환경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내년 5월 서울에서 열리는 ‘P4G 정상회의(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Global Goals 2030,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 개발도상국에 전파할 수 있는 순환경제 접근 방법 발굴 등의 내용이 담겼다.P4G 정상회의는 민관 협력으로 기후 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의 달성에 속도를 내기 위해 2011년 출범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내년 서울에서 열리는 행사는 2차 회의로, 1차 회의는 201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됐다.협약서에는 이외에도 △바이오 가스, 그린 수소 생산 등 순환경제로 전환 촉진을 위한 정책 및 활동 △바이오가스 생산, 그린 수소 전환 사업에 대한 민관 협력 프로젝트 및 해외 사업 수행 및 발굴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두 기관은 협약서에 근거해 앞으로 양국의 구체적인 협력 사업 및 추진 계획을 수립, 이행할 예정이다.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는 “이번 양국 협력은 대한민국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위한 양국의 모범 협력 사례가 될 것”이라며 “특히 유기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가스와 이를 이용한 그린 수소 생산은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를 지향하는 여러 나라의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박하록 12-01 00:33
주한스웨덴대사관, ‘제1회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 개최
주한스웨덴대사관, ‘제1회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 개최 ‘Sweden-Korea Nobel Memorial Program 2020’ 공식 포스터 주한스웨덴대사관이 과학과 인문학에 대한 탐구를 증진하기 위한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을 개최한다.12월 1일 온라인 진행되는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은 올해 노벨상 과학, 경제, 문학 수상자의 연구에 대한 3개 심포지엄으로 진행된다.주한스웨덴대사관은 이번 온라인 심포지엄을 통해 2020년 노벨상 분야별 연구 및 업적에 대한 지식을 확대하고 과학, 경제학, 문학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과 토론의 기회를 마련한다.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스웨덴의 혁신가이자 산업가인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1901년 제정됐다. 제정 당시에는 물리학, 화학, 생리학 및 의학, 문학, 평화 총 다섯 개 부문에 걸쳐 시상이 이뤄졌다. 1969년 경제학상이 새로 추가되면서 총 여섯 개 부문에서 시상이 진행되고 있다. 매년 인류 문명 발달에 큰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를 인정받는 상이다.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은 주한스웨덴대사관과 스웨덴 4개 유수 대학(룬드대학교, 스웨덴왕립공과대학교, 예테보리대학교, 우메오대학교) 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학번역원이 공동으로 주최한다.야콥 할그렌 주한스웨덴대사는 “한국은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 가운데 하나다. 노벨에 대한 관심도 무척 높다. 올해 노벨상을 주제로 한국 대중에게 다가가는 프로그램을 새로 시작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행사로 양국 간 과학기술 및 인문학의 연구 개발 및 교육 협력에 대한 대화를 활성화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공동을 주최하는 첫 번째 행사인 과학 심포지엄은 12월 1일 오후 1시 30분~3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노벨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상 연구를 통해 인류의 과학과 기술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시간으로 올해 수상한 ‘유전자 가위 기술과 생물학, 블랙홀, 바이러스 정복기’에 대한 양국 석학들의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은 “최근 기초 과학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사회적 인식도 높아지고, 노벨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기대도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가운데 개최되는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은 과학 기술자와 일반 대중에게 모두 의미가 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이화여자대학교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경제 심포지엄은 오후 4시~5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 연구를 통해 우리 일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공적 재화인 모바일 데이터와 관련 주파수 가격을 책정하는 경매 이론에 관해 토론한다. 김혜숙 이화여자대학 총장은 “한국 대학을 대표해 이화여대에서 올해 최초로 열리는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을 개최하게 된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라며 “과학, 문학, 경제학 분야에서 이화 혁신의 기록과 역량이 이번 행사에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한국문학번역원과 공동으로 주최하는 문학 심포지엄은 저녁 7시~8시30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시’의 세계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순수 문학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풍요롭게 하는지에 관해 토론한다. 김사인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은 “스웨덴 한림원이 노벨상 운영 초기부터 인문 분야의 유일한 상으로 문학상을 제정한 취지에 깊이 공감한다”며 “이번 행사가 불확실성의 시대에 문학이 갖는 의미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
김종철 09-11 12:20
[단독] SAP 코리아, 실리콘밸리 포스트-유니콘 센드버드와 함께 온라인 세미나 개최
[단독] SAP 코리아, 실리콘밸리 포스트-유니콘 센드버드와 함께 온라인 세미나 개최 한국의 디지털 혁신과 국내 기업 방향성 제시를 위해 이성열 SAP 코리아 대표와 김동신 센드버드(Sendbird) 대표가 만났다. SAP 코리아는 채팅 API 스타트업 센드버드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디지털 혁신과 국내 기업들이 가져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마켓 리더들의 뉴노멀한 고민, 디지털 혁신의 방향성 “Build or Buy?”’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온라인 세미나는 9월 17일(목)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진행된다. SAP 코리아 이성열 대표이사와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이사는 이번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두 회사가 가지고 있는 전략과 방향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는 물론 이전과 달라진 점 그리고 이 시대에 맞는 디지털 혁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향후 한국 기업이 가져가야 할 디지털 혁신의 방향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SAP 코리아와 센드버드는 세미나 후반에 온라인 실시간 질의응답 세션을 통해 세미나에서 제공한 전반적인 내용은 물론, 그동안 두 기업에 대해 궁금했던 사항에 대한 CEO들의 실시간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이사는 “오늘날 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달성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서 있다”며 “이번 온라인 세미나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 기업에게 유용한 디지털 혁신 방향성과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성열 SAP 코리아 대표이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심화됨에 따라 보다 능동적이고 민첩하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SAP 코리아와 센드버드는 온라인 행사를 통해 글로벌과 한국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국내 기업이 가져가야 할 디지털 혁신의 방향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2018년 3월 공식 취임한 이성열 SAP 코리아 대표는 경영, 컨설팅 및 IT 분야에서 27년 이상 경력을 지닌 디지털 변혁 및 혁신 전문가이다. 이 대표는 1990년 프라이스워터하우스(現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PwC)에서 컨설팅을 시작해 IBM을 거쳐 2015년 7월부터 최근까지 AT커니코리아 사장을 역임했다. -
김종철 09-09 16:08
[단독] AMCHAM (주한미국상공회의소) , 뉴욕타임즈 인터내셔널 Stephen Dunbar-Johnson 사장 초청 온라인 특강행사개최
[단독] AMCHAM (주한미국상공회의소) , 뉴욕타임즈 인터내셔널 Stephen Dunbar-Johnson 사장 초청 온라인 특강행사개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AMCHAM Korea]는 9월3일 오후4시30분 ( 미국현지시간 새벽3시) 에 Zoom 온라인 화상을 통하여 특강을 개최하였다. 아젠다는 business strategy for Asia and the dynamics shaping the global media landscape 였다.
English[영문판]더보기 +
-
홍소진 03-05 15:41
[단독외신] New high voltage battery housing for lightweight emobility developed by Evonik and partners
New high voltage battery housing for lightweight emobility developed by Evonik and partners New high voltage battery housing for lightweight e- mobility developed by Evonik and partners • Novel SMC materials reduce battery housing weight by ~10% while maintaining strength and high voltage performance • Lightweight battery components deliver significant energy savings to ensure suitability for all vehicle size and classes • Evonik’s new epoxy SMC – VESTALITE® S curing agent enables lightweight design and production flexibility Essen, Germany. Evonik as part of a consortium of companies, has developed a lighter and more cost-effective battery concept for e- mobility solutions. The new holistic battery system concept offers the automotive industry a safer and more energy efficient lightweight alternative to the heavier metal-based, or higher priced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s. Although millions of electric cars and plug-in hybrids are already on the roads worldwide, there are still no generally applicable standards for the individual components. However, significant efforts are currently being made to standardize individual vehicle assemblies and establish a cross-market component standard. Increasing the range of the vehicles by improv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atteries and efficient energy recovery is currently one of the main areas of focus. In addition, reducing the weight of the individual vehicle components can also help to reduce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to overcome driving resistance (e.g. tire rolling, gradient, acceleration). To this end, Evonik, Forward Engineering, LION Smart, Lorenz Kunststofftechnik and Vestaro (a joint venture of Evonik and Forward Engineering), began working together on a modular- multi-material approach at the end of 2019. Today, the partnership has developed a brand-independent, cost-effective solution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weight of the battery housing by approximately 10 percent compared to other commonly used material combinations, without any loss in mechanical properties. Developed for three different battery-sizes, 65kWh, 85 kWh and 120 kWh for use in various vehicles sizes and class,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e new battery concept is the glass fiber (GF)- Sheet Molding Compound (SMC) cover. Based on the high-performance epoxy curing agent VESTALITE® S from Evonik, the new SMC delivers the performance levels of the previous metal-based battery enclosures, while being significantly lighter than the current more cost-prohibitive SMC Materials. “Battery modules and their housing has become a key area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efficiency and affordability of modern electric vehicles,” said Dr. Leif Ickert, Marketing Manager Composites and Adhesives, Evonik Operations GmbH & Managing Director, Vestaro GmbH. “Composite technologies provide strength and versatility, so offer a very promising solution for future battery system concepts. Our new glass fiber-reinforced SMC delivers the performance and economic benefits the automotive industry requires to push ahead with the next generation of sustainable e-mobility concepts.” The glass-fiber-reinforced epoxy SMC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flexural and impact strength, and by using epoxy resin instead of the usual polyester resin, other problems often encountered during downstream processing of glass-fiber- reinforced SMC materials have been eliminated. Additionally, it meets all specifications regarding fire resistance and is easy to process even when complex geometries are demanded. The entire concept was successfully tested for suitability for series production and safety even under extreme conditions. Additionally, consortium partner, Lorenz Kunststofftechnik has developed an established process for successfully recycling glass fiber-reinforced SMC materials – an important argument in view of the increasing sustainability requiremen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new battery housing concept, images and additional quotes from the consortium’s partners please visit evonik.com/vestalite-s. For specific information about Evonik’s new VESTALITE® S epoxy curing agent please visit www.vestalite.com. About Evonik Evonik is one of the world leaders in specialty chemicals. The company is active in more than 100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generated sales of €13.1 billion and an operating profit (adjusted EBITDA) of €2.15 billion in 2019. Evonik goes far beyond chemistry to create innovative, profitable and sustainable solutions for customers. More than 32,000 employees work together for a common purpose: We want to improve life today and tomorrow. About Evonik Crosslinkers The Crosslinkers Business Line offers a broad range of products and competences for coatings and adhesives, as well as for high-performance elastomers and composites. Besides products based on isophorone chemistry the portfolio contains a full toolbox of amine curing agents for ambient and heat cure applications. The products are main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the mechanical strength,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excellent adhesion properties. www.evonik.com/crosslinkers Disclaimer In so far as forecasts or expectations are expressed in this press release or where our statements concern the future, these forecasts, expectations or statements may involve known or unknown risks and uncertainties. Actual results or developments may vary, depending on chang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Neither Evonik Industries AG nor its group companies assume an obligation to update the forecasts, expectations or statements contained in this release. -
박하록 12-17 03:53
[단독외신] Sneaker site StockX valued at $2.8 billion in new funding roun
Sneaker site StockX valued at $2.8 billion in new funding roun a fast-growing web destination of hard-to-find sneakers — said Wednesday it had raised $275 million in a new funding round that values the company at $2.8 billion. The latter figure, which includes the value of the fresh pile of cash, follows an exclusive report by The Post on Dec. 7, which said the company was looking to raise about $250 million at a valuation of $2.5 billion. The fast growing auction house has more than doubled its valuation from its January 2019 last major fund-raising round that valued it at a little over $1 billion. The Detroit-based company is currently planning to file for an initial public offering in mid-2021, according to sources close to the situation. Proceeds are expected to fuel growth in Asia for the site, which assigns ticker symbols to sneakers in a scrolling feed that displays bids, offers and green and red arrows to show how prices are moving. Cleveland Cavaliers Owner Dan Gilbert is a cofounder and rapper Eminem is an early investor. StockX, which authenticates all the sneakers it resells, charges a 9 to 14 percent commission on transactions. Eminem Getty Images While many of the sneakers on the site are being offered for resale after being snatched up in limited edition sales, most have never been worn. The pandemic has helped the business as it is harder now to shop at stores for sneakers, executives have said. The average sale on the site is about $230, according to an investor presentation reviewed by The Post. Despite its growth, it still projects losing $56 million this year, according to its presentation. -
홍소진 12-17 03:49
[단독외신] MacKenzie Scott gives nearly $4.2B to charity in 4 months amid pandemic
MacKenzie Scott gives nearly $4.2B to charity in 4 months amid pandemic the ex-wife of Amazon boss Jeff Bezos — gave nearly $4.2 billion to charity over the last four months to support struggling Americans during the coronavirus crisis. In a blog post Tuesday, the world’s third-richest woman said she doled out the money to 384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food banks, social services programs, civil rights groups, colleges and universities. Scott, 50, said she decided to “accelerate” her giving to help people suffering from the pandemic’s devastation following her July announcement that she’d donated almost $1.7 billion to dozens of nonprofits. Her latest donations bring her total giving for the year to roughly $5.8 billion. “This pandemic has been a wrecking ball in the lives of Americans already struggling,” Scott said in her blog post, noting that the crisis has also “substantially increased” the wealth of billionaires like herself. “It would be easy for all the people who drew the long demographic straws in this crisis to hole up at home feeling a mix of gratitude and guilt, and wait for it to be over — but that’s not what’s happening,” she added. Scott said her team of advisers selected the recipients of her gifts from an initial pool of nearly 6,500 organizations based on their ability to use the money effectively. The advisers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into the charities that involved hundreds of emails and phone interviews and “thousands of pages of data analysis,” she said. Each donation will be paid upfront and left unrestricted so the organizations have plenty of flexibility in how to use the funds, Scott said. “The responses from people who took the calls [from Scott’s team] often included personal stories and tears,” she wrote. “… Their stories and tears invariably made me and my teammates cry.” Scott is still a long way from fulfilling her goal of giving away more than half her wealth, which has surged by about $24 billion to roughly $61 billion so far this year, according to Bloomberg’s Billionaires Index. Her roughly 4 percent stake in Amazon makes up the bulk of that fortune, Bloomberg says. MacKenzie Scott Getty Images Scott set her charitable goal by signing onto the Giving Pledge in May 2019 after announcing her divorce from Bezos, who is not among the more than 200 signatories to the pledge despite being the richest man in the world. -
김희제 12-17 03:45
[단독외신] Google reportedly could be hit with second antitrust lawsuit this week
Google reportedly could be hit with second antitrust lawsuit this week A group of states is preparing to file a second antitrust lawsuit against Google this week — setting the tech titan up for a tough court battle, according to new reports. The coalition of states, led by Colorado and Nebraska, is putting the finishing touches on the antitrust complaint against Google that could be filed as soon as Thursday, Politico reported, citing two people close to the investigation. The suit is expected to focus on Google’s dominance in the online search market, particularly changes it has made to the designs of its signature search engine that put rivals at a disadvantage, according to the outlet. The complaint would come about two months after the US Department of Justice filed its own antitrust case accusing Google of maintaining “unlawful monopolies” in its search and advertising businesses. That suit criticized deals Google made to ensure that its search engine was set as the default on iPhones and Android smartphones. The states will bring their lawsuit in the same Washington, DC federal court where the feds filed theirs, according to Politico. The state attorneys general hope to eventually consolidate their case with the Justice Department’s, Reuters reported. Meanwhile, Texas attorney general Ken Paxton’s office has hired two outside law firms — Keller Lenkner and the Lanier Law Firm — to represent the Lone Star State in a lawsuit against Google, which could also be filed this month. Texas’ trial team may be led in part by Kenneth Starr, the Lanier lawyer known for his roles in the impeachment proceedings against President Bill Clinton and President Trump, according to Bloomberg News. Google declined to comment Wednesday. The Silicon Valley giant has pushed back against claims that it abuses its market power and called the federal antitrust lawsuit “deeply flawed.” “People use Google because they choose to, not because they’re forced to, or because they can’t find alternatives,” Kent Walker, the company’s senior vice president of global affairs, said in an October blog post. -
유하정 12-17 03:41
[단독외신] Marriott axes more than 800 workers at Times Square hotel
Marriott axes more than 800 workers at Times Square hotel Marriott Marquis in Times Square Getty Images Marriott plans to permanently lay off more than 800 workers at its Times Square hotel as the coronavirus crisis keeps New York City’s hospitality industry in a chokehold. The 852 workers at the New York Marriott Marquis will be axed for good on March 12 — almost exactly a year after they were put on temporary layoff as the pandemic bore down on the Big Apple, the hotel giant said in a notice filed with the state Department of Labor. “These are actions we never thought would become necessary at our location,” the hotel’s general manager told the laid-off staffers in a Dec. 9 letter, according to The Wall Street Journal. “The unprecedented severity of the COVID-19 crisis, however, has forced the location to make these difficult decisions.” The Times Square Marriott initially furloughed 1,265 employees this past March as the state shut non-essential businesses and the city emptied of tourists and business travelers who would normally fill hotel rooms, according to the labor notice. Marriott did not immediately respond to a request for comment Tuesday, but a company spokeswoman told the Journal that the staffers who remain employed have either returned to work or are expected to come back soon. The pandemic has kept New York City’s hotel industry under pressure even though officials have lifted some of the strict lockdown measures that were imposed this spring. Hotel occupancy was still about 80 percent below normal levels last month as the city and state battled an uptick in infections,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citing data from the Hotel Association of New York City. Maryland-based Marriott, meanwhile, saw its net profits for the July-to-September quarter plunge 74 percent to $100 million from $387 million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company’s shares were trading up about 2.4 percent at $129.63 as of 3:48 p.m. Tuesday, a price that puts the stock down about 14 percent for the year. -
김종철 12-17 03:38
[단독외신] Warren Buffett and Goldman Sachs boss call for small business relief
Warren Buffett and Goldman Sachs boss call for small business relief Berkshire Hathaway CEO Warren Buffett REUTERS Warren Buffett is warning Congress that it needs to stop dithering on economic stimulus or risk the future of American small business. The Oracle of Omaha teamed up with Goldman Sachs chief David Solomon Tuesday morning to put the screws to politicians who have yet to put through a second round of pandemic relief fund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coronavirus is ravaging the nation and pushing many small businesses over the brink. “It’s an economic war,” exclaimed the totemic 90-year-old investor during an interview with CNBC. “We’ve shut down a lot of people in this induced recession and others are prospering, and I think the country owes it to the millions of small business people.” Solomon echoed Buffett’s message, expressing optimism in the release of vaccines this week but cautioning that 5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in Goldman’s “10,000 Small Businesses” program have stopped paying their staff. “While you can see the finish line, I think a lot of these small businesses need help getting across the finish line,” Solomon said. The power pair are part of an increasingly strident chorus of Wall Street bigwigs pushing on Washington to get a new bill done. JPMorgan Chase honcho Jamie Dimon sounded off on the stalled stimulus talks during a Nov. 18 appearance at a financial conference. “Now we have this big debate “Is it $2.2 trillion, $1.5 trillion?” You gotta be kidding me!” Dimon said. “I mean just split the baby and move on! This is childish behavior on the part of our politicians.” Congress does appear to be listening. On Monday, leaders from both chambers released a new plan that would extend some benefits from the first round relief funding while also putting $700 million in the hands of small businesses. But Buffett made it clear on Tuesday that any proposal needs to be acted on immediately. “It’s gotta happen soon,” he warned “I mean, their boat’s going down.” -
김종철 12-17 03:33
[단독외신] Honda recalls 1.4M vehicles in US for software, overheating problems
Honda recalls 1.4M vehicles in US for software, overheating problems Enlarge Image Getty Images Honda is recalling over 1.4 million vehicles in the US to repair drive shafts that can break, window switches that can overheat and a software flaw. The software recall includes 737,000 Accords from 2018 to 2020 and Insights from 2019 and 2020. A programming flaw in a control computer can cause the rear camera, turn signals and windshield wipers to malfunction. Owners will be notified in late January about when they should take their vehicles to a dealer for repairs. Two drive shaft recalls cover 430,000 Honda Civic Hybrids from 2012, the 2007 through 2014 Honda Fit, the 2013 through 2015 Acura ILX and the 2013 through 2015 Honda Accord. They’re in 22 states where salt is used to clear roads in the winter. The drive shafts can break due to corrosion. Dealers will inspect the left and right drive shafts and replace them if needed. Parts aren’t available yet. Owners will get an initial notification in February and will be told later when to go to a dealer. About 268,000 CR-Vs from 2002 through 2006 are included in the power window switch recall. Water can get into an open driver’s window and cause an electrical short, possibly touching off a fire. It’s the second recall for the same issue. The cars were recalled starting in October of 2012, but the repairs didn’t work. Honda says it has reports of 16 fires but no injuries. Honda says owners should take the SUVs in for repairs as soon as they get a recall notice. Those will be mailed starting in late January. Owners can also check https://owners.honda.com/service-maintenance/recalls or call (888) 234-2138 to see if their CR-V is affected. -
유하정 12-16 01:51
[단독외신] Airbnb stock tumbles after more than doubling last week
Airbnb stock tumbles after more than doubling last week Airbnb CEO Brian Chesky Corbis via Getty Images Wall Street is having second thoughts about Airbnb’s frothy market debut last week. The home-sharing giant’s stock — which more than doubled last week in the company’s initial public offering — tumbled more than 8 percent on Monday after a research firm cut its rating on the shares, citing doubts whether the company’s performance would be able to justify their lofty price. “Investors we’ve spoken with like Airbnb’s business model and want to be long-term holders, but are now looking at selling the stock because they no longer feel comfortable owning it trading at a 300 to 400 percent valuation premium,” Gordon Haskett Capital analyst Robert Mollins wrote, slashing his rating on Airbnb shares to underperform from buy. The home-sharing giant became a publicly traded company last Thursday when its shares surged from its listing price of $68 to as high as $165. They closed at $144.71, giving the company a market cap of $83 billion — more than the market values of Marriott, Hilton and Hyatt combined. On Monday, the shares were recently off 8.3 percent at $127.70. Mollins said his price target for Airbnb’s shares is $103 per share, stating that he remained “positive” in his forecast for the company’s “long term” future. But he added that an “overwhelming majority” of investors he has spoken to are interested in cashing in on their quick gains. Airbnb’s 39-year-old CEO Brian Chesky got $6.5 billion richer — and tongue-tied, too — last Thursday as the vacation-rental giant’s stock price more than doubled in its blockbuster market debut. The surge drove Chesky’s net worth up to more than $11 billion, giving him a larger fortune than record executive David Geffen and hedge-fund tycoon Steve Cohen, according to the Bloomberg Billionaires Index. “That’s the first time I’ve heard that number,” he told Bloomberg Television, tripping over his words. “So I … I don’t know what else to say. It’s … that’s a … that’s a very … that’s … um … that is … yeah … I’m very humbled by it.” -
김종철 12-16 01:45
[단독외신] FDA finds Moderna’s COVID-19 vaccine to be safe, 94 percent effective
FDA finds Moderna’s COVID-19 vaccine to be safe, 94 percent effectiv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und Moderna’s coronavirus vaccine to be safe and highly effective, bolstering the shot’s chances of being cleared for emergency use this week. In a 54-page report released Tuesday, FDA staff affirmed the Massachusetts biotech firm’s finding that the vaccine is about 94 percent effective and poses no safety concerns that would prevent the agency from granting it an emergency use authorization. The analysis came ahead of a Thursday meeting where the FDA’s Vaccines and Related Biological Products Advisory Committee is expected to recommend that emergency approval, which would make Moderna’s vaccine the second to be rolled out across the country. The first shots from Pfizer and BioNTech were jabbed into Americans’ arms on Monday. In its own 84-page report, Moderna said the data show “that the known and potential benefits of the Moderna COVID-19 vaccine outweigh the known and potential risks.” As with Pfizer’s vaccine, the FDA said Moderna’s shot was similarly effective across racial, ethnic and gender groups and that it worked well in people with medical issues that put them at a high risk of severe COVID-19 infections. The clinical trial of Moderna’s vaccine also produced strong evidence that it prevents serious cases of the virus, given that all 30 participants who came down with severe infections had received a placebo rather than the vaccine. But the shot’s efficacy did vary somewhat depending on the recipient’s age, the FDA said — it was 95.6 percent effective in adults aged 18 to 64 and 86.4 percent effective in those 65 and older. Participants in Moderna’s 30,000-person trial also reported some common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fatigue, muscle aches and pain at the injection site, the FDA said. Pfizer’s shot has caused similar side effects. The FDA said there were no “anaphylactic or severe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 the study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Moderna’s vaccine. Some people in the UK suffered severe allergic reactions after receiving Pfizer’s shot. The FDA will reportedly move quickly to grant the emergency approval for Moderna’s vaccine just as it did for Pfizer’s, which received the clearance a day after the vaccine panel recommended it. Both shots use so-called messenger RNA, genetic material that provokes an immune response to the virus by directing the body to create a tiny amount of coronavirus spike proteins. Enlarge Image A nurse prepares a syringe during a study of a COVID-19 vaccine.[/caption] Moderna says it will have about 20 million vaccine doses available in the US by the end of the year, enough to inoculate roughly 10 million people with two doses apiece. Pfizer, meanwhile, expects to have about 50 million doses on hand globally this year, with about half allocated to the US. The feds expect that 20 million Americans will be able to get their first shots by the end of the month, followed by another 30 million in January. Moderna shares were down about 0.8 percent at $153.91 as of 9:35 a.m. Tuesday. -
김희제 12-15 02:09
[단독외신] California fines Uber $59 million in dispute over sexual assault data
California fines Uber $59 million in dispute over sexual assault data Getty Images California regulators fined Uber $59 million and threatened to suspend its operating license in the state after it refused to fork over details about sexual assaults that occurred on its trips. An administrative law judge ordered the ride-hailing giant to comply with the 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s request for data about incidents of sexual assault and misconduct that were reported to Uber in the state over the last three years. The commission judge said it was unacceptable for Uber to stonewall regulators’ effort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a safety risk to riders. “Rather than casting itself in the role of a victim of regulatory overreach, it is Uber who is playing the part of the obstructionist who has prevented the commission from carrying out its regulatory, investigative, and enforcement duties,” the judge wrote in the Monday ruling. The decision came about a year after Uber released a safety report revealing that it had received more than 3,000 reports of rape and sexual assault related to trips hailed through its platform in the US in 2018. That report prompted the Public Utilities Commission to seek more details about the incidents that occurred in California, including the date, location and time of each one, the circumstances of the assault, and contact information for witnesses as well as each person to whom the assault was reported. Uber has resisted the demand, calling it a “shocking violation of privacy” that could expose sexual assault survivo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full names and phone numbers. The judge noted that the commission ordered the company to submit the data under seal, which would protect any confidential information. Uber could also use a code or another signifier to identify victims instead of their full names, the ruling says. But Uber alleged that the commission has “changed its tune” and now wants to fine the company for failing to comply with an order that it “fundamentally altered.” “These punitive and confusing actions will do nothing to improve public safety and will only create a chilling effect as other companies consider releasing their own reports,” Uber spokesman Harry Hartfield said in a statement. “Transparency should be encouraged, not punished.” Uber has 30 days to appeal the judge’s ruling. The company’s shares were trading up 2.2 percent at $52.59 as of 10:19 a.m. Tuesday. -
유하정 12-02 01:15
[단독외신] New managing director in Fissler Korea
New managing director in Fissler Korea [Provide Photo by Fissler Korea] German premium cookware brand Fissler announced that it would appoint a new Korean managing director, Robert Rhee. Robert graduated from Sogang University's Department of Business and holds an MBA from University of Iowa (USA). He has a solid international marketing and leadership experience, having worked for companies like CJ, Johnson & Johnson, Reckitt Benckiser, Shoemarker, Converse, Homeplus and latest Diageo. He has a strong passion for consumer brands. Jacob Øesterhaab Fissler Global CEO say that “Korean marke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rkets for Fissler. Now is an important time for Fissler to take a leap forward as a global brand. With the appointment of Robert, we set a higher ambition level for growth of the preferred brand of premium cookware in Korea” Robert Rhee Fissler Korea new managing director say “I am very happy to start a new journey at Fissler, which leads the premium cookware market.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Fissler HQ, Fissler Korea will provide the best cooking experience for Korean consumers' kitchens. "I will do my best to help Fissler maintain its premium brand leadership through strategic sales and marketing activities." From December 1st, Robert Rhee will serve as Fissler Korea managing director. -
Camellia Sodki 11-24 13:34
Seoul shares set for skid on accelerating U.S.-China trade tensions
Seoul shares set for skid on accelerating U.S.-China trade tensions SEOUL, May 9 (Yonhap) -- South Korean stocks are expected to trade slightly lower next week due to the renewed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mid the novel coronavirus pandemic, analysts said Saturday. The benchmark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closed at 1,945.82 points on Friday, little changed from a week ago. On Monday, the stock market lost ground after U.S. President Donald Trump indicated he may consider imposing new tariffs on China over its handling of the novel coronavirus outbreak. SEOUL, May 9 (Yonhap) -- South Korean stocks are expected to trade slightly lower next week due to the renewed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mid the novel coronavirus pandemic, analysts said Saturday. The benchmark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closed at 1,945.82 points on Friday, little changed from a week ago. On Monday, the stock market lost ground after U.S. President Donald Trump indicated he may consider imposing new tariffs on China over its handling of the novel coronavirus outbreak. The market, however, later advanced by more than 1 percent as investors bet on the reopening of businesses around the globe after coronavirus lockdowns. On Friday, Seoul shares continued to gather ground as investor sentiment got a boost from less pessimistic economic indicators from the world's top two economies. The local financial market was closed on Tuesday to mark Children's Day. Foreigners offloaded a net 1.53 trillion won (US$1.25 billion) this week, while retail investors scooped up a net 1.7 trillion won. Institutions bought a net 266 billion won. Next week, analysts said the market is expected to lose ground on rising tens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over trade. "Concerns over further spread of the COVID-19 virus in the U.S. and Europe also linger as a threat, along with falling global oil prices," Kim Byung-yeon, an analyst at NH Investment & Securities Co., said. Rising hope over the reopening of businesses around the globe, including in the U.S., however, may limit the decline, according to the analysts. New York is expected to gradually resume economic activities starting Friday next week. This week, tech shares mostly lost ground, while pharmaceutical shares were among major winners.
Country Manager Turnover더보기 +
-
김종철 12-17 03:18
[단독]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에 김태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 상무 내정 내년 2021년부터 임기 시작
[단독]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에 김태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 상무 내정 내년 2021년부터 임기 시작 김태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 상무 롯데그룹은 2021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김태현 롯데칠성 글로벌사업본부장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에 내정했다고 26일 밝혔다.김태현 신임 대표이사는 1965년생으로 영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명지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다.1992년 롯데칠성에 입사해 2001년까지 생산, 생산관리, 감사부문에서 경력을 쌓았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롯데정책본부 개선실에 자리했으며 2012년 롯데칠성 구매부문장, 2018년 글로벌경영부문장을 역임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는 롯데칠성 글로벌사업본부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
김종철 12-17 01:33
[단독] 벤츠코리아, 신임 사장에 토마스 클라인 벤츠 중동 대표 선임. 2021년 1월1일 부터 임기 시작
[단독] 벤츠코리아, 신임 사장에 토마스 클라인 벤츠 중동 대표 선임. 2021년 1월1일 부터 임기 시작 벤츠코리아가 토마스 클라인 메르세데스-벤츠 중동 대표이사 사장이 오는 2021년 1월 1일부로 한국 신임 대표이사 사장에 임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토마스 클라인 신임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1999년 대학 재학 중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독일 뒤셀도르프의 메르세데스-벤츠 상용차 부문과 인연을 맺었다. 또 2003년부터는 베를린 소재 독일 영업 조직(MBVD)에서 다임러의 경영부문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커리어(CAReer)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2013년까지 독일 마인프랑켄 지역의 승용 부문 영업 및 서비스를 총괄하는 업무를 수행했다.이어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메르세데스-벤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메르세데스-벤츠 직영 유통망 승용 부문의 매니징 디렉터(Managing Director)를 역임했으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벤츠 독일 본사 해외 지역 총괄 조직에서 지역 내 영업 및 주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중책을 맡았다. 2019년 7월부터는 메르세데스-벤츠 중동 대표이사 사장을 맡고 있다.토마스 클라인 신임 사장은 세일즈와 마케팅을 아우르는 다양한 국제 경험을 토대로 중동 지역에서 메르세데스-벤츠의 판매 및 서비스 성과를 높였다. 특히, 지역 내에 디지털 요소를 대폭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전시장 컨셉을 선제적으로 도입하며 고객 경험을 강화하는 한편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소개하는 등의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한국 부임이 확정된 토마스 클라인 신임 사장은 “고객의 신뢰와 사랑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사장으로 부임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큰 격변기를 맞고 있는 이 시기에 벤츠와 함께 하는 새롭고, 놀라운 경험을 통해 한국 고객들의 브랜드 만족도를 더욱 높여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한편, 신임 사장의 임기가 시작되기 전인 올해 12월 말까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고객서비스 부문을 총괄하고 있는 김지섭 부사장이 대표이사 사장 직무대행을 지속 수행하게 된다. 벤츠코리아의 대표이사 사장 직무대행을 겸임하고 있는 김지섭 고객서비스 부문 총괄 부사장은 “신임 사장의 부임 전까지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맡은 바 책임을 다해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
강서우 12-16 00:39
단독-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 선임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Jason Kim , 52) 대표이사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사장 사진제공: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G-CEO) 신임 회장으로 A.RAYMOND KOREA, 김종세 ( Jason Kim , 52 )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주한외국기업연합회(KOFA) 김종철 (상임대표, 54)는 지난7일 라마다서울호텔에서 개최된 송년임시총회에서 G-CEO 신임회장으로 김종세 (Jason Kim , 52) 아레이몬드코리아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사장을 선임하였다고 20일 밝혔다.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비영리 단체이고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한국대표이사 (지사장)들의 협회이고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의 소속단체이다. G-CEO(Global Enterprise CEO Association)는 전 세계 500여개의 주한외국기업의 대표이사들로 구성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자기성장과 사회적기여(Growth & Social Responsibility)라는 미션으로 세미나를 통한 역량 개발과 회원사 간의 네트워킹을 통한 비즈니스 교류 와 산학협력차원에서 CEO 특강활동과 기타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Jason Kim , 52) 대표이사 김종세 신임회장은 성균관대에서 MBA를 마치고 건국대에서 Management Technology 박사학위를 수료한 전문 글로벌 경영인이다. 2001년 Visteon Korea 입사 이후, 한국대표이사를 거쳐 2018년부터 현재까지 아레이몬드코리아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어레이몬드코리아는 프랑스에 본사를 둔 자동차 부품 기술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 25개국 7200여명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으며 한국지사는 화성시 동탄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아레이몬드코리아는 ‘2019년 하반기 경기도 일자리 우수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 김종세 신임회장은 “G-CEO는 2005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16년간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들의 대표적 모임으로 자리매김하고 했고 매년 주한외국기업백서 발간을 통해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의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 과 각종 인적자원경영관련 마켓리서치를 해오고 있고 대한민국 비영리 단체중 외국기업에 관한 정보력은 타의 추월을 불허할 정도의 역량을 가지고 있고 Covid19 시대에 부합되는 유익한 외국기업경영정보를 재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더욱 많은 회원사가 함께 할 수 있도록 협회 외형의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5만여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을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사장 아울러 수석부회장으로 새로 선임된 하운식 총괄대표이사( Johnson Controls Korea )도 “새로 선임된 신임 회장을 조력하며 한국지사장 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회원사들과 경영이슈에 관한 서베이 및 성공한 매니지먼트 사례공유등을 통해 유익한 내용을 담아갈 수 있는 모임이 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운식 존슨콘트롤즈코리아 총괄사장은 한국전력공사에서 발전소 운영, 보수 및 건설 그리고 본사 등지에서 업무를 수행했으며 1994년 GE로 자리를 옮겨 미국, 한국, 홍콩, 싱가포르 및 중국 등지에서 현장 기술감리, 식스시그마, 고객 서비스, 영업지원(입찰 및 계약) 분야뿐만 아니라 전략적 고객 지원 및 영업 분야에서 다양한 리더십 역할을 수행한 바 있으며 존슨콘트롤즈코리아 총괄사장으로 부임하기 전에는 GE Power Korea 사장을 역임 하였다. 존슨콘트롤즈코리아는 130년 이상 지속해온 혁신 경험과 최고의 빌딩 기술 및 솔루션을 보유하고 스마트빌딩 및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글로벌 리더 기업이고 2016년 소방, 보안 솔루션 분야의 리더인 타이코와 합병하였다. 한편 전임 회장이었던 박순구 회장 (리치텍코리아) 은 올해 12월부로 대만본사로 영전하여 R&D 부문 글로벌 책임자로 발령 되었다. 이밖에 각산업별분과 위원장으로 반도체산업분과 (인피니언테크널러지코리아 이승수 사장) , 자동차산업분과 (브로제코리아 금종구 사장) , 화학산업분과 (에보닉코리아 최윤영 사장) , PR.광고산업분과 (DDB Korea 고광수 사장 ), 네트워크위원장 (키네트테크널러지코리아 나종배 사장) , 골프분과 (단디코리아 홍경표 사장) 탤런트리쿠르팅 분과 (로버트월터스코리아 최준원 사장) 등이 선임 되었다. 이날 사회를 본 G-CEO 홍보대사 이상은 ( SBS 공채 탤런트)은 공로상을 수여 하였다. (좌측 ) G-CEO 홍보대사 이상은 (SBS 공채탤런트) 우측 G-CEO 법인 이사회 의장 김경 (시너지케어 아시아태평양지역사장)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개요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비영리 단체이고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한국대표이사 (지사장)들의 협회이고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의 소속단체이다. 출처: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웹사이트: http://www.g-ceo.org 관련링크 티스토리: https://gceo.tistory.com/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roups/201632979847740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groups/4410834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amesmackim 사진설명 사진 1 A.RAYMOND KOREA, 김종세 ( Jason Kim , 52 ) 대표이사 사진 2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대표이사 언론문의처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사무총국 담당자 성명 김종철 02-3452-8603 kofen@kofen.org -
김종철 12-10 03:09
[단독] 후지필름 코리아, 야마모토 마사토 대표이사 선임
후지필름 코리아, 야마모토 마사토 대표이사 선임 34년간 글로벌 시장서 이미징 사업 경험 쌓아온 전문가 "신기술+플랫폼 조합 혁신 서비스 개발해 사업 전개"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이미징 코리아는 야마모토 마사토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야마모토 대표는 지난 6월 본사 이사 집행임원으로 미주·유럽·중동·아프리카 현지법인 및 이미징 사업부를 총괄하며 본사 광학·전자 영상 사업부장에 취임했다. 이번에 전임 이다 토시히사 대표에 이어 후지필름 코리아 지휘봉도 잡았다. 야마모토 대표는 1986년 후지필름 입사 이래 34년간 일본·미국·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후지필름의 이미징 사업을 담당하며 굵직한 성과를 이뤄냈다. 그는 2015년 후지필름 북아메리카 대표이사, 2016년 후지필름 홀딩스 미국 사장, 2017 후지필름 본사 경영기획 본부장, 2018~2020년 후지필름 유럽 사장으로 근무했다. 후지필름의 비전인 '사진으로 인생을 풍요롭게'를 전파하며 문화와 비즈니스를 발전시킨 업적을 인정받았다. 야마모토 대표는 "AI·5G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을 활용해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취임사를 전했다. 후지필름 코리아는 지난 2011년 한국법인을 설립했다. 현재 APS-C 센서를 탑재한 X시리즈 미러리스 카메라와 대형 포맷 센서의 GFX 미러리스 시스템 양대 축을 중심으로 디지털 카메라 사업을 전개한다. 최근 플래그십 미러리스 카메라 X-T4, 프리미엄 콤팩트 카메라 X100V 등의 신제품을 출시했다. 지난 8월 서울 청담동에 후지필름 스튜디오를 `파티클(PARTICLE)’로 리네이밍 오픈했다. -
홍소진 12-09 02:29
[단독] 한국화웨이 신임CEO 손루원 "한국기업과 협력· 상생할 것"
한국화웨이 신임CEO 손루원 "한국기업과 협력· 상생할 것" 손루원 한국화웨이 신임CEO.화웨이 제공 한국화웨이가 손루원(사진) 전 화웨이 필리핀 네트워크 사업 총괄 부사장을 신임 CEO(최고경영자)로 선임했다.손루원 신임 지사장은 15년 이상 글로벌 통신업계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 전문가다. 2006년 화웨이에 입사해 2007년부터 2015년까지 화웨이 인도네시아에서, 2016년부터 한국으로 부임하기 전까지는 화웨이 필리핀에서 네트워크 사업 총괄 부사장직을 수행했다.그는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고객 만족 비즈니스를 리드하며 필리핀 현지 통신사 및 고객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손루원 CEO는 호주 모나쉬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전기 컴퓨터 시스템 공학 석사과정을 이수했다.손루원 CEO는 "전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 국가이자 글로벌 ICT 강국인 한국으로 오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화웨이는 한국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함과 동시에 한국 기업들과의 상생, 협력을 통해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
류채영 12-07 02:20
박준용 오토메이션애니웨어 한국지사장 선임
박준용 오토메이션애니웨어 한국지사장 선임 글로벌 1위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기업 오토메이션애니에어는 박준용(사진) 전략 고객 담당 상무를 2대 지사장에 선임했다고 7일 밝혔다.박 신임 지사장은 코오롱 글로벌, 삼성SDS를 거쳐 지난 2006년부터 한국오라클 테크사업부에서 대기업 고객과 솔루션 파트너 세일즈를 담당하는 등 20년간 IT세일즈 경험을 쌓아왔다. 오토메이션애니웨어에서는 주요 고객사에 신제품 적용 사례를 만들어내고, 본사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는 등 능력을 인정받았다.박 신임 지사장은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관련 70% 이상의 고객이 아직 도입을 고려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 고객 정서에 맞는 라이선스 정책과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리더그룹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
홍소진 12-04 02:56
[단독] BBDO 코리아, 김장용 신임 대표이사 선임
BBDO 코리아, 김장용 신임 대표이사 선임 글로벌 광고대행사 BBDO 코리아가 김장용 대표를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김장용 대표는 제일기획, TWBA 등 국내 굴지의 광고 대행사에서 일하면서 아모레퍼시픽, 매일유업, CJ 푸드빌, 동아제약, 아디다스 등의 광고주를 위한 IMC 캠페인을 이끌어오다가 3개월 전 BBDO에 합류했다.BBDO 아시아는 김장용 대표에 대해 “마케팅의 트렌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적인 마인드를 갖춘 인물"이라며 " BBDO가 추구하는 가치와 결을 함께하며 광고 업계에 새로운 트렌드를 리드할 것”이라고 밝혔다.김 대표는 “세계적 대행사 그룹인 옴니콤(Omnicom) 그룹과 BBDO의 일원이 된 것이 매우 기쁘다"라며 "특출 난 인재와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BBDO는 이미 그 전문성을 입증 받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로지 ‘The Work. The Work. The Work’를 추구하는 BBDO의 강력한 기업문화와 결합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대행사로서 광고주들의 비즈니스 성장에 기여하는 대행사로 자리매김하겠다”고 취임소감을 남겼다.광고 업계의 차세대 리더 중 한 사람으로 주목받아온 김장용 대표는 광고주와 훌륭한 관계를 구축하고 브랜드를 탄탄하게 성장시킨 인물로 인정받아 왔다. AdFest, Effie 어워드 및 대한민국 광고대상 등의 많은 수상경력을 가지고 있다. 오랜 시간 파트너와 광고주들에게 신뢰받아온 그의 열정과 능력이 BBDO 코리아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홍소진 12-04 02:51
[단독] 아람코코리아, 무티브 알 하비 신임 대표 선임
아람코코리아, 무티브 알 하비 신임 대표 선임 아람코의 한국 법인인 아람코 코리아는 신임 대표이사에 무티브 알 하비(Mutib A. Al-Harbi·사진)씨를 선임했다고 20일 밝혔다.무티브 대표는 최근까지 아람코에서 국내 합작법인(JV) 매니지먼트 코디네이션 총괄(head of Domestic Joint Ventures Management and Coordination)로 재직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 내 합작회사 포트폴리오를 관리했다. 그는 아람코에 입사한 후 아람코 라스 타누라(Ras Tanura) 정유 공장의 정유 운영·엔지니어링부문장 등을 역임했으며 북미 최대 단일 정유사이자 아람코의 자회사인 모티바(Motiva Enterprises LLC)에서 매니저로도 근무했다.무티브 신임 대표는 2000년 사우디아라비아의 킹파드석유광물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했다.
Career Development더보기 +
-
김희제 10-21 21:1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정 엔지니어 신입 공개 채용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정 엔지니어 신입 공개 채용 사진출처: 한국경제 재료공학 솔루션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대표 마크 리)가 공정 엔지니어(PSE) 신입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소지자 지원 가능하다.반도체 장비 모든 공정 라인업을 보유한 어플라이드는 이번 공채에서 △식각(etch) △화학기계연마(CMP) △원자층증착(ALD) △금속증착(Metal Deposition) △EPI(Epitaxial) △패키징 △임플란트 △계측진단 장비 분야 엔지니어를 채용한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 전공자가 지원할 수 있으며, 주요 근무지는 평택, 화성, 이천이다.어플라이드 PSE 신입 공채는 11월 2일부터 원서 접수를 시작으로 서류 심사, 두 번의 면접 전형을 거쳐 2021년 2월 초 입사가 확정된다. 입사 후 4~6주간 반도체와 비즈니스 관련 교육을 받고 부서 배치된다.공개 채용 공고는 11월 2일부터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식 블로그, 페이스북, 다양한 채용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플라이드는 공고에 앞서 입사를 희망하는 지원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10월 28일 오후 5시부터 라이브 Q&A(질의응답) 온라인 세션을 진행한다. 어플라이드에 근무 중인 공정 엔지니어 선배 직원들이 직접 본인의 생생한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자의 궁금증을 풀어준다. 사전신청을 통해 참여 가능하며 등록 및 자세한 내용은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마크 리 대표는 “어플라이드 채용은 수시로 이뤄지는 가운데 매년 연말 공정 엔지니어 신입 공채가 진행된다”며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끌 패기 넘치는 글로벌 인재들을 만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분당, 화성, 평택, 이천, 천안 등 전국 12개 사업장에서 17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는 3년간 800여명의 우수 인재를 고용했다. 2020년 7월에는 고용노동부 주관 ‘2020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어플라이드 코리아는 시차 출근제 및 패밀리 데이 조기 퇴근제, 다양한 동호회 활동, 임직원 및 가족 대상 전문 상담 지원 등 일과 생활의 양립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 중이다. 또한 고객사 및 반도체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해 공동 인재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미국 본사와 연계한 전문 직무 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직원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
홍소진 08-10 17:22
SK텔레콤, 16개 대학과 손잡고 5G 시대 필요한 AI 인재 키운다
SK텔레콤, 16개 대학과 손잡고 5G 시대 필요한 AI 인재 키운다 SK텔레콤이 자사 소속 AI 전문가들이 현업 경험을 토대로 기술 이론과 비즈니스 사례 등을 강의하는 AI 커리큘럼을 하반기부터 16개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자사 소속 AI 전문가들이 현업 경험을 토대로 기술 이론과 비즈니스 사례 등을 강의하는 ‘AI 커리큘럼’을 하반기부터 16개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10일 밝혔다. AI 커리큘럼 도입을 희망하는 대학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AI 커리큘럼’은 음성인식 인공지능 플랫폼 NUGU를 포함해 음성인식, 영상인식, 추천기술 등 AI 기술 분야별 박사급 전문가 15명의 강의를 담아 총 49편의 교육 영상으로 구성된 실무형 교육 과정이다. 2020년에는 추가로 SK텔레콤 구성원 대상으로 제공해왔던 AI, Big Data, Cloud 등 4차 산업 관련 교육 콘텐츠 113편도 강의 보조자료로 함께 제공하며 학생들이 전문가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Q&A 세션도 추가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2017년에 시작한 AI 커리큘럼은 대학 2곳과 협약을 맺고 진행됐다. 2018년에는 3개 대학, 2019년에는 5개 대학으로 점차 확대됐다. 2020년으로 4년 차인 AI 커리큘럼은 서울대 등 16개 학교를 대상으로 30개 이상의 학점 인정 정규 과목에 강의를 제공한다. 2020년 AI 커리큘럼 활용 대학은 경북대·경희대·고려대·광운대·서강대·서울대·성신여대·아주대·연세대·인하대·전남대·중앙대·충남대·충북대·한양대·DGIST이다. SK텔레콤은 대학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AI 커리큘럼 콘텐츠의 양과 질이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기존에 협력했던 대학으로부터 우호적인 평가를 받으며 AI 커리큘럼을 원하는 대학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일부 학교는 학기 시작 전에 학생들에게 일부 강의를 미리 공유하고 싶다며 SK텔레콤 측에 요청하기도 했다. 또한 AI 커리큘럼을 경험한 일부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실제로 현업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학습할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보였다.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자사가 보유한 AI 기술 역량 및 IT 자산을 대학과 지속적으로 공유함으로써 부족한 국내 AI 전문 인력 양성 및 생태계 확대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신상규 기업문화센터장은 “SK텔레콤은 AI, 5G 등 ICT 선도 기업으로서 4차 산업 시대를 이끌기 위한 우수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라며 “대학과 기업의 AI 교류 확대를 통한 국내 AI 생태계 확대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유하정 07-04 21:37
우송정보대, 독일 글로벌기업 지멘스와 협약 체결
우송정보대, 독일 글로벌기업 지멘스와 협약 체결 우송정보대학(총장 정상직)은 1일 대학본부 5층 회의실에서 독일의 Industry 4.0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기업 지멘스와 SMSCP 인증교육기관 운영을 위한 파트너 협약을 체결했다.SMSCP(SIEMENS Mechatronic Systems Certification Program)는 전세계 18개국에서 인정되는 스마트팩토리 분야 국제공인자격증이며, 우송전문대는 2021년 스마트팩토리스쿨을 개설해 대전·충청권 전문대학 최초로 지멘스 SMSCP 인증교육기관으로 전문화된 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우송정보대와 지멘스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인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교육 인프라 및 교육과정 개발 등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게 됐으며, 우송정보대는 Industry 4.0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선진 기업 지멘스에서 축적한 스마트팩토리 분야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SMSCP 교육은 대학 내 스마트팩토리 교육 플랫폼을 통해 인증 강사 및 산업현장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이 교육에 참여하고, 학생들은 스마트팩토리 관련 집중 실습을 통해 전문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취업과 연계하는 방법으로 추진될 예정이다.알베스 카를로스(Alves Carlos) 지멘스 이사는 “향후 4차 산업혁명이 확산됨에 따라 모든 제조업체는 스마트팩토리화 될 것이며 이에 따라 스마트팩토리 전문인력의 수요는 폭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정상직 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팩토리 분야 전문 기술인력 양성은 지속가능한 미래의 열쇠”라고 강조하고, “우송정보대는 스마트팩토리스쿨에서 지멘스 자동화 기술 및 SMSCP인증을 획득한 졸업생을 배출하여, 앞으로 스마트팩토리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
홍소진 06-22 15:27
글로벌제약사 룬드벡코리아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임직원 온라인 교육 진행
글로벌제약사 룬드벡코리아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임직원 온라인 교육 진행 코로나 블루 극복 동참 및 임직원 정신건강 증진 위해 마련 한국룬드벡㈜(대표 오필수)은 지난 19일 코로나19(COVID-19)으로 인한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에서 코로나 블루 극복에 동참하고 정신건강 증진 및 관심도 제고를 위해 전 임직원 대상 온라인 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 2차 대유행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외부와 단절된 생활이 예상보다 길어짐에 따라 정서적 불안감 및 우울감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으며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이에 뇌 질환 치료제 전문 기업 한국룬드벡은 코로나 블루 극복에 앞장서고 직원들의 정신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를 초청해 임직원 대상 온라인 교육 기회를 마련했다.이날 교육은 코로나19 확산 위험에서 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비대면 온라인 강의로 진행됐다. 강의에 나선 홍진표 교수는 ‘코로나 팬데믹과 정신건강’이라는 주제로 코로나19로 인한 정신적 피해 상황, 코로나 블루 발생 원인,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치료 및 극복 방법 등에 대해 설명했다. 홍 교수는 ”코로나로 인해 다시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기 어렵고 세계적인 팬데믹이 더욱 길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산책, 명상 등으로 스트레스를 다스리고 가족이나 직장 동료들과 화상전화 등으로 지속적 연대를 형성한다면 우울증으로 인한 위기 극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국룬드벡 오필수 대표는 “뇌 질환 치료제 전문 기업으로서 장기화된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직원들의 정신건강 관리가 무엇보다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판단해 이번 교육을 진행하게 됐다”며 “이번 교육이 직원들의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정신건강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앞장서는 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김종철 06-22 00:19
WISET-HP 프린팅 코리아, ‘글로벌 멘토링’ 킥오프미팅 개최
WISET-HP 프린팅 코리아, ‘글로벌 멘토링’ 킥오프미팅 개최 -
홍소진 06-21 23:53
‘코로나19 시대의 직업능력개발 및 일자리 정책과 대응 방향’ 포럼 열려
‘코로나19 시대의 직업능력개발 및 일자리 정책과 대응 방향’ 포럼 열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6월 23일(화) 오후 2시부터 ‘코로나19 시대의 직업능력개발 및 일자리 정책과 대응 방향’을 주제로 ‘제74차 인재개발(HRD)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무청중 온라인 중계(유튜브·페이스북) 형태로 진행된다. □이번 포럼에서 박종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센터장은 ‘코로나19 대응 직업교육훈련 현황 및 지원 방안 : 일습병행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나동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센터장은 ‘뉴 노멀 시대, 일자리 및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대응방향’을 주제로, 김남희 부연구위원은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직업계고 온라인 개학 대응 동향 및 주요 이슈’를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이어 고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본부장을 좌장으로 민준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박가열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 김용랑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 유진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개요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
류채영 06-18 02:01
외국계 기업 취업도 온라인으로
외국계 기업 취업도 온라인으로 KOTRA(대표 권평오)가 8일부터 일주일 동안 ‘제2차 온라인 외투기업 채용설명회’를 열었다. 이번 설명회에는 외국인투자기업 8개사, 구직자 5천명이 참여한다. 스페인·싱가포르 등 국외에 인사담당자가 있는 3개사는 현지에서, 나머지 5개 기업은 한국지사 또는 KOTRA 사이버무역상담장에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한다. 4월 1차 채용설명회와 마찬가지로 외투기업은 웨비나를 통해 실시간으로 구직자들과 만난다. 구직자는 집, 학교 등 편한 장소에서 KOTRA 제공 ID로 참가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KOTRA 외투기업채용지원팀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상현 KOTRA 인베스트코리아 대표는 “코로나19로 4월 외투기업 채용설명회를 온라인으로 전환했다”며 “1차 행사 때보다 구직자 호응이 커진 만큼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개발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강서우 06-13 18:20
강남구, 외국계 기업 취업 성공 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강남구, 외국계 기업 취업 성공 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6월26일까지 선착순 20명 … 전문 컨설턴트 영문 이력서·자소서 특강 및 1:1 컨설팅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취업난 극복을 위해 개최하는 ‘외국계 기업 취업성공 아카데미’에 참여할 미취업 청년 20명을 이달 26일까지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역삼동 소재 강남스타트업센터에서 개최되는 이번 아카데미는 7월1일부터 17일까지 열리는 소수정예 프로그램으로 특강 및 컨설팅으로 구성된다. 특강은 10년 경력의 취업 전문 컨설턴트가 ▲외국계 기업 취업 필승 전략 ▲영문 이력서·자기소개서 작성 노하우 ▲면접 합격 비법 등을 알려주는가 하면 모의면접 등 개인별로 4시간씩 1:1 맞춤 컨설팅이 진행된다. 모집대상은 강남구에 주민등록을 둔 만 34세 이하 청년(6월1일 기준)으로, 희망자는 강남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seojisu@gangnam.go.kr)로 제출하면 된다. 이용달 일자리정책과장은 “어려운 시기지만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펼쳐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미래형 매력 도시, 강남’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HR Issue더보기 +
-
김종철 12-24 15:07
[단독기획기사]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 이슈는 대부분 경기 불황속 성과관리와 재택근무관리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 이슈는 대부분 경기 불황속 성과관리와 재택근무관리 교육관련은 (69.7%) 가 비대면 교육 활성화 응답 응답자의 ( 57.65%)가 재택근무자 상시 동기부여 활동 과 HR 외부 행사 취소 및 축소 로 응답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상임대표 김종철,54 ]는 2020년도 12월 주한외국기업 지사장 CEO와 인사담당 임원 CHRO들을 대상으로2021년도 인사관리 이슈와 업무평가에 대한 서베이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결과 내년도 인적자원관리의 최대화두는 경기 불황속 성과관리 (46%) , 코로나 위기 재택근무 관리 (42%)로 나타났다. 내년도 인적자원관리 예산에 대하여는 올해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늘린다는 응답이 (72.8%)로 나타났다. 직원들의 교육관련은 (69.7%) 가 비대면 교육 활성화 로 응답했다. 그리고 응답자의 ( 57.65%)가 재택근무자 상시 동기부여 활동 과 HR 외부 행사 취소 및 축소 로 응답했다. 이번 서베이 작업을 기획한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마켓리서치분과 차수은 이사 ( 로투스베이커리즈코리아 , 인사부 이사 )는 코로나의 영향이 2021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에 부합한 HR위기대응 계획들이 주를 이루었고 코로나 위기 속 기업의 HR전략은 인력감축을 포함한 인력관리와 경기불황속 성과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각적으로 고민해야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는 1999년도에 설립된 주한외국계기업의 연합체로서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와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등의 법인회원사와 외국계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이 개인자격으로 가입되어있다. -
김희제 12-16 01:58
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외국인고용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외국인고용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재입국 특례 대상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제한 기간 단축 정부는 12월 15일 국무회의에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고용노동부 소관 2개 법령안을 심의.의결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번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내년 1월 1일 시행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소득·재산요건 및 의무이행 기준 등을 구체화한 것이다.소득.재산조사의 기초가 되는 ‘가구단위’의 범위를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신청인 본인.배우자.1촌의 직계혈족(부모.자녀)으로 하여 수급자격 조사를 간명하고, 신속하게 했다.가구단위 월평균 총소득은 가구원의 이자.배당.사업.근로소득 및 연금급여 등을 합산하여 산정하도록 규정했다.구직촉진수당 수급을 위한 월평균 총소득 기준은 노사정 합의에 따라 저소득 구직자를 집중 지원하기 위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로 정했다.또한, 가구 재산의 합산액은 3억원 이하로 하여 고액자산가 등은 구직촉진수당을 받지 못하도록 하되, 청년의 경우 고시를 통해 재산 상한을 별도로 정할 수 있도록 하여, 청년 고용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취업경험은 신청일 이전 2년 동안 취업한 기간을 더하여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인 경우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 취업한 기간의 산정 방법은 시행규칙을 통해 구체화하여 취업기간 확인이 어려운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 등도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소득.매출액의 취업기간 환산 방법을 마련할 계획이다.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사람이 취업활동계획에 따라 직업훈련.일경험 프로그램 등 구직활동의무를 이행하는 경우에만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예외 사유는 제한적으로만 인정하여 수급자의 적극적 구직활동을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동 시행령 제정을 통해 ‘국민취업지원제도’라는 새로운 안전망이 차질없이 도입되어, 고용안전망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외국인 근로자는 한번 입국하면 최대 4년 10개월까지 근무할 수 있으며, 그 기간 동안 한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 재입국 특례를 인정받아, 출국 후 3개월이 지나면 재입국하여 다시 최대 4년 10개월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다만, 재입국 특례 시 출국한 날로부터 3개월 후 재입국해야 함에 따라 사업장의 업무 공백이 발생할 수 있어 재입국 제한 기간을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한다.외국인 근로자는 4년 10개월간 사업장 변경을 하지 않고 한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에만 재입국 특례가 가능하여 외국인 근로자는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기 위하여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사업장 변경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사용자는 사업장 변경 이력이 있는 숙련 외국인 근로자를 재입국 특례를 통해 계속 고용하지 못할 수 있었다.앞으로는 동일 업종 내에서 사업장 이동을 한 경우에도 고용노동부 고시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숙련성을 인정하여 재입국 특례를 허용할 수 있게 되었다.폭행, 성희롱 등 외국인 근로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사업장을 변경한 경우 재입국 특례를 위해서는 해당 사업장에서 근로계약 기간이 1년 이상 남아 있어야 하나, 잔여 취업활동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기 위해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사업장 변경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이 경우라도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권익보호협의회의 의견을 들어 인정한 경우에는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을 수 있도록 근로계약기간의 예외 요건을 마련한다.정부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시행 시기(공포 후 6개월)에 맞춰 관련 고시 개정 후 개선된 재입국 특례 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다. -
김희제 12-15 01:47
수평조직 네이버, 직급제로 `유턴`
네이버가 6년 만에 직급제를 사실상 부활한다. 한때 2단계까지 줄였던 직원들 직급을 다시 7단계까지 세분화하는 조직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26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7단계 레벨제를 도입하기 위한 설명회를 기술 직군을 대상으로 지난 24~25일 이틀간 개최했다.7단계는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임원-최고경영자(CEO)급으로 이뤄진 전통적 직급제와 유사해 수평적 문화를 추구해온 네이버의 기업 문화에 변화가 예상된다. 네이버는 글로벌 사업으로 시야를 돌리고 성장과 보상체계를 재정비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네이버는 기술직군을 시작으로 사업·서비스·디자인·경영지원 부문으로 이 같은 레벨제를 확대할 계획이다.네이버는 2014년 2단계 레벨제를 도입했다. 당시 네이버는 직급 대신 A레벨(Apprentice)과 P레벨(Professional)의 2단계로 단순화했다. 3년 뒤인 2017년에는 임원제까지 폐지했지만 2019년 '리더'와 '책임리더'란 이름으로 임원제를 사실상 부활시켰다. 네이버는 2019년 책임리더 직급을 새로 만들면서 본사와 계열사에 68명을 선임했다. 책임리더는 리더와 대표급(C레벨) 사이에 신설되는 중간 관리자급 직책으로 비등기 임원이다. 네이버는 최근 7단계 레벨제 도입 설명회를 내부에 공지하면서 "보상의 기준 성과를 명확히 하자는 취지"라며 "성과를 내는 데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경우 등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글로벌 사업으로 시야를 돌리고 난 다음 성장과 보상체계를 재정비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정보기술(IT) 기업들도 급성장으로 조직이 빠르게 비대해지면서 관료적 문화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 때문에 초창기 성공을 이끌었던 혁신적인 '일하는 문화'를 전 조직으로 발전·계승하기 위해 실험과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카카오다. 카카오는 직급이 아니라 영어 이름으로 부르는 수평적 소통 구조로 유명하다. 카카오 내부에서 여민수 대표는 '메이슨(Mason)', 조수용 대표는 '션(Sean)'이라고 불린다. 목요일에 열리는 전사 미팅 'T500' 등을 통해 전 직원 간 공유와 소통도 활발하다.하지만 조직이 커지면서 이 같은 '카카오스러움'이 희석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90개 넘는 계열사, 1만명 넘는 직원이 근무하다 보니 기존 대기업과 같은 조직문화가 싹트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특히 카카오는 2015년 포털 다음, 2016년 로엔엔터테인먼트(멜론) 등 수십 차례 크고 작은 인수·합병(M&A)을 통해 급격히 몸집을 불려왔다. 물리적 결합뿐만 아니라 새로 편입된 '크루(카카오 임직원)'들 간 화학적 결합까지 달성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다. -
editor 11-03 14:02
직장내 성희롱 사건, 앞으로 노동위원회로 회부된다.
직장내 성희롱 사건, 앞으로 노동위원회로 회부된다. 정부는 2020. 10. 20. 국무회의를 열어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고용상 성차별과 직장내의 성희롱에 대해서 피해자에 대한 노동위원회 구제절차를 도입하는 개정안을 심의·의결하였다. 최근 여러 미투사건을 거치면서 직장내 성희롱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번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게 되면 다른 해고나 차별 사건과 마찬가지로 노동위원회에서 직장내 성희롱 여부가 본격적으로 다투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I. 고용상 성차별과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한 사업주의 조치의무 미이행에 대한 노동위원회 구제절차 신설 현행법상으로는 고용상 성차별이나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해서 사업주의 조치의무 미이행만 처벌하였고 이에 대해서 피해 근로자가 직접 그 시정이나 구제를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을 두고 있지 않았으나, 개정법은 피해 근로자가 직접 이러한 피해에 대해서 노동위원회에 그 시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의 실효성 보장을 위해서 관련 자료의 상당 부분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입증책임을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II. 고용상 성차별과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한 사업주의 조치의무 미이행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노동위원회는 고용상 성차별이 인정된 경우 차별적 행위의 중지, 취업규칙 · 단체협약 등의 근로조건 개선, 적절한 배상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또한 직장내 성희롱 피해 근로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의무 미이행 또는 불리한 처우가 인정되는 경우 적절한 조치 이행, 불리한 행위 중지, 배상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III. 시정명령에 대한 실효성 보장 수단의 확보 개정법은 고용상 성차별이나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의 집행력 강화를 위해서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종결할 때에는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도록 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업주에게 확정된 시정명령의 이행상황 제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정명령을 사업주가 이행하지 않거나 고용노동부 장관의 이행상황 제출 불응 시 사업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며, 시정신청을 한 근로자는 사업주가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이를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신고할 수 있다. IV. 고용상 성차별로부터의 근로자 보호 확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상 성차별을 확인한 경우 직권으로 이에 대해 시정을 요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고, 나아가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시정명령이 내려진 경우 해당 시정명령의 효력을 당사자 이외에 차별을 받은 다른 근로자에게 확대하도록 하여 고용상 성차별로부터 근로자 보호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이와 같은 법 개정에 앞서 각 사업장에서는 직장내 성희롱 예방을 위한 교육을 철저히 함과 더불어 직장내 성희롱 발생 시 조치를 위한 규정이나 매뉴얼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법무법인 세종 제공- -
editor 11-03 13:13
2021년 주 52시간제 대비를 위한 체크포인트
2021년 주 52시간제 대비를 위한 체크포인트 대한민국은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노동환경 변화의 도전을 받고 있다. 그 중심에는 주 52시간제(정확히 표현하자면 '주 최대 52시간제')가 있다. 주 52시간제는 2018년 7월 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과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시행됐고 2020년 1월 1일부터는 50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 시행됐으며, 2021년 7월 1일부터는 5인 이상~50인 미만 사업장을 대상으로 주 52시간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현재 50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주 52시간제 계도기간1)이 시행 중이며 2020년 12월 31일자로 종료될 예정이다. 2021년을 3개월 정도 남겨둔 시점에서 2021년 주 52시간제 대비를 위한 체크포인트를 정리해 보자. 재택근무와 주 52시간제 최근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매우 급증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 시 인사노무 관리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재택근무란 "근로자가 자택 등 소속 사업장이 아닌 장소 중 사용자와 합의하거나 그 승인을 받은 장소에서 소정근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하는 근무형태"를 말한다.2) 그럼 재택근무와 주 52시간제를 연계해 몇 가지 핵심이슈에 대해 살펴보자. Q. 재택근무의 경우에도 근로시간 관리가 필요한가? 재택근무의 경우 근로시간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근로시간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물론 상식적으로 집에서 일하기 때문에 근로시간과 사적활동의 구분이 모호해 근로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재택근무의 경우에도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상 근로시간, 휴일, 휴게 등이 적용된다. 따라서 기업은 재택근무에 대한 근로시간 관리를 통해 연장근로시간 제한 초과 등 주 52시간제 위반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Q. 재택근무 시 주 52시간 관련 법적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은? 재택근무의 경우 사용자와 근로자 간 근로시간 인정 여부에 대해 다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자가 새벽 또는 늦은 시간에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연장근로 해당 여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재택근로를 시행하는 경우 주 52시간제 위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연근로시간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재택근무에 대해 도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유연근로시간제는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근로기준법 제58조 제1항, 제2항)이다.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란 근로시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업장 밖에서 근로해 근로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는 제도이다. 재택근무 시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를 적용하게 되면 재택근무자의 다양한 근로형태에 대해서 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재택근무에 대해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 적용 시 ①소정근로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며 ②다만, 업무수행을 위해 통상적으로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해 근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업무수행에 통상 필요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며 ③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한 경우에는 그 합의에서 정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게 된다. 또한 재택근무 시 업무성격이 근로자의 재량에 위임할 필요가 있는 업무의 경우에는 재량근로시간제(근로기준법 제58조 제3항)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량근로시간제를 적용하게 되면 근로자대표와 서면합의로 정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게 된다. 다만, 재량근로시간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1조에서 정한 업무에 해당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Q. 재택근무제도 도입 시 재택근무 규정은 필요한가? 재택근무를 도입하는 기업의 경우 재택근무 규정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재택근무가 시행될 경우 재택근무 규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취업규칙 등에 재택근무 실시에 대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자의 별도의 동의 없이 재택근무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회사가 재택근무에 대해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원칙적으로 근로자의 동의 받은 후 재택근무를 시행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전에 재택근무 규정 등을 작성해 취업규칙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중소기업의 주 52시간제 체크포인트 현재 50인 이상~300인 미만 규모의 사업장에 대해서는 주 52시간제 계도기간이 20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적용되고 있다. 계도기간 중에는 장시간근로감독 대상에서 제외되고, 근로자 진정 등으로 법위반 적발 시 충분한 시정기간(최대 6개월) 부여되기 때문에 사실상 주 52시간제 위반 리스크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도시간이 2020년 12월 31일 종료하기 때문에 2021년 1월 1일부터는 주 52시간제에 대한 정상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많은 중소기업이 50인 이상~300인 미만 규모라는 점을 감안하면 계도기간 종료는 주 52시간제 관련해 매우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직무특성을 반영한 유연근로시간제도 도입 주 52시간제를 대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직무의 특성을 반영한 유연근로시간제 도입이다. 유연근로시간제는 크게 탄력적 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사업장 밖 간주근로시간제, 재량근로시간제 등 크게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유연근로시간제도 도입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직무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이다. 일부 기업의 경우 회사 전체 근로자에게 탄력적 근로시간제 또는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접근은 향후 직무운영에 큰 애로를 발생시키거나 법률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유연근로시간제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사전에 직무분석 등을 통해 직무특성을 명확히 파악한 후 유연근로시간제 적용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통 탄력적 근로시간의 경우 생산직 근로자, 선택적 근로시간의 경우 사무직 근로자, 사업장 밖 근로시간제의 경우 영업직 근로자, 재량근로시간제의 경우 연구직 근로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연장근로 사전승인제도 도입 주 52시간제 준수의 핵심은 연장근로시간의 관리라고 볼 수 있다. 연장근로관리를 위해서는 연장근로 사전승인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근로 사전승인제도란 연장근로가 예상되는 경우 사전에 연장근로에 대해 회사의 승인을 받는 제도이다. 조직 내 대부분의 업무는 업무량 과다 등의 이유로 연장근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근로의 총량을 관리하기 위해서 연장근로 사전승인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연장근로 사전승인제도는 추가적인 노동법적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업무와 무관한 늦은 퇴근을 근로시간으로 주장하는 경우 연장근로 사전승인제도는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있다. 출장시간, 교육시간 등에 대한 지침 마련 주 52시간제의 위반 여부를 판단할 때 출장시간, 교육시간 등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된다. 출장시간과 교육시간 등은 근로시간 인정 여부가 매우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특히 출장의 경우 장거리 출장 시 이동시간, 해외 출장 시 비행기 수속과 탑승시간 등 대해서 지속적인 법적 분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전에 출장시간, 교육시간, 일-숙직, 워크숍 등과 관련해 근로시간 지침을 수립해 근로시간 인정여부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2021년 주 52시간제 대비를 위한 체크포인트에 대해서 살펴봤다. 2021년도 코로나19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재택근무는 더욱 활성화 될 것이다. 재택근무의 활성화와 주 52시간 계도기간의 종료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 2021년 주 52시간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다양한 측면에서 주 52시간제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김복수 공인노무사 1) 50~299인 주52시간제 안착을 위한 보완대책(2019.12.11., 고용노동부) · 50~299인 기업에 1년간의 계도기간 부여 - 장시간근로감독 대상에서 제외, - 근로자 진정 등으로 법위반 적발 시 충분한 시정기간(최대 6개월) 부여 - 고소-고발시 법위반 사실과 함께 개선 노력, 고의성 여부 등도 감안(검찰과 협의) -
김종철 09-08 15:08
[단독기획취재] 외국기업 한국지사, 투자.계약등 중요한 안건으로 해외본사 직원 한국방문시 무조건 2주격리해야하나??
[단독기획취재] 외국기업 한국지사, 투자.계약등 중요한 안건으로 해외본사 직원 한국방문시 무조건 2주격리해야하나?? 최근 본 매체로 한국에 진출해있는 외국계기업 한국 지사장이나 인사담당 임원들로부터 많은 문의가 오고있다. 예를 들면 해외 본사에서 한국에 중요한 M&A 또는 중요한 비즈니스 계약, 투자유치 , 국내 거래처중 대기업 납품에 문제발생으로 해외본사 엔지니어 국내출장등등 사례도 여러가지이다. 이와 관련하여 코로나19가 한참이던 4월이후부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와 외교부, 법무부 , 산업통상자원부등에 문의 와 취재등을 통하여 정리된 내용들을 기사의 내용으로 정리한다. 자가격리 면제 신청제도를 활용하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대한민국 입국자에 대하여 자가격리 면제 기준을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고 이는 중요한 사업상의 목적으로 방한이 필수적인 경우에 한하여 이용가능한 제도이다.(게약.투자등) 면제의 대상은 입국전 현지 한국 대사관 및 총영사관에서 '격리면제서' 사전 발급자이고 내용은 중요한 사업상 목적(계약, 투자 등), 인도적 목적(본인, 배우자의 직계존비속 또는 형제자매의 장례식 참석) 이다. 절차로서 자가격리면제 신청은 외국인투자기업의 해당 산업별로 산업부의 담당 주무과에서 관련사항 검토후 사유가 타당하다고 인정되면 산업부 장관에게 보고하고 산업부 장관 추천서를 외교부에 송부하며, 외교부에서는 당해 현지 영사관 공관을 통하여 방한 예정 외국인에 대하여 자가격리면제 신청서를 발급하고 있다. 통상 2주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제출서류로는 자가격리면제필요성 인정자 관련 정보 회신 양식(엑셀) , 기업개요(투자유치기업, 외국인투자가) , 격리면제서,시설격리 동의서 등의 신청양식에 내용을 기재하고 첨부서류로 외국인투자기업 등록증 사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 신청인 여권 사본 , 외국인등록증 사본, 신청기업 공문(신청 사유 등) , 기타 필요서류등을 제출 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이나 절차 나 서류등의 양식에 관한 문의는 본 매체 주한외국기업뉴스 [GEN] 산업부 기자 나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소관 협회 사무총국 ( 02-3452-8603 ) 에 문의하면 상세한 안내를 받을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
김희제 08-25 10:56
대학가 캠퍼스 리크루팅, 코로나19로 인해 이례적으로 온라인 개최
대학가 캠퍼스 리크루팅, 코로나19로 인해 이례적으로 온라인 개최 -
유하정 08-03 15:07
[단독] 노보텍, 세계적 권위의 직장문화 기관으로부터 ‘2020년의 좋은 직장’ 인증받아
[단독]노보텍, 세계적 권위의 직장문화 기관으로부터 ‘2020년의 좋은 직장’ 인증받아 노보텍 김윤이 아시아총괄사장 (가운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의 바이오테크 전문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인 노보텍(Novotech)이 직장문화를 다루는 대표적인 기관인 ‘그레이트 플레이스 투 웍 인스티튜트(The Great Place to Work(R) Institute)’로부터 ‘2020년의 좋은 직장(Great Workplace 2020)’ 인증을 받았다. 이는 직장문화 실사 및 직원 설문조사를 포함한 종합적인 심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번 인증 획득과 관련해 노보텍 최고경영자 존 몰러(John Moller) 박사는 “직장문화에 대한 이 인증은 그간 우리 구성원들에 대해, 또 문화적 고려사항들에 대해 당사가 해 온 엄청난 투자의 결과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뜻깊은 것이다. 노보텍 팀은 바이오테크 분야 의뢰사들에 수준 높은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문화와 언어가 다른 여러 지역에서 일하고 있다“며 ”노보텍은 회사를 독보적으로 좋은 직장으로 만들어보겠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지난 12개월 동안만 하더라도 우리는 근무 조건의 유연성, 정보의 투명성, 성 평등, 경력 개발, 시설환경 등 여러 측면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말했다. 또 “2월에는 호주 정부 성평등국(WGEA)가 주는 권위 있는 상인 ‘성 평등의 모범이 되는 직장(WGEA Employer of Choice for Gender Equality)’ 상을 받아 당사 노력의 결과를 이미 확인받은 바 있다”며 "지역에 특화된 경험 있는 CRO에 대한 의뢰사들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역의 노보텍 직원 수는 12개월 사이 2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가 시작된 이후 노보텍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수행하는 임상시험에 대한 지원 요청이 더욱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을 보고 있는데 이는 이 지역 시험기관들이 위기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해 임상시험의 연속성을 유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노보텍은 ‘순 추천의향고객 지수(Net Promoter Score)’가 보여주는 다시 찾는 고객의 비율이 CRO 업계에서 가장 높은 회사 중 하나로서 의뢰사 참여율을 지속해서 매우 높게 유지하고 있다. ‘그레이트 플레이스 투 웍 인스티튜트’가 시행한 직원 설문조사는 다음 5가지 주요 항목에서 노보텍을 평가했다: 신빙성, 상호존중, 공정성, 자부심, 동료의식. 또한 이번 직장문화 실사에서는 직원들이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또 하나의 팀으로서 협력해가며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회사가 어떻게 독려하는지 등 노보텍의 전반적인 사내 분위기에 대한 깊이 있는 심사가 있었다. 노보텍의 안젤라 에드웟슨(Angela Edwardson) 인사부 책임 임원은 “노보텍은 현재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75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원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얼마 전에는 프로젝트 매니저, 임상시험 모니터 요원, 임상 데이터 담당자 등 100여개 보직에 대한 채용 전형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한 상세 내용은 노보텍 채용 정보를 참조하면 된다. 에드웟슨은 “이번에 받은 좋은 직장(Great Workplace) 인증 및 WGEA의 성 평등의 모범이 되는 직장 상은 모두 한 팀이 돼 함께 노력한 결과를 인정받은 것”이라며 "이것이 말해주는 것은 당사에는 활기찬 직장문화가 있다는 것, 또 당사의 직장문화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각지에서 일하는 우리 팀들과 잘 맞는다는 것이며 아울러 노보텍이 즐겁게 일하며 보람을 찾을 수 있는 직장이 될 수 있도록 회사가 이번에 평가 대상이 된 측면들에 대해 그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또한 노보텍은 직장에서의 평등을 중시하는데 이는 노보텍 임원진 대다수가 여성이고 아시아 지역 현지 대표들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이와 관련해 노보텍은 다음과 같은 조치들을 주도적으로 취해 왔다. - 근무조건 유연성 및 고용 평등에 관한 운영위원회를 조직해 최고경영자(CEO)가 위원장을 맡고 고위 임원들의 참여 아래 직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 - 회사 내 모든 직급에서 남녀 간 동등한 임금 지급을 위한 목표 설정 - 노보텍 경영진에 높은 여성 임원 비율 유지 - 채용, 업무 습득 기회, 보너스, 진급 결정 등에서의 차별 해소를 위한 제도적 장치 구축 - 유연한 근무 조건을 선택할 권한을 전 직원에게 부여
Labor Issue더보기 +
-
박하록 10-05 11:33
희망을 담은 고용, 미래를 담은 노동 ‘한국고용노동교육원’ 출범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2020년 10월 5일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고용노동교육원(원장: 노광표)이 공식 출범했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은 "한국고용노동교육원법" 제정(3.31.)에 따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부속기관인 고용노동연수원을 독립시켜 설립된 것으로, 우리나라 고용노동교육 중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신임 원장으로는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노광표 소장이 선임됐다. 그간 청소년.영세사업주 등 취약계층과 고용서비스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이를 총괄하는 기관인 고용노동연수원이 부속기관으로 운영되어 독자적인 교육계획 등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한계가 존재해 왔고, 고용노동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여타 기관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노동연수원을 별도 기관으로 독립시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교육원 출범을 통해 증가하는 교육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물론, 근로자.사업주 및 일반국민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종전에는 지방자치단체.노동조합 등 여러 기관에서 고용노동교육이 운영되고 있었으나, 교재.교육 프로그램. 강사 역량 등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없어 양질의 교육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이 설립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과 강사 양성 등 교육의 질을 높이고, 범정부적 협업체계를 구축, 각 기관별로 산재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노광표 원장은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부회장,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서울특별시 투자출연기관 노사정협의회 위원장 등의 이력을 가진 고용노동분야 전문가로, “교육원 출범에 따라 노동인권교육 등 기존 사업영역을 내실화하고, 확대된 기능과 역할에 충실하도록 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온-오프라인 교육 체계 확충 등 기반시설 강화에도 노력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은 10월 6일 14시에 현판식을 개최한다.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신동헌 광주시장 등 각계인사가 참석하여 교육원 출범을 축하할 예정이다. -
김종철 09-11 13:07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노총 가입 무산돼..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주노총 가입 무산돼.. 르노삼성 노사에 의하면, 9일,10일 이틀간 이뤄진 조합원 투표 결과 찬성표 60.7%(1158명), 반대표 39%(743명)결과로 민주노총 가입이 무산됐다. 이번 투표 대상에는 작년 노조가 추진한 전면파업 때 참여를 거부했던 노조원 300여명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를 탈퇴하거나 제명당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가입을 위해서는 조합원 과반수가 투표하고 투표자의 3분의 2(66.6%) 이상 찬성을 받아야 한다. 투표율은 96.1%를 기록했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3월 초에도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조합원들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노조 집행부가 작년 전면파업을 강행했을 때에도 조합원 70%는 집행부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정상 출근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수출이 급감한 사유로 인하여 르노삼성의 올해 1~8월 자동차 판매량은 8만4158대로 작년 동기 대비 26.6% 감소했다. -
김종철 09-11 12:13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장애 포용적 직장 공간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인 ‘장애인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Microsoft Enabler Program)’을 론칭했다. 전 세계 장애인(PWD)이 10억 명이 넘는 상황에서 장애 포용적 고용은 경제 생산성 증가로 이어져 아태지역 GDP가 1~7%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게 United Nations ESCAP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진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5개 국가에서 시범 실시된 후 올해 말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먼저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기업과 단체는 비영리단체로부터 포용적 고용주가 되기 위한 트레이닝을 받게 되고 장애인들을 위해 직업체험, 인턴십, 멘토링, 테크 분야 채용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AI 분야에 필요한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모두에게 포용적인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고용주(파트너), 비영리단체, 장애인 모두에게 필요한 협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비백 푸트코드(Vivek Puthucode) 마이크로소프트 아태지역 담당 최고 파트너 책임자는 “최근 각 직장의 업무 환경을 보면 구성원 모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같은 포용을 위한 수단이 바로 접근성이다. 이는 책임이자 곧 기회이기도 하다. 기술이 사용자의 다양성을 반영한다면 사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며 “포용적 기업들은 동종 업체들보다 실적이 더 좋으며 인재들을 계속 모으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용성이 어떻게 혁신을 주도하는지에 대한 사례도 계속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
홍소진 06-13 18:46
KOTRA "8일부터 온라인 외국인투자기업 채용 설명회
KOTRA "8일부터 온라인 외국인투자기업 채용 설명회 KOTRA는 8일부터 1주일간 ‘제2차 온라인 외국인투자기업 채용설명회’를 연다고 밝혔다.참가 기업은 △제조 △서비스 △정보기술(IT) △판매·유통 등 8개 기업이다. 채용직종은 연구개발, 기술영업,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총괄 등으로 업체별로 약간명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KOTRA는 전했다.온라인 채용설명회를 통해 외투기업과 구직자는 웨비나를 통해 실시간으로 만나게 된다. 구직자는 집이나 학교 등 편한 장소에서 KOTRA 제공 ID로 참가할 수 있다. 설명회에는 외투기업 8개사, 구직자 5000명이 참가한다.8개 참가기업은 제조 분야 3개사, 서비스 분야 3개사, IT 분야 1개사, 판매·유통 분야 1개사다. 스페인·싱가포르 등 국외에 인사담당자가 있는 3개사는 현지에서, 나머지 5개 기업은 한국지사 또는 코트라 사이버 무역상담장에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한다. 채용직종은 연구개발, 기술영업,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총괄 등으로 업체별로 약간명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4월 1차 채용설명회와 마찬가지로 외투기업은 웨비나를 통해 실시간으로 구직자들과 만난다. 구직자는 집, 학교 등 편한 장소에서 코트라가 제공한 아이디(ID)로 참가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코트라 외투기업채용지원팀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설명회에서는 구직자의 외투기업 취업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특강도 진행된다. 영문 이력서 작성법, 외국계기업 면접 대비요령, 구글코리아·로레알코리아 현직자 토크쇼 등 6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장상현 코트라 인베스트코리아 대표는 "코로나19로 지난 4월 외투기업 채용설명회를 온라인으로 전환했다"며 "1차 행사 때보다 구직자 호응이 커진 만큼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개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
강서우 06-13 18:20
강남구, 외국계 기업 취업 성공 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강남구, 외국계 기업 취업 성공 아카데미 참여자 모집 6월26일까지 선착순 20명 … 전문 컨설턴트 영문 이력서·자소서 특강 및 1:1 컨설팅 강남구(구청장 정순균)가 취업난 극복을 위해 개최하는 ‘외국계 기업 취업성공 아카데미’에 참여할 미취업 청년 20명을 이달 26일까지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역삼동 소재 강남스타트업센터에서 개최되는 이번 아카데미는 7월1일부터 17일까지 열리는 소수정예 프로그램으로 특강 및 컨설팅으로 구성된다. 특강은 10년 경력의 취업 전문 컨설턴트가 ▲외국계 기업 취업 필승 전략 ▲영문 이력서·자기소개서 작성 노하우 ▲면접 합격 비법 등을 알려주는가 하면 모의면접 등 개인별로 4시간씩 1:1 맞춤 컨설팅이 진행된다. 모집대상은 강남구에 주민등록을 둔 만 34세 이하 청년(6월1일 기준)으로, 희망자는 강남구청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seojisu@gangnam.go.kr)로 제출하면 된다. 이용달 일자리정책과장은 “어려운 시기지만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펼쳐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미래형 매력 도시, 강남’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Today`s Hot Issue
- Dismissal Due to Illegal Group Activities [불법집단행동에 따른 해고사건]
- Dismissal Due to Illegal Group Activities 불법집단행동에 따른 해고사건 I. Summary S Construction Compan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mpany”), with 40 employees, turned its main business to foreign markets as it became more and more difficult to win contract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due to a long-term economic recession, and in March and April, 2009, the Company won turnkey subcontracts for two projects (worth 10 million dollars) in Saudi Arabia. The Company assigned 12 employees to Saudi construction sites and work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but were unable to do so by the time scheduled, due to a lack of overseas construction experience, which caused a loss of about 5 billion won as calculated by the total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building. If the construction were to be completed at such a slow pace, the Company would face damages of up to 12 billion won. On April 16, 2010, the Company handed over the rights necessary to perform the construction and direct supervision over their 12 employees to a contractor which had a lot of foreign market experience. At this announcement, 8 of the 12 employees formed an emergency committee, and, dissatisfied by the changes, demanded the Company disclose the details of the contract between the Company and the contractor, collectively refusing to come to work from May 1st, 2010, if the Company failed to do so. The Company issued a warning that they would be fired if they carried out their threat, and when the employees did not show up for work after May 1st, 2010, the Company held a disciplinary action meeting and dismissed the 8 employees, who returned to Korea and applied for remedy from the Labor Commission. II. Employee Claims 1. General Situation The employer visited the Saudi construction sites on April 16, 2010, and 1) blamed on-site employees for the company having to spend more on construction than expected due to their lack of skill, 2) commissioned the contractor with authority for all work related to the Saudi construction, and 3) ordered on-site employees to accept supervisory control and directions from the contractor. On April 24, 2010, the contractor issued orders that placed Company employees on their organization chart. The following day, they issued another order that said, “Assigned daily duties shall be completed without exception, even if you are required to work all night.” Since the employees felt this order left them unreasonably vulnerable to dismissal, they agreed to send questions to the Company as a group, but the Company did not give answers they felt were acceptable. Then, claiming that the Company’s personnel orders were unfair without employee consent, the 8 employees stayed in their Company quarters, refusing to accept instructions from the contractor from May 1, 2010. In response, the head of the contracting company visited the 8 employees and informed them that if they did not return to work, he would have them deported. As the employees continued to refuse to return to work on May 2nd, the contractor applied for an exit visa. The Company then announced that all 8 employees would be fired if they did not return to work by 9 am on May 3, 2010, but still the employees did not show up. Instead, they boarded an airplane at 1 pm on May 3rd in accordance with the exit visa, with airplane tickets arranged by the contractor. At the same time the employees were boarding the plane, the Company held a Disciplinary Action Committee and dismissed the 8 employees. 2. Violation of Reasonable Severity of Punishment The Company commissioned all on-site operational rights to the contractor, along with rights to move on-site personnel, which falls under a company’s rights to move personnel. Any movement of personnel shall require agreement of the person(s) concerned, but the Company did not receive such agreement. Accordingly, there was no reason for the employees to follow the contractor’s orders. Also, it is stipulated in the Rules of Employment that the Company can only dismiss employees who have been absent for 15 days or more. Nevertheless, the Company dismissed the employees for an absence of only two days, disciplinary action which is too severe to accept as reasonable. 3. Faulty Disciplinary ProcessWhile the Company held a Disciplinary Action Committee hearing at 1 pm on May 3, 2010, they did not follow the principle of giving the employees an opportunity to explain their violations. Deprivation of the employees’ right to explain things makes the disciplinary process faulty. III. Employer Claims 1. Justifiable Personnel Orders from the Company The Company’s orders were unavoidable due to business necessity and they made a justifiable managerial decision. About three months ahead of the Terminal construction deadline, the client and auditing company had already issued repeated demands for contingency plans from the Company, which was dealing with delays in construction and increasing costs that it could not deal with by itself, ignorant as it was of on-site situations. So, it was absolutely necessary to receive the assistance of the contractor who had performed construction projects in that locality for years. 2. Illegal Group Activities While expressing worries about the collective behaviors of the employees concerned and answering their questions, the Company tried to persuade them of the necessity of bringing in an outside contractor to the construction project, up until they collectively started refusing to work on May 1, 2010. The employees expressed opposition to bringing in an outside contractor, and demanded to know the details of the agreement made with the contractor. As for this, the employer, the managing director, the on-site construction manager, and even the director of the contracting company tried to persuade the employees to come back to work, but they did not return. Ultimately, the Company notified the employees that if they did not return to work by 9 am on May 3, 2010, the Company would take disciplinary action. Each of the employees concerned refused the Company order to return to work to the end. 3. Justification for Procedures After receiving a report from the on-site manager that the employees concerned had rejected the Company’s final order to return to work on the morning of May 3, 2010 and were getting ready to return to Korea, the Company started taking disciplinary action. As there were no specific rules for the composition of a disciplinary committee, the company held a disciplinary meeting with three registered directors (including the representative director) and decided to dismiss the employees. Concerning the provision stipulated in the Rules of Employment that employees be given “opportunity to explain”, the Company considered this situation to be an exceptional case where the employees concerned could not come to the disciplinary committee for unavoidable reasons. According to a related judicial ruling, if the Company had provided enough opportunities for the employees concerned to explain their actions, or if their opinions had been reflected sufficiently in the disciplinary hearing, a decision to dismiss them would have been acceptable despite their absence. IV. The Labor Commission’s Decision 1. Justifiable Reasons for Disciplinary Action“As long as disciplinary reasons and types of disciplinary action related are stipulated in the Rules of Employment, disciplinary action implemented accordingly are acceptable, unless they violate the good-faith principle or are an abuse of rights. When the employee’s misbehavior falls under the reasons for dismissal as stipulated by the Rules of Employment, dismissal according to the Rules is justifiable.”(Supreme Court 91 da20173)The employer was in danger of suffering large losses on two Saudi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so decided that contracting a company with more experience would be best, as well as handing over al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construction, including direct control of the employees concerned. 1) In this process, the employer visited the Saudi construction sites, explained the situation and expected their cooperation. 2) However, the employees formed an emergency committee and sent a letter of complaint informing the employer that the possibility existed that they would refuse to provide labor service from May 1, 2010. 3) The employer, technology director, and director of the contracting company answered employee questions truthfully and tried to persuade them to offer willing cooperation in order to help the Company overcome its crisis and complete the construction. 4) In reality, the eight employees refused to provide labor service from May 1, 2010 to the day they returned to Korea on May 3. Upon consideration, these 4 items are justifiable reasons for disciplinary action. 2. Justification of Disciplinary Process“Before any employee discipline was decided upon, the Employee visited the president, managing director, personnel manager, etc. and explained the details of the incident subject to discipline. In doing this, he experienced all processes related to disciplinary action. Even though he was not asked to attend the disciplinary hearing, the fact that disciplinary decisions were made without his presence is acceptable.” (Supreme Court 90da143983) 1) After meeting with the employer, technology director, and director of the contracting company several times over 15 days, the employees knew that disciplinary punishment would follow if they collectively disobeyed the employer’s orders to return to work. 2) There was an urgent necessity to cope with this case as employee assembly and demonstrations are illegal and subject to police enforcement and prosecution in Saudi Arabia. 3) They knew their continuous rejection to go back to work could result in deportation. When reviewing the aforementioned items along with the above judicial ruling, the disciplinary process in this case seems strongly justifiable. 3. Justification for the Severity of Disciplinary Punishment“If there is an admitted reason for disciplinary punishment, the kind of disciplinary punishment the employer shall apply is at the employer’s discretion. If the employer determines disciplinary action according to appropriate criteria for the severity of disciplinary punishment, unless such criteria are unreasonable, and if such application was not inappropriately used to dismiss particular employees, such disciplinary action is legal, and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balanced application.” (Supreme Court 2007 du 7093) The employees claimed that dismissal was too severe a punishment for only two days’ absence, considering that the Rules of Employment state that the Company can only dismiss employees who have been absent for 15 days or more. However, upon reviewing the following items, dismissal is not too severe a punishment. 1) The employees agreed that these two projects were the first the Company had won overseas, expected huge losses from these projects and faced a very difficult situation. 2) Even though the employer had visited the construction sites and tried to persuade the employees to help in overcoming the crisis, they did not work to find ways to minimize the damage while continuing to work. 3) The employees collectively refused to work. V. Conclusion In this case of dismissal due to illegal group activities, the main points for discussion were 1) whether handing over authority to direct work is considered a right to move personnel or not, and 2) whether the Company gave the employees opportunity to explain their side in the disciplinary action hearing or not. First of all, the Labor Commission estimated that this case did not qualify as a right to move personnel, as claimed by the employers. In looking at the requirement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 contracting company’s direct orders to subcontractors are common business practices used by construction companies for operational necessities, and so this is different from movement of personnel. Also, while the employees were in Saudi Arabia, the employer held a disciplinary meeting without giving direct opportunity for the employees to explain their opinions. However, the employer had given employees sufficient time and opportunity to consult with him in advance, and this prior process was regarded to be implementation of the disciplinary process rule, ‘giving opportunity to explain’, as stipulated in the Rules of Employment. 불법집단행동에 따른 해고사건 I. 사건개요 40여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S 건설회사(이하 ‘회사’라 함)는 국내 건설 경기가 장기간 침체되어 가고 수주여건이 점차 악화되자 해외시장으로 사업의 방향을 돌려, 2009년 3월과 4월에 Saudi Arabia에서 2건의 공사 (공사금액 약 1000억원)를 일괄수주방식(Turn Key)의 하도급으로 수주하였다. 회사는 근로자 12명을 사우디 공사현장에 파견하여 공사를 진행하였으나, 해외건설에 경험이 없던 관계로 공사진척이 예정보다 많이 늦어져서 당시 공정률 기준으로 5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하였고, 공사가 동일한 상태로 진행된다면 120억 가량의 손실이 예상되었다. 이에 2010. 4. 16. 회사는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건설경험이 많이 있는 원청회사에 공사수행에 관한 권한과 회사소속 근로자 12명에 대한 업무지시권을 위임하였다. 이러한 회사의 발표에 대해 불만을 가진 8명의 직원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회사와 원청회사 사이의 이면계약 내용 공개를 요청하며, 2010. 5. 1. 부로 집단적으로 출근을 거부하였다. 회사에서는 5월 3일 까지 출근하지 않을 경우, 모두 해고조치 하겠다는 마지막 경고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출근을 하지 않았고, 이에 회사에서는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근로자 8명에 대한 징계해고를 하였는데 해당 근로자들이 귀국하여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한 사건이다. 1. 사실관계 회사의 대표이사가 2010. 4. 16. 사우디 공사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직원들에게 1) 현장직원들의 자질이 부족하여 공사비가 초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질타를 하였고, 2) 이에 대한 타계책으로 사우디 현장에 대한 모든 권한을 원청회사에 위임하였으며, 3) 향후 현장 직원들은 원청회사의 관리감독과 업무지시를 받으라고 하였다. 2010. 4. 24. 원청회사는 회사의 현장직원들을 원청회사의 조직표에 편입하는 인사발령을 하였으며, 다음날 업무지침이 하달되었는데, 그 내용은 “그날 해야 할 일은 밤을 새서라도 그날에 처리하기 바랍니다.”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원청회사의 인사발령으로 신분상 위기감을 느끼게 된 직원들이 집단적 결의로 질문서를 보냈으나, 회사는 만족할 만한 답변을 주지 않았다. 이에 근로자 8명은 근로자들의 동의를 득하지 않은 회사의 전출명령은 부당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2010. 5. 1. 부로 원청회사의 업무지시를 거부하면서 숙소에 대기하였다. 이에, 원청회사의 대표이사가 숙소를 찾아와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출국조치 하겠다고 통보하였고, 5월 2일에도 출근을 거부하자 원청회사는 출국비자를 신청하였다. 회사로부터 2010. 5. 3. 오전 9시까지 출근하지 않으면 해고한다는 복귀명령이 있었으나, 근로자들은 출근하지 않았다. 원청회사가 신청한 출국비자와 항공권 예약내용에 따라 근로자들은 5월 3일 오후 1시 비행기에 탑승하였고, 회사에서는 이 탑승한 시간에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해당 근로자 8명을 전원 해고하였다. 2. 징계양정의 과다회사는 사우디 현장 직원에게 인사권을 포함하여 현장운영권 일체를 원청회사에 위임하였으므로 이는 전출에 해당되며, 전출시는 반드시 해당 근로자들의 동의를 받도록 되어 있지만 회사에서는 어떠한 동의를 받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불법 전출에 대한 원청회사의 인사명령을 따를 이유가 없었다. 또한 취업규칙에도 15일 이상 무단 결근한 경우 해고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해당 근로자들이 이틀 간 출근을 거부하고 숙소에 대기한 것을 이유로 징계해고를 결정 하였는바, 이 징계해고는 너무 가혹하다고 할 수 있다. 3. 절차상 하자 회사는 2010. 5. 3. 오후 1시 징계위원회를 개최하면서 취업규칙에 정해진 소명기회부여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 회사가 해당 근로자들에 대한 소명기회를 박탈한 것은 중대한 절차상 하자에 해당된다. III. 사용자의 주장 1. 회사의 정당한 인사명령회사의 업무상 명령은 사업상 불가피한 선택에서 비롯한 것이었으며, 정당한 경영권의 행사였다. 터미널 공사의 약정 준공일을 3개월 앞두고 공사지연에 대한 발주처와 감리업체로부터 대책마련 요구를 수 차례 받고 있는 상태에서, 예상되는 적자와 현지 사정에 어두운 관계로 스스로의 힘으로 타개할 방법이 없었다. 이에 따라 현지에서 수년간 건설공사를 수행한 원청회사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다. 2. 불법 집단행동회사는 해당 직원들의 집단적 행동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2010. 5. 1. 집단적 근로제공을 거부하기 시작한 시점까지 직원들의 질의서에 답변하면서 공사위임의 필요성을 설득하였다. 그러나, 해당직원들은 공사위임 반대 및 회사에 원청회사와의 합의서 내용공개를 요구하며, 5월 1일부터 근로제공을 집단적으로 거부하였다. 이에 대해 회사의 대표이사, 상무, 공사현장 소장, 심지어 원청회사의 대표이사까지 해당 근로자들에게 업무에 복귀하도록 설득하였으나, 이에 따르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회사는 2010. 5. 3. 오전 9시까지 회사복귀를 하지 않을 경우, 징계조치를 하겠다는 통보를 하였으나, 해당 근로자들은 끝까지 회사의 업무복귀명령을 거부하였다. 3. 절차적 정당성 회사는 2010. 5. 3. 오전 집단적으로 근로제공을 거부하고 있는 직원들이 회사의 최종 업무복귀명령을 거부하였고 귀국절차를 밟고 있다는 현지소장의 보고를 받은 후,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징계에 착수하였다. 회사의 취업규칙에 징계위원회의 구성에 관한 규정은 없었기 때문에 대표이사 등 3인의 등기임원으로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해당 근로자들을 해고하기로 결정하였다. 취업규칙에 명시된 ‘변명의 기회 부여”에 대해서는 해당 당사자들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출석하지 못하는 경우로 판단하여 처리하였다. 관련 판례에서도 징계위원회에 해당 직원들이 참석하지 않았더라도 변명의 기회가 주어졌다고 인정될 정도로 의사를 개진하였고, 이러한 근로자들의 의사가 충분히 징계위원회에 반영되었다고 한다면, 징계위원회에 참석시켜 소명권을 부여하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이 있다. IV. 노동위원회의 결정 1. 해고사유의 정당성 여부에 관하여“취업규칙에서 징계사유와 그에 대한 징계종류를 규정하고 있는 이상 그 규정 자체가 신의칙에 위반한다거나 권리남용에 해당한다는 특별한 사정에 없는 한 그 규칙에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하며, 근로자의 비위사실이 취업규칙 소정의 해고사유에 해당한다면 그 규정에 따른 해고의 징계처분은 정당하다.” (대법 91다 20173) 이 사건 사용자는 수주 받은 2건의 사우디 공사가 예상보다 훨씬 큰 손실 발생위험이 있어 회사 존폐의 위기 타결책으로 원청회사에 현장의 공사수행에 관한 모든 권한 및 필요한 경우 이 사건 근로자들에 대한 업무상 지시 감독권도 위임하기로 하는 등의 사항에 대해, 1) 이 사건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사우디 현장을 방문하여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경영권에 속하는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2010. 5. 1. 부터 업무에 집단으로 거부한다는 내용의 항의서한 및 의결서를 이 사건 사용자에게 보낸 점, 3) 이 사건 사용자의 대표이사, 기술부장 및 원청업체 대표이사는 이 사건 근로자들의 질문에 성실하게 답변하고 회사의 위기극복 및 공사를 최대한 완료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것을 거듭 설득하여온 점, 4) 실제 이 사건 근로자들 8명 모두 2010. 5. 1. 부터 출국하는 같은 달 3일 까지 집단으로 출근을 거부한 점, 5) 이 사건 사용자가 같은 달 3일 까지 무단결근자에 대해 전원 복귀명령을 내렸으나 이에 불응한 점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정당한 징계사유가 된다고 할 것이다. 2. 해고절차의 적법성 여부에 대하여 “근로자가 자신에 대한 징계의결이 있기 전에 회사의 사장, 상무이사, 총무과장 등을 찾아가 징계사유가 된 사고 발생에 관하여 변명하거나 그 경위를 진술하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게 된 것을 알게 되었다고 엿볼 수 있으므로, 근로자가 그 후에 이루어진 자신에 대한 징계 절차에의 출석을 요구 한 바 없었다면, 그 출석 없이 한 징계절차는 적법하다.” (대법 90다143983)1) 이 사건 사용자의 대표이사, 기술부장 및 원청업체 대표이사와 최초 면담 후 15일간의 기간 동안 수 차례 면담을 통해 근로자들은 집단으로 출근을 거부하고 업무복귀 명령에 불응하게 될 경우 자신들에게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게 될 것을 알 수 있었던 점, 2) 사우디법에 의하면 시위 및 집회는 불법으로 경찰의 단속 및 물리적 제재 대상으로 긴급하게 대처할 필요성이 엿보이는 점, 3) 업무 복귀에 불응할 경우 출국조치에 이를 수 밖에 없음을 인지하고 있었던 점 등 위 판례의 태도에 비추어 종합적으로 볼 때 해고 절차의 정당성을 부인하기 어렵다. 3. 해고양정의 적정성 여부에 대하여“징계사유가 인정되는 경우에 징계권자가 피징계권자에 대하여 어떤 징계를 선택할 것인지는 원칙적으로 징계권자의 재량에 속하는 것이고, 징계권자가 징계양정기준에 따라 징계처분을 하였을 경우 정해진 징계 양정기준이 전혀 합리성이 없다거나 특정의 근로자만을 해고하기 위한 방편이라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징계처분 정당하다. ” (대법 2007두7093) 이 사건 근로자들은 취업규칙에서 15일 이상 무단 결근한 경우 해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틀 동안 무단결근 한 것을 이유로 해고 처분한 것은 양정이 과다하다고 주장하나, 1) 해외공사를 처음 수주하여 엄청난 손실 발생이 예상되고 회사가 어려운 처지에 있음을 근로자들이 인정한 점, 2) 위기 극복을 위해 이 사건 사용자가 현지까지 방문하여 설득을 거듭하고 서면으로도 협조를 수 차례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업무를 수행하면서 그 문제점을 시정하는 방법 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 없이, 3) 극단적인 집단 출근 거부를 선택한 점을 볼 때 그 비위의 정도가 매우 중함으로 결코 본건 징계의 양정이 과하다고 할 수 없다. V. 결론 근로제공을 집단적으로 거부한 이 해고사건에 있어 주요 쟁점은 회사가 공사를 위임하면서 업무지시권을 위임한 것이 근로자측에서 주장하는 인사상 전출에 해당 되는 지와 취업규칙에 규정된 변명의 기회를 부여했는지 여부에 있었다. 우선, 노동위원회는 근로자들이 주장하는 전출 인사명령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사업완료를 목적으로 하는 건설현장에서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 원청회사의 직접지시 등은 업무처리의 한 형태로 일정한 기간에 편의상 발생하는 것으로 전출명령이 아닌 일상적인 인사권으로 인정하였다. 또한 근로자들이 사우디에 있는 동안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징계위원회를 개최하여 해고하는 과정에서도 변명의 기회를 직접적으로 주지 않았지만, 충분히 징계에 대한 사전 협의를 거쳤기 때문에 취업규칙에 정해진 변명의 절차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certified labor attorney Mr. Bong Soo Chung
Photo Slide1 / 2
Economy
-
[단독보도] Evonik ,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단독보도] Evonik ,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Evonik, 경량 e-mobility를 위한 새로운 고전압 배터리 하우징, 에폭시 SMC용 경화제 개발 Evonik은 e-mobility 솔루션을 위하여 보다 가볍고 비용적으로도 효율적인 배터리하우징 개념을 개발에 성공하였다. 새로운 에폭시 SMC는 강도와 고전압 성능을 유지하면서 배터리 하우징 중량을 최대 10%까지 감소시키며, 모든 차량 크기의 등급에 적합하며 상당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하여 설계 및 생산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Evonik, Vestaro 및 관련 업계는 2019년 말부터 다양한 재료 접근법에 대해 협력하기 시작하여, 배터리 하우징의 무게를 약 10%까지 크게 줄이는 독립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배터리 하우징 개념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유리 섬유강화(GF)-시트 몰딩 컴파운드(SMC)이며, 고성능 에폭시 경화제 VESTALITE® S를 기반으로 금속 기반 배터리 인클로저의 성능 수준을 제공하며 기존SMC 재료보다 경량화 시킬 수 있다. Evonik Operations GmbH & Managing Director, Vestero GmbH의 Dr. Leif lckert는 "배터리 모듈과 그 하우징은 현대 전기차의 성능, 효율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되었다. 복합재료기술은 강성과 다기능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향후 배터리 하우징 개념을 위해 유망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리의 새로운 유리 섬유 강화 SMC는 차세대 지속 가능한 e-mobility를 추진하는데 자동차 업계가 요구하는 성능과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유리섬유보강형 에폭시 SMC는 휨, 충격강도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내화성과 관련된 모든 사양을 충족하며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 및 극한 조건에서도 연속 생산과 안전에 대한 적합성을 만족시킬 것이다. 또한 consortium 파트너사인 Lorenz Kunstofftechnik은 유리 섬유 강화 SMC 재료를 성공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발했으며 이는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 요구 사항 증가에 대한 중요한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새로운 배터리 하우징 개념에 대한 자세한 정보, 이미지 및 문의 사항은 evonik.com/vestalite-s을 방문하세요. Evonik의 새로운 VESTALITE® S 에폭시 경화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vestalite.com를 참조하십시오. 에보닉 에보닉은 특수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주자 중 한 기업으로,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131억 유로의 매출과 21억 5천만 유로의 영업 이익(조정 EBITDA)을 창출하였습니다. Evonik은 화학을 뛰어넘어 고객을 위한 혁신적이고도 수익성이 높으며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만듭니다. 32,000명 이상의 직원이 함께하며, Evonik과 함께하시는 모든 분들의 삶이 더욱 개선되기를 바랍니다. www.evonik.com www.evonik.com/crosslinkers Evonik Crosslinkers 및 VESTARO GmbH의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www.vestaro.com
-
속보[단독] 블룸버그통신 , 월스트리트저널 계속 거론되는 씨티銀 한국철수설…
[단독] 계속 거론되는 씨티銀 한국철수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계속적으로 주요외신들이 씨티은행 한국철수설을 보도하고있다. 지난 1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미국 씨티그룹의 새 CEO인 제인프레이저는 최근 그룹 전반적인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씨티그룹의 한 소식통은 "한국과 베트남을 포함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상업 은행(소매 금융) 영업을 중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단 한국을 포함한 전 지역에서 기관을 대상으로 한 IB 기능은 남겨둘 확률이 크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 안에 따르면 한국씨티은행의 소비자 부문은 철수 가능성이 더욱 유력해는 셈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 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씨티그룹이 한국, 태국, 필리핀, 호주 등 아태지역의 소매금융 사업을 처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씨티그룹의 아태지역 소매금융 수익은 15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 떨어졌다. 국내 금융권에선 한국씨티은행을 인수할 잠재적 후보로 DGB금융과 OK금융을 거론하고 있다. 매물로 나온다는 전제 하에 OK금융은 은행업 진출을, DGB금융은수도권 거점 확대를 꾀하는 전략에서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현재 한국 은행업의 주가 순자산비율(PBR)은 0.3~0.4배 가량이다. 한국씨티은행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순 자산(6조2953억원)을 감안하면 가격이 최대 2조5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다만 매각 대상은 39개 점포를 포함한 자산관리, 카드 사업 등 소매 금융에 국한할 가능성이 높다. 기업 금융 부문을 남기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씨티그룹 본사 측은 이 보도 내용에 대해 “많은 다양한 대안들이 고려될 것이며, 장시간 충분히 심사숙고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혀 한국 소매금융 철수 등 여러 대안에 여지를 남겼다. 반면 한국씨티은행은 “신임 회장의 새 경영전략이 일부 발표됐을 뿐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제인 프레이저 회장이 2015년 중남미 책임자로 근무할 당시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법인을 매각한 이력 등이 부각되면서 씨티그룹의 아태지역 사업 재편설에 힘이 실리고 있다. 더구나 씨티그룹은 2015년에도 한국에서 소비자금융을 철수하기로 하면서 씨티은행 자회사인 씨티캐피탈을 매각한 바 있다.
-
속보[단독취재]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공개
[단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공개 “코로나19 영향에도 이커머스·개발·물류 자동화 분야 인재 수요 중가” • 기업은 1인 다(多)역이 가능한 핵심 인재 채용을 모색…문제 해결,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춘 인재 확보 경쟁 심화 •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디지털 연봉 조사를 통해 전 세계 31개국 최신 채용시장 트렌드 및 연봉정보 제공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1인 가정과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던 온라인 소비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의 확대로 빠르게 다양한 산업 군에 도입되어 올해 채용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온라인 산업의 급속 성장과 더불어 비(非) IT기업도 디지털 전환에 앞다퉈 나서면서 이커머스, 앱·웹 개발, 및 물류 자동화 관련 산업 분야에서 인재 채용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지난 1월 18일 올해 고용시장 동향과 연봉 수준을 전망한 2021 디지털 연봉 조사 (Digital Salary Survey 2021)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 연봉 조사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를 통해 이직한 지원자들의 연봉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무회계, 소비재 및 소매, 헬스케어, 인사관리 및 법률, 기술혁신, 제조(자동차, 반도체, 화학, 에너지, 물류) 등 총 6개 산업의 직무 별 연봉 정보를 제공한다. 2021 연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재택근무 권고와 단계별 사회적 거리두기 실현으로 많은 소비재 기업들이 온라인 사업을 강화하고 온라인 서비스 개선에 집중하면서 앱 및 웹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획 및 개발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대면 업무로 많은 기관 및 기업의 업무 환경이 클라우드로 전환되고 화상 수업의 일상화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서비스의 이용량이 늘어나면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의 플랫폼 개발 및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전반에 대한 인력 수요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헬스케어 분야는 신약개발, 로봇수술,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사업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신사업의 성장이 두드러지면서 관련 연구개발직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AI 관련 고성능 칩을 설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특히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투자가 지속되면서 공급 부족 현상을 겪는 차량용반도체 분야의 인재 확보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는 구직자들과 기업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67%가향후 1년 이내 이직을 모색한다고 답했으며, 이직을 모색하는 구직자들은 ‘차별화된 보상과 혜택 (33.5%)’보다 ‘동기부여가 되는 기업문화 및 동료 ’(63%)’와 ‘고용 안정성 (45.3%)’을 중요하게 판단했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올해 가장 중요한 지원자의 역량으로 ‘문제해결 능력(78.5%)’과 ‘커뮤니케이션(62.2%)’ 능력을 꼽았다. 이는 코로나 시대를 겪으며, 기업 경영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일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즉각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는 역량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은 “전반적인 채용 규모 축소 및 채용 보류로 일부 기업들이 1인 다(多)역이 가능한 핵심인재의 채용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급변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구직자들은 유연한 태도와 트렌드를 읽어내는 능력, 비즈니스 감각, 독창적 사고력 등 직무 능력 외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핵심인재를 육성하고 유지려면 인센티브나 스톡옵션 등을 통해 매력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하고, 좋은 리더 양성을 위한 리더십 트레이닝,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을 갖추는 등 인재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로버트 월터스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채용 컨설팅 기업으로 지난 20여 년간 전 세계 고용동향과 연봉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연봉 조사서를 발간해왔다. 2021년 디지털 버전으로 재탄생한 로버트 월터스의 [디지털 연봉 조사서]는 노동 시장과 고용 정보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정보와 우수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전 세계 31개국의 산업별, 직무별 연봉정보를 쉽게 볼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연봉 조사 사이트 (https://www.robertwalters.co.kr/salary-survey)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단독] 박남춘 인천시장 , 스태츠칩팩코리아 방문... 인천청년 채용 당부
[단독] 박남춘 인천시장 , 스태츠칩팩코리아 방문... 인천청년 채용 당부 박남춘 인천시장이 최근 1500명 신규 채용 계획을 밝힌 스태츠칩팩코리아(대표이사 김원규)를 방문해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하고 인천 청년 채용을 당부했다.박 시장은 27일 인천국제공항 배후단지 소재 반도체 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 생산현장을 방문했다. 박 시장은 신규 채용 계획에 맞춰 지역 인재 우선 채용을 당부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박남춘 인천시장이 최근 1500명 신규채용할 계획을 밝힌 스태츠칩팩코리아(대표이사 김원규)를 방문해 감사인사를 전하며, 인천 지역 청년 채용을 당부했다.(사진제공 인천시)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세계 3위 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는 세계 반도체 시장 수요에 대응해 올해 1500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5G·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자율주행 등에 필요한 제품을 개발해 생산할 계획이다.박 시장은 김원규 대표를 만나 “코로나19로 고용시장이 악화된 시점에 대규모 인력을 채용하는 스태츠칩팩코리아에 감사하다”며 “신규 인력 채용 시 인천시교육청 등과 협력해 지역 청년들이 일할 수 있게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이어 “인천형 뉴딜로 기존 제조업 중심 산업을 첨단 디지털·바이오 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구조를 전환하고 있다”며 “앞으로 디지털 분야 중견·중소기업들이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부연했다.박 시장은 지원 대책으로 ▲중소기업육성자금 대폭 확대 ▲혁신사업 분야 1조 원 규모 펀드 조성 ▲인천스타트업파크 육성 등을 약속했다.인천스타트업파크는 국내 첫 개방형 혁신 창업 거점으로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기업들이 속속 입주하고 있다.스타트업파크 입주 예정 업체 77개 중 현재 44개가 둥지를 틀고 있다. 나머지 기업들도 다음 달까지 모두 입주할 예정이다.입주 기업들은 주로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바이오융합 기술을 다루는 스타트업이다. 입주 기업 77개는 민간 주도 육성 기업 37개와 공공 주도 육성 기업 40개로 구성됐다.민간 주도 육성 프로그램 운영은 신한금융지주 컨소시엄이 담당한다. 매년 운영예산 30억 원과 펀드 500억 원을 지원한다. 공공 주도 육성은 인천테크노파크가 맡는다.박 시장은 다음 달 열리는 ‘인천스타트업파크, 렛츠 붐업(Let′s BoomUp)’ 행사에 참석해 인천스타트업파크 운영에 힘을 보태고, 입주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이 행사는 당초 이달 28일로 계획됐지만, 신임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임명 문제로 연기됐다. 늦어도 다음 달 중순 쯤 다시 날짜가 결정될 전망이다.박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핵심 과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미래 산업 발굴”이라며 “첨단 신산업 육성으로 인천 경제 생태계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청년 창업자와 구직자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olitics
-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비대면 온라인 출범식 과 이재명식 기본소득,기본주택등 보편복지 나래펼칠듯.......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비대면 온라인 출범식 과 이재명식 기본소득,기본주택등 보편복지 나래펼칠듯....... 22일 오후 경남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출범식에서 상임대표인 송순호 도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남도의회 경남에서도 시민사회, 농민, 청년, 예술인 등이 참여하는 기본소득제도 추진을 위한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가 출범했다.22일 오후 3시 경남도의회 1층 대회의실에서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된 출범식의 1부 행사는 기본소득에 동의하고 공감하는 모든 세력들이 직접 나서서 시행 가능한 제도를 만들어가자는 내용의 출범선포식과 행사 축사 영상이 방송됐다. 2부에서는 ‘성장과 혁신 그리고 새로운 기본권과 기본소득’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초청 강연을 진행하며 “기본소득은 4차산업 혁신의 시드머니이며, 새로운 기본권으로 청년과 대한민국의 미래 만들기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기본소득국민운동 경남본부 상임대표로 선출된 송순호 도의원은 “기후위기, 신자유주의가 가속화한 불평등과 양극화, 저출산·고령화,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저성장과 고용불안의 시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기본소득이 필요하다”며 “향후 국민운동경남본부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기본소득 논의를 범국민적 사회운동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9일에는 연내 범국민적인 기본소득 운동조직 결성이 성사될 경우 기본소득을 핵심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정책 행보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에 따르면 기본소득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체(정치공동체)가 모든 구성원 개개인에게 아무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이다. 기본소득은 모든 구성원에서 지급한다는 보편성, 자산 심사나 노동 요구 없이 지급한다는 무조건성, 가구 단위가 아니라 구성원 개개인에게 직접 지급한다는 개별성 등의 특성에 의해 기존 생활보장제도와 구별된다. ▲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8일 오후 수원역 11번 출구 앞 팝업무대에서 열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락(樂) 페스티벌에서 개그맨 출신 MC 노정렬씨, 김제영 청년기본소득 청춘크리에이터 대표 등과 함께 ‘청년 Q&A(“청년이 묻고, 지사가 답하다”)’를 하고 있다. ⓒ 경기도 이재명 지사는 또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경기도에서 '기본소득 국제박람회'를 개최했고, 농민 개인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농민기본소득과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농촌기본소득 사회실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본소득 재원확보를 위해 정치권을 상대로 기본소득토지세 도입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또한 충남, 전남, 전북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들도 농민들의 생계 지원을 위해 농민수당 등을 지급하고 있다."재난지원금으로 기본소득 경험... 우리 미래를 위해 중요"기본소득국민운동본부 출범 제안자에는 강남훈 교수를 비롯해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인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 윤석인 희망제작소 부이사장, 이원재 LAB2050 소장 등 대표적인 우리나라 기본소득 전문가들과 학계·시민사회 대표들이 참여했다.
-
[사설] 미국대선 대통령 당선결과 공식발표는 미연방대법원의 판결 이후로 미룬다.
[사설] 미국대선 대통령 당선결과 공식발표는 미연방대법원의 판결 이후로 미룬다. 한국의 주요언론과 정부의 입장은 미국대선결과 바이든후보가 당선자로 공식입장을 발표하고 있지만 본지는 공식발표보도를 올해 연말이나 내년 1월중 적어도 미국연방대법원의 판결이후에 하고자 한다. 현재 미국의 상항은 이번 대선이 우편투표를 통한 미국 역사상 희대의 부정선거국면으로 트럼프측과 바이든측의 소송으로 진행중에 있고 트럼프 지지자와 바이든 지지자들간의 극심한 갈등으로 계엄령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글로벌 공식 사회관계망에서도 아직 바이든후보를 유력 당선인 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CNN 등 미국내 민주당 바이든 ,오바마, 힐러리를 지지하는 언론사에서는 바이든 후보가 당선인이라고 기정사실화 하며 보도를 하고 있으며 미국내 상항은 법원과 의회는 트럼프편 언론은 바이든편 이라는 말이 희자되고 있다. 트럼프측의 전략전술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은 행보를 보일것으로 본지는 추측해본다, ㅡ 연방대법원에서 9명중 6명의 대법관이 그 주의 표를 무효화. ㅡ 그렇게 되면 트럼프ㅡ바이든 모두 유효 선거인단 270 확보가 불가능. ㅡ 결국 의회 중 하원이 대통령을 결정 ㅡ 하원 435명이 하는것이 아닌 각 주당 하원 대표 한명씩 50명이 투표. (하원 435석 중 민주당이 다수) 그러나 각 주대표는 공화당이 26석, 민주당이 22석 이므로 결국 트럼프는 재선 당선 가능 시나리오를 추진하는듯 보인다. 최근 CNN이 "트럼프 재당선 가능성 " 이라는 보도기사 제목을 내놓은 것도 주목할만하다. 그리고 오비이락이라는말이 무색하도록 CNN은 갑자기 방송매체를 시장에 매각하기위해 매물로 내놓았다. 현재 미국내 CNN 방송 청취률이 바닥을 치고있고 오히려 SNS 등의 개인뉴스들이 신뢰를 가지고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연방법원의 결정에 의하든 미하원의 투표결과를 통하든 트럼프의 재선 또는 바이든의 당선 뉴스는 미국 선관위의 공식적 발표가 있은후에 하고자한다. 이 모든것이 한치앞도 내다볼수없는 현 미국의 상항이므로 본지 만큼이라도 CNN등 주요 거대언론매체의 기사를 그대로 인용하는 국내 주요언론매체와는 달리하고 싶다. 주한외국기업뉴스 [GEN] 대표기자 김종철
-
정부 “파키스탄 테러 강력 규탄…희생자 애도”
지난 20일 파키스탄 카이버팍툰콰주 소재 대학교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인해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데 대해 우리 정부는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이러한 테러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 지난 20일 파키스탄 탈레반은 한 대학에서 총기난사 테러를 저질렀다. 이 날 테러로 5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정부는 21일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이 같이 밝히고 “이번 테러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과 파키스탄 국민들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테러는 어떠한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는 반인륜적, 비인도적 범죄행위로서 반드시 근절돼야 하며 우리 정부는 이러한 확고한 입장하에 테러 척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도청 공무원들 헌혈 동참 '헌혈 통해 생명 나누고 사랑 실천'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구합니다. 헌혈은 혈액 성분 중 한 가지 이상이 부족해 생명을 위협받는 다른 사람을 위해 건강한 사람이 아무 대가 없이 자신의 혈액을 기증하는 사랑의 실천입니다. 4일 경기도청 공무원들이 도청을 찾은 헌혈버스에서 생명을 나누고 사랑을 실천하는 헌혈에 동참했습니다. ▲ 4일 경기도청을 찾은 헌혈버스에서 도청 공무원이 헌혈을 하고 있다 ▲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에 따르면 헌혈은 수혈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혈액은 아직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거나, 대체할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 ▲ 헌혈버스 내부 모습
Social
-
[단독] 4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 프러스 ,1인당 최대 1천만원 받을수 있다.
[단독] 4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버팀목 프러스 ,1인당 최대 1천만원 받을수 있다. 정부가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해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15조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에서 현금 지원 총액은 8조 1천억원이다.'소상공인·고용취약계층 긴급 피해지원금' 항목이다. 이 중 대부분인 6조 7천억원이 집합 금지와 제한 등 코로나19 방역 조치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들에게 지급되는 '버팀목자금 플러스'다.현재 지급이 진행 중인 3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 규모가 4조 1천억원이었는데 이번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그보다 2조 6천억원이나 늘었다.기존 버팀목자금 지급과 관련해 지적됐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형평성 또한 높이면서 지원 대상 사업체 범위가 기존 280만 개에서 385만 개로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다.3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은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른 '소상공인'을 지급 대상으로 함에 따라 종업원이 5명 이상인 사업체는 받지 못했다.◇4차 지원금 지급 대상 사업체, 3차 지원금보다 105만 개 늘어소상공인기본법의 '상시 근로자 수' 기준이 광업과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을 제외한 업종의 경우 '5인 미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4차 재난지원금의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지급 대상이 '중소기업기본법'상 '소기업'으로 넓어졌다.소기업은 상시 근로자 수 기준이 없어 5인 이상 사업체도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급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39만 8천 개 업체가 지급 대상에 새로 포함된다.다만, 소기업에는 매출액 기준이 적용되는데 대표적인 소상공인 업종인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연 매출액이 10억원을 넘으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반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연 매출액 30억원까지 지급 대상이 될 수 있다.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외에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에 적용되는 연 매출액 한도 또한 기존 '4억원 이하'에서 '10억원 이하'로 상향됐다.◇종업원 '5인 이상'도 지원, 일반업종 매출 한도 10억으로 상향이에 따라 24만 4천 개 업체가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지원받는 일반업종에 추가된다.3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이 확정된 지난해 12월 이후 새로 창업한 업체도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급 대상이 되는데 정부는 그 규모를 33만 7천 개로 예상했다.이와 함께 정부는 이번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원 유형을 이전 버팀목자금보다 세분했다.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 지원 내용. 기재부 제공 버팀목자금은 '집합금지'와 '집합제한' 그리고 매출이 감소한 '일반업종' 3개였지만, 방역 조치 강도와 피해 정도를 고려해 집합금지와 일반업종을 각각 두 개로 나눴다.집합금지 경우 올해 들어서도 금지 조치가 지속하면 '집합금지(연장)'으로, 금지 조치가 제한 조치로 하향됐으면 '집합금지(완화)'로 분류된다.일반업종은 업종 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여행·공연업 등을 추린 '경영 위기 업종'을 신설해 '일반(경영위기)'로, 그 외는 '일반(매출감소)'로 분류했다. ◇피해 사업장 2개면 지원금 50% 가산, 4개 이상은 100% 증액지원 유형이 5개로 세분되면서 지원 단가도 상향됐다.기존 버팀목자금 지원 단가는 집합금지 300만원, 집합제한 200만원, 일반업종 100만원이었다.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집합금지(연장) 500만원, 집합금지(완화) 400만원, 집합제한 300만원, 일반(경영위기) 200만원, 일반(매출감소) 100만원이다.특히, 기존 버팀목자금은 한 사업자가 여러 사업장을 운영할 경우 사업자 기준으로 1명분만 지급됐는데 버팀목자금은 피해 사업장 수를 고려한 추가 지원이 이뤄진다.한 사업자가 운영하는 사업장이 2개면 지원 금액이 50% 추가되고, 3개면 80%, 4개 이상은 100% 증액된다.집합금지(연장) 사업장을 4개 이상 운영하는 사업자는 최대 1천만 원의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집합 금지·제한 업종 전기요금 각각 50%와 30% 3개월 감면대신, 정부는 집합제한 업종 중 매출이 오히려 증가한 사업자에게는 버팀목자금 플러스를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이전 버팀목자금은 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경우 매출 증감 여부와 상관없이 지급 대상이 됐다.정부는 집합제한과 일반업종 지급 여부를 가릴 매출 증감은 지난 25일 마감된 국세청의 2020년 부가세 매출 신고와 2019년 부가세 매출 신고 비교를 통해 확인할 예정이다.집합 금지와 제한 업종 소상공인들에게는 전기요금 감면 혜택도 주어진다.감면 기간은 3개월이며 감면율은 금지 업종 50%, 제한 업종 30%로 최대 180만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정부는 전기요금 감면액이 금지 업종 평균 28만 8천원, 제한 업종 평균 17만 3천원으로 전체 규모는 2천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 : 소상공인 지원금, 최대 얼마인가? 답 : 집합금지·제한 등 업종별로 나눠 현금 지원하는 소상공인 피해지원(버팀목자금 플러스)는 최대 500만원이다. 여기에 전기요금 지원 최대 180만원을 추가하면 최대 680만원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문 : 소상공인 지원금, 누구에게 얼마나 주나? 답 : 소상공인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피해 정도 등에 따라 5구간으로 나눠 최대 100만~500만원씩 지급한다. 이때 집합금지·제한 구분은 지역별 방역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먼저, 집합금지가 올 1월 2일 방역지침 이후에도 연장된 11개 업종 약 11만5000곳에는 1곳당 500만원을 지원한다.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실내스탠딩 공연장, 직접판매홍보관, 유흥주점,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 홀덤펍, 파티룸 등(수도권 기준)이다. 1월 2일 방역지침에 따라 집합금지가 금지제한으로 완화됐던 학원, 겨울스포츠시설 2종은 1곳당 4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2월 14일까지 집합제한 조치가 지속된 10종(수도권 기준)에는 300만원씩 지급한다.업종 평균 매출이 20% 이상 감소한 경영위기 업종은 세부 목록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추후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공고 시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행업, 공연업 등이 대상으로 거론된다. 일반업종의 경우 사업체별 매출 감소 여부를 따져 100만원씩 지급한다. 국세청 부가가치세 매출 신고 기준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 감소 여부를 확인한다. 버팀목자금 플러스 개요 /기획재정부 제공 문 : 한 사람이 사업장을 여러 개 운영하면 1곳만 주나? 답 : 아니다. 작년 버팀목자금과 달리 이번에는 1인이 여러 사업장 운영 시 지원금액의 최대 2배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예컨대 사업장 2개 운영 시 지원금액의 150%, 3개 운영 시 180%, 4개 이상 운영 시 200% 지급하는 식이다. 문 : 상시근로자, 매출한도가 달라졌다는데. 답 : 이번 추경부터는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소상공인도 지원한다. 일반업종 매출한도도 기존 4억원에서 10억원으로 상향한다.다만, 소기업 매출 한도를 넘어가면 지원하지 않는다.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별표 3은 업종별 소기업 3년 평균 매출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업종에 따라 10억~120억원이다. 문 : 언제 받을 수 있나? 답 : 지금부터는 국회의 시간이다. 정부는 오는 4일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한다. 국회가 추경안을 3월 중순께 처리한다고 가정하면 버팀목자금 플러스는 3월 말께 문자 발송 및 지급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문 : 전기요금 감면은 얼마나 해주나? 답 : 정부는 방역조치 대상 업종 소상공인 115.1만곳의 전기요금을 3개월간 30~50% 감면해주기로 했다. 집합금지는 50%, 집합제한은 30%다. 최대 180만원 한도다. 문 : 이밖에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생계지원은? 답 : 정부는 소득감소 등으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한계근로빈곤층 80만 가구 대상으로 가구당 50만원의 한시생계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학부모 실직‧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1만명에게는 5개월간 250만원의 특별 근로장학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문 : 노점상에게도 준다는데. 답 : 지방자치단체 등 관리 노점상에 대해 사업자 등록을 전제로 소득안정자금을 1곳당 50만원 주기로 했다. 전국 4만곳으로 추정된다.
-
<<속보>> 수도권 23일 0시부터 내년1월3일까지 '5인 이상 집합금지
수도권 23일 0시부터 내년1월3일까지 '5인 이상 집합금지 23일 0시부터 서울에서 5인 이상 모임이 금지된다고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21일 밝혔다.서정협 권한대행은 이날 온라인 브리핑을 열고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세를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린다고 밝혔다.이 조치는 실내외를 막론하고 적용된다. 이에 따라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의 지인 모임 등이 대거 취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뿐만 아니라 경기도와 인천시도 같은 내용의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5인 이상 집합 금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서 적용되는 '10인 이상 집합 금지'보다도 더 강력한 조치다. 이 조치가 시행되면 4인 이하의 모임만 허용된다.동창회, 동호회, 야유회, 송년회, 직장회식이나 워크숍은 물론 계모임과 집들이, 돌잔치, 회갑‧칠순연과 같은 개인적인 친목모임도 일체 금지된다. 단 결혼식과 장례식만 행사의 예외적 성격을 감안해 2.5단계 거리두기 기준인 50인 이하 허용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이재명 경기지사로부터 촉발됐다. 이재명 지사는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5인 이상 집합금지를 강력 권고한다"고 적었다. 그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에도 수도권 지자체장 중 가장 적극적이다.이재명 지사는 "수도권은 단일생활권이라 서울, 인천과 동시에 5인 이상 집합을 금지하지 않으면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밝혔고 서울시에 이어 인천시까지 이 지사의 의견에 동참했다.정부는 이와 별개로 성탄절과 새해 연휴 관련 방역 강화 대책을 내일 발표할 예정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대본 차원에서 오늘 오후 정부 및 지자체와 논의해 내일 발표할 예정"이라며 "3단계 (격상) 의사 결정은 상황을 지켜보며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
한시적 긴급복지지원제도 12월 말까지 시행!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모든 국민이 아실 때까지!! 한시적 긴급복지지원제도 12월 말까지 시행! 코로나19로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위기가구 대상 위기상황과 소득, 재산, 금융재산 기준 충족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75% 이하 • 재산기준 : 대도시 3억 5천만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억 7천만 원 이하 * 재산 차감 기준 반영 시 • 금융재산 : 1인가구 763만 원, 4인가구 1,212만 원 이하 * 생활준비금 공제비율 확대(65% → 150%) 반영 시 12월 31일(목)까지 신청하세요! • 신청 : 시군구청 • 상담 : 시군구청, 읍면동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129)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위기가구 총 35만 가구에 최대 100만 원 지급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위기가구에 최대 100만 원(4인 이상 가구 기준) 지급되는 긴급생계비가 12월 18일부터 2차 지급 대상인 약 15만 가구에 지급된다. 보건복지부는 위기가구 긴급생계비를 지난 12월 4일 1차 지급에 이어 12월 18일부터 2차 지급한다고 밝혔다. 오늘부터 지급되는 대상자는 지난 11월 7일에서 11월 30일까지 신청·접수된 가구 중 소득・재산 조사와 기존 복지제도 및 타 코로나19 피해지원 사업 중복 여부 등을 조사한 후 최종 지급 결정된 15만 가구이다.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실직·휴폐업 등으로 소득이 감소한 기준중위소득 75% 이하의 코로나19 피해 가구를 대상으로, 4인 이상 가구 100만 원(1인 40만 원 / 2인 60만 원/ 3인 80만 원)을 1회 지급(계좌 입금)하는 사업이다. 그간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저소득층에 최대한 위기가구 긴급생계비를 지원하기 위해, 신청 기준 완화・증빙 서류 간소화, 신청 기간 연장 등과 더불어 지자체별로 시도, 시군구별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전담조직(TF)을 운영하고 지자체별 민관협력체계, 찾아가는 서비스를 활용 등 적극적인 행정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피해로 인한 실직자, 재래시장 소상공인, 일용직 근로자 등 타 코로나19 지원 사업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저소득층 35만 가구에 위기가구 긴급생계비가 지급되었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복지정책관은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은 타 코로나19 피해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지 못해 사각지대에 놓인 저소득층을 최대한 발굴하여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긴급생계비가 코로나19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코로나19 피해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으시는 저소득층을 최대한 발굴하여 지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던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일선의 노력 덕분에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이 차질 없이 신속하게 지원될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Culture
-
[단독] 달라라네트워크, 싱가폴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 투자 유치 성공
[단독] 달라라네트워크, 싱가폴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 투자 유치 성공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 장면 - 상단 왼쪽에서 2번째 달라라네트워크 김채원 대표이사 엔터테인먼트플랫폼 스타트업 달라라네트워크는 11일 싱가폴 NTUitive 인베스트먼트게임에서 64만6000달러(약 7억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 행사는 싱가포르 NTUitive(난양이공대 I&E 컴퍼니)와 SWITCH(싱가포르 기술혁신주간, Singapore Week of Innovation and Technology)가 공동주최한 모의투자 시뮬레이션으로 프레스코캐피털, 골든게이트벤처스 등 싱가포르 유수의 VC들과 전 세계 스타트업들이 참여해 투자게임을 펼쳤다. 달라라네트워크는 이 행사에서 IR을 통해 다수의 VC들로부터 총 64만6000달러(약 7억원)을 유치하며 글로벌 플랫폼사로써 확장 가능성을 증명했다.달라라네트워크는 2018년 엔터테인먼트미디어산업의 새로운 경제생태계 구축을 비전으로 설립돼 게임과 핀테크를 접목한 신개념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개발 중인 스타트업으로, 2019년 중소벤처부에서 개최한 ‘Welcome To TIPS(웰컴투팁스)’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글로벌 투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Grand TIPS(그랜드팁스)’에서는 TIPS 비참여기업 중 1위를 차지했다. 최근 아시안스타트업컨퍼런스에서 1위를 차지하며 산업계와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모으며 촉망받고 있다.2021년 1월 론칭을 앞둔 달라라네트워크의 베타버전 서비스는 언택트 엔터테인먼트 오디션 플랫폼으로, 빅데이터, AI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도입한 혁신적 모멘텀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지향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리드하고 있다.달라라네트워크 CEO 김채원은 “이번 인베스트먼트게임을 통해 K-플랫폼의 밝은 앞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미디어 시장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PCI 파마 서비스, 콜버그와 무바달라의 다수 지분 인수 종결 발표
PCI 파마 서비스, 콜버그와 무바달라의 다수 지분 인수 종결 발표 선도적인 제약 및 바이오제약 글로벌 공급사슬 솔루션 제공업체인 PCI 파마 서비스(PCI Pharma Services, 이하 ‘PCI’ 또는 ‘회사’)가 이전에 공표한 바 있는 콜버그 앤 컴퍼니(Kohlberg & Company, LLC 이하 ‘콜버그’)로 지배 지분을 넘기는 인수 거래를 종결했다고 1일 발표했다.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Mubadala Investment Company)와 파트너스 그룹(Partners Group, 고객 대행사)은 회사의 소수 지분을 갖게 된다.콜버그와 무바달라가 CEO인 살림 하파르(Salim Haffar) 주도로 PCI의 관리팀과 협력해 회사의 혁신 여정을 계속하게 됨에 따라 이 획기적인 인수는 PCI의 중요한 진일보가 된다. PCI 관리 팀은 PCI의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고객의 삶을 변화시키는 생물약제 요법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도록 유기적, 비유기적으로 특정 기능과 지역을 추가하게 된다. 생물학 제제 및 전문 약물 요법의 글로벌 성장 추세를 활용하면서 미래의 기능에는 주사제 멸균 충전 포장이 포함되는 한편, 고효능 및 전문 제조가 확대되며 지리적으로는 아시아 및 유럽 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한다.콜버그는 뉴욕주 마운트 키스코에 본사를 둔 유수의 사모 펀드 회사로, PCI 파마 서비스와 같은 회사 및 경영진들과 30년 넘게 성공적으로 파트너 관계를 맺어왔다. 무바달라 인베스트먼트 컴퍼니(Mubadala Investment Company, 이하 ‘무바달라’)는 주주인 아부다비 정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재정적 수익 창출을 목표로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독립 투자자이다.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지역사회 발전 및 나눔 문화 확산 공로로 ‘2020 경기도지사 표창’ 수상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지역사회 발전 및 나눔 문화 확산 공로로 ‘2020 경기도지사 표창’ 수상
-
뮤직서비스 '밀크(MILK)' 글로벌 3,000만 다운로드 돌파
삼성전자는 2014년 3월 출시된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 ‘밀크(MILK)’의 글로벌 다운로드가 3,000만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삼성전자의 '밀크(MILK)' 서비스는 2014년 3월 미국 출시 이후 한국, 중국,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등 6개국에서 서비스 중이다.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란 사용자가 일일이 음악을 선택할 필요 없이 원하는 장르만 선택하면 자동으로 선곡된 음악을 들려주는 음악 서비스다. 국내 다운로드는 500만을 넘어섰다. 2014년 9월 출시 후 1년 4개월 만이며, 이는 국내 음악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중 최단기록이다. '밀크(MILK)'는 별도의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 절차 없이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누구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용자가 원하는 음악 장르나 스테이션을 선택하면 기존의 라디오 음악 방송처럼 자동으로 음악을 추천해 주기 때문에 일일이 음악을 검색하거나 저장할 필요가 없다. 특히 '밀크(MILK)'는 최신곡뿐만 아니라, 음악 전문가가 엄선한 200여 개의 다양한 스테이션을 제공해 이용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였다. 실제 '밀크(MILK)'의 2015년 국내 사용자 이용 현황을 보면, 본인이 선호하는 곡이나 아티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추천 음악 청취가 28%, MILK 차트 22%, 발라드 13%, K-POP 7%, 트로트/성인 4%, 동요 3%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고르게 청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밀크(MILK)는 최신 인기 차트를 넘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추천하는 라디오 서비스로 이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며 “앞으로도 다양한 음악 장르를 청취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제공해 보다 폭넓은 음악 시장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밀크(MILK)'는 새해를 맞아 ‘2016년 즐거운 출발!’, ‘원숭이띠 뮤지션’ 등의 특별 스테이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신 뮤지컬과 미술관 관람 등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또한, 앞으로도 음악 프로그램 제작 지원과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대한민국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도 이어갈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 ‘밀크(MILK)’의 글로벌 다운로드가 3,000만을 돌파했다. 삼성전자의 '밀크(MILK)' 서비스는 2014년 3월 미국 출시 이후 한국, 중국,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등 6개국에서 서비스 중에 있다. '밀크(MILK)'는 별도의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 절차 없이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누구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용자가 원하는 음악 장르나 스테이션을 선택하면 기존의 라디오 음악 방송처럼 자동으로 음악을 추천해 주기 때문에 일일이 음악을 검색하거나 저장할 필요가 없다.
Labor
-
[단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0 소비자의 선택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 2년 연속 대상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0 소비자의 선택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 2년 연속 대상 Robert Walters Korea 최준원 지사장 글로벌 인재 채용 전문 기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Robert Walters Korea)가 지난 10월 22일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열린 ‘2020 소비자의 선택’에서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2020 소비자의 선택’은 중앙일보와 중앙SUNDAY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후원하는 행사이다. 본 상은 국내 최고의 소비자 조사 기관인 한국 리서치와 공동으로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소비자의 직접 평가를 바탕으로 최고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그 성과를 알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지난 10년간 한국 시장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경험을 기반으로 채용 시장의 니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고객사가 뛰어난 팀을 구성하고 후보자들이 커리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준 높은 인재 채용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수준 높은 HR 컨설팅 서비스와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 가치를 공감한 노력을 높게 평가받아 글로벌 채용 컨설팅 부문의 대상으로 2년 연속 선정되었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최준원 신임 지사장 선임을 계기로 기존의 외국계 기업 및 국내 글로벌 기업 중심에서 나아가 국내 중견·중소기업, 스타트업으로까지 인재 채용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로버트 월터스는 구직자와 기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글로벌 인재 채용 컨설팅 기업으로서 코로나19상황 이전부터 채용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끄는 혁신 기술을 도입해 왔으며, 디지털 인재정보 관리 및 소싱 체계 기술과 구인기업 맞춤형 서치를 통해 앞으로 더 다양한 구직자와 고객사에 체계화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준원 한국 지사장은 “‘사람과 조직이 자신의 특별한 잠재 능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미션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지난 10년간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해온 결과로 2년 연속 수상이라는 큰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고객사와 구직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채용 컨설팅 파트너로서, 한 차원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최준원 지사장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에서 탤런트리쿠루팅 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하고있다.
-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노총 가입 무산돼..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주노총 가입 무산돼.. 르노삼성 노사에 의하면, 9일,10일 이틀간 이뤄진 조합원 투표 결과 찬성표 60.7%(1158명), 반대표 39%(743명)결과로 민주노총 가입이 무산됐다. 이번 투표 대상에는 작년 노조가 추진한 전면파업 때 참여를 거부했던 노조원 300여명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를 탈퇴하거나 제명당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가입을 위해서는 조합원 과반수가 투표하고 투표자의 3분의 2(66.6%) 이상 찬성을 받아야 한다. 투표율은 96.1%를 기록했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3월 초에도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조합원들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노조 집행부가 작년 전면파업을 강행했을 때에도 조합원 70%는 집행부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정상 출근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수출이 급감한 사유로 인하여 르노삼성의 올해 1~8월 자동차 판매량은 8만4158대로 작년 동기 대비 26.6% 감소했다.
-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장애 포용적 직장 공간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인 ‘장애인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Microsoft Enabler Program)’을 론칭했다. 전 세계 장애인(PWD)이 10억 명이 넘는 상황에서 장애 포용적 고용은 경제 생산성 증가로 이어져 아태지역 GDP가 1~7%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게 United Nations ESCAP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진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5개 국가에서 시범 실시된 후 올해 말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먼저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기업과 단체는 비영리단체로부터 포용적 고용주가 되기 위한 트레이닝을 받게 되고 장애인들을 위해 직업체험, 인턴십, 멘토링, 테크 분야 채용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AI 분야에 필요한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모두에게 포용적인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고용주(파트너), 비영리단체, 장애인 모두에게 필요한 협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비백 푸트코드(Vivek Puthucode) 마이크로소프트 아태지역 담당 최고 파트너 책임자는 “최근 각 직장의 업무 환경을 보면 구성원 모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같은 포용을 위한 수단이 바로 접근성이다. 이는 책임이자 곧 기회이기도 하다. 기술이 사용자의 다양성을 반영한다면 사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며 “포용적 기업들은 동종 업체들보다 실적이 더 좋으며 인재들을 계속 모으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용성이 어떻게 혁신을 주도하는지에 대한 사례도 계속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
[단독외신] Covetrus Appoints Jamey Seely General Counsel (코베트러스, 법률고문에 제이미 실리 선임)
[단독외신] Covetrus Appoints Jamey Seely General Counsel 코베트러스가 법률고문에 제이미 실리를 선임했다 Covetrus (NASDAQ: CVET), a global leader in animal-health technology and services, announces the appointment of Jamey Seely as general counsel and corporate secretary, reporting to Dustin Finer, chief administrative officer at Covetrus. Jamey brings more than 20 years of legal and business experience within the energy, manufacturing and technology industries, including general counsel within two public companies. She has extensive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legal matters and building legal team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sia. Her legal specialties include securities, board governance & compensation, mergers and acquisitions, financing, and project development, along with human resource matters and high-risk litigation management. “We are thrilled to have Jamey join Covetrus as general counsel and as a member of our board leadership team,” said Dustin Finer. “The Company will benefit from Jamey’s combination of legal and business expertise, and we look forward to her support in driving the Company’s business strategy, development and continued growth.” Prior to joining Covetrus, Jamey simultaneously held business and legal roles while serving as president and general counsel of Integra, a developer of blockchain technology for the legal industry. Other past posts include EVP and general counsel of the Gates Industrial Corporation, which she led to a successful IPO, and EVP general counsel and corporate secretary at ION Geophysical, Inc. Jamey succeeds Erin Powers Brennan. “Erin was instrumental in the formation of Covetrus, and in building the strong legal team we have in place today,” said CEO, Ben Wolin. “We are grateful for her service and wish her well.” Jamey is a graduate of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s Dedman School of Law and received a B.A., magna cum laude, from Baylor University. She holds a Professional Certificate in Energy Innovation & Emerging Technologies from Stanford University. 코베트러스, 법률고문에 제이미 실리 선임 동물 의약품 기술 및 서비스를 선도하는 세계적 기업 코베트러스(Covetrus)(나스닥: CVET)가 제이미 실리(Jamey Seely)를 법률고문 겸 비서실장에 선임했다고 발표했다. 실리는 더스틴 파이너(Dustin Finer) 최고행정책임자에게 직보하게 된다. 실리는 20년 이상 에너지, 제조, 기술 업계에서 법무 및 비즈니스 경력을 쌓았으며 상장 기업 2곳에서 비서 실장을 지냈다. 그는 국제 법무 관리 경험이 풍부하며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법무팀을 구축한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전문 분야는 주식, 이사회 지배구조 및 보상, 인수 합병, 재무, 프로젝트 개발과 인사, 고위험 소송 관련 법률 분야다. 더스틴 파이너 코베트러스 최고행정책임자는 “제이미 실리를 법률고문 겸 이사회 이사로 영입하게 돼 기대가 크다”며 “법무와 비즈니스 분야 전문성을 갖춘 실리가 회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의 지원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전략과 개발, 지속적 성장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베트러스 합류 전 실리는 법률 업계를 겨냥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인 인테그라(Integra)에서 사장 겸 법률 고문을 지내며 경영 및 법률 관련 업무를 동시에 수행했다. 게이츠 인더스트리얼 코퍼레이션(Gates Industrial Corporation) 재직 시절에는 전무이사 겸 법률 고문으로 성공적 기업공개(IPO)를 주도했으며 이에 앞서 이온 지오피지컬(ION Geophysical, Inc.) 법률고문 겸 기업 비서실장도 지냈다. 실리는 에린 파워스 브레넌(Erin Powers Brennan)의 후임이다. 벤 볼린(Ben Wolin) 최고경영자(CEO)는 “브레넌은 코베트러스 설립 시 핵심역을 했으며 막강한 법무팀을 구축해냈다”며 “그간의 노고에 감사하며 멋진 미래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실리는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데드만 로스쿨(Southern Methodist University’s Dedman School of Law) 출신이며 베일러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스탠퍼드대학교의 에너지 혁신/신흥기술 전문 자격증도 취득했다.
CEO Interview
-
[단독] 주한외국기업 CEO 초대석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단독] 주한외국기업 CEO 초대석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다음은 주한외국기업 CEO 초대석 입니다. 오늘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신임 회장으로 선출되신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님과 수석부회장으로 선출되신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님을 모셨습니다. 앵커 정보경:안녕하세요? 두 분 먼저 바쁘신 일정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인터뷰에 응해주신 점 대단히 감사드리도요. 금번 신임 회장님과 수석 부회장님으로 선출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먼저 두 분께 회사소개부터 들어보면 좋을 것 같은데 먼저 김종세 회장님부터 부탁드립니다. 김종세 사장: 앵커 정보경:다음으로 하운식 사장님 회사 소개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네, 회사 소개 잘 들었습니다. 예전 회장님들도 마찬가지지만 이번 신임 회장님과 수석부회장님의 회사 역시 훌륭한 글로벌기업인 것 같습니다. 신임 회장단 리더로서 내년도 4기 협회의 발전을 위한 활동 계획과 포부에 대해서 두 분께 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먼저 김종세 회장님부터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다음은 하운식 수석부회장님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다음으로 외국계 기업 한국지사들은 국내기업에 비해 다른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다보니 회사에서 원하는 기업의 인재상 있을 것 같은데요… 두 분 회사의 기업문화와 인재상을 기업에 입사하고 싶어하는 경력직 및 신입직원 후보자들을 위하여 설명 부탁 드립니다. 앵커 정보경:. 네, 잘 들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오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요. 두 분께서 내년 4기 협회 발전에 이바지함으로서 협회가 한 차원 더 발전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별도 녹화 )) Closing Ment 앵커 : 이상으로 2020년도 두 번째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을 마치겠습니다. 2021년도부터는 매 분기마다 여러분들을 찾아 뵐 텐데요. 좋아요와 구독 신청 부탁드리고요. 저희 인터넷뉴스매체 주한외국기업뉴스 GEN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럼 저는 내년 봄에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시청해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
단독특종 인터뷰[단독특종 인터뷰] 아베총리의 전격사임은 정치적 “쇼” 실상은 측근의 선거법위반 과 지지율하락 때문
[단독특종 인터뷰] 아베총리의 전격사임은 정치적 “쇼” 실상은 측근의 선거법위반 과 지지율하락 때문 (*) "아베 총리, 건강 이상 전격 사임은 '쇼'..실상은 측근 선거법 위반 때문" (*) "아베 방패막이 검사장 최근 사임..아베 개입 의혹 커져 법정에 설 수도" (*) "후임 총리 후보 중 이시바 시게루는 반(反) 아베 선봉장, 한국과 좋은 관계 구축 가능" (*) "기시다 후미오 포스트 아베, 한일관계 개선에 도움 안될 것" 최근 일본 아베 총리가 지병인 궤양성 대장염 악화 진단 등 건강상의 사유로 전격적으로 사임을 발표한 가운데 건강 상의 사유가 아닌 정치적 쑈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매체는 한국으로 귀화한 대표적 지한파 정치학자 [ 호사카 유지- 세종대 대양휴머니티칼리지 교수] 와의 인터뷰를 진행 하였다. 호사카 유지 교수 - (ほさかゆうじ | Hosaka Yuji) 출생: 1956년 2월 26일, 일본 도쿄 현재: 대한민국 국민 - 서울거주 소속: 세종대학교(교수) 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비교정치 전공) 경력: 2009.05~ 세종대학교 독도종합연구소 소장 질문자: 김종철 [주한외국기업뉴스 매체 대표기자 ] 응답자: 호사카 유지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교수 ] 질문) 최근 아베 총리가 피를 토 한 후 건강악화로 게이오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총리직을 수행하기 어려워 사퇴를 하였다고 일본 및 국내언론매체에서 기사를 보도했는데요. 호사카 교수님께서는 이것은 건강상의 사유가 아닌 측근의 선거법 위반과 아베 총리의 지지율 하락으로 인한 정치적 쑈 라고 주장하셨는데요. 이에 대하여 구체적인 교수님의 견해를 설명 부탁 드립니다. (호사카 유지 교수) 상식적으로 보자면 국가 정상의 건강이상은 극비로 다루어져야 할 문제인데 반하여 이번엔 매우 공개적으로 언론 플레이를 하였습니다. 이것은 일본국민들에게 대놓고 그만 두겠다고 시그널을 보내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건강상의 사유를 크게 부각시킴으로써 다른 숨은 속셈이 가리워지는 것입니다. 아베 총리의 건강상 문제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17세 이후로 계속되어진 질병으로서 궤양성 대장염일뿐이고 그동안 의학이 발달하여 혁신적인 치료법이 나왔고 새로운 치료법으로 거의 완치에 가까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건강상의 사유가 아닌 다른 숨은 정치적 의도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제가 바라보는 사임의 사유로는 코로나 방역 실패로 인한 지지율 하락과 아베 측근의 스캔들 문제라고 봅니다. 아베 총리와 연관되어 있는 측근의 법원 공판이 8월25일 이후로 일주일에 2번 이상 열리게 되었습니다. 올해 안에 결론을 지을 목표로 100번 이상의 공판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공판의 주요 심판은 선거법 위반이고 그전 까지는 아베의 방패막이인 도쿄 고검의 구로카와 검사장이 온갖 아베 정권의 정치적 비리들을 막아왔었는데 최근 그가 내기 마작 혐의로 적발 되어 검사장 직을 그만두게 되었고 도쿄지검 등이 주축이 되어 그동안 덮어왔던 아베 정권의 비리를 조사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아베 총리가 법정에 수차례 출석을 하게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현재 지지율 하락에 더하여 더 큰 재앙적 지지율 하락으로 인하여 자민당 지지율이 바닥을 치게 되어 자칫하면 중의원 선거에서도 참패를 하고 정권교체까지 가게 됩니다. 한마디로 재판 회피가 주목적이고 병은 핑계라고 봅니다. 아베의 파수꾼 격인 구로카와 검사장을 검찰총장으로 취임 시키려고 아베총리는 구로카와의 정년을 이례적으로 연장 시키기까지 했지만 내기 마작으로 그는 사임해서 아베 측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고 그동안 아베에게 무시 당해온 하야시 마카토가 2020년 7월1일 새로운 검찰총장으로 취임했습니다. 그는 아베를 향한 사정의 칼날을 겨누고 있습니다.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건강상의 핑계로 지금 물러나고 아베 측근으로 남은 공백 임기기간을 채우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입니다. 아베는 병을 핑계로 법원 출석을 거부할 것 입니다. 질문) 그러면 현재 일본의 주요언론들도 호사카 교수님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아직까지는 일본의 주요언론들은 저와 같은 시각으로 보도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소수의 그룹 의견 중심으로 확대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가 그렇게 주장한 후 일본의 유명학자나 뉴욕타임즈도 비슷한 견해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질문) 역대 최장수 총리로 이름을 남겼는데요. 일본 국민들의 민심은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대체적으로 7:3 정도로 평가가 갈라지는데요. 70% 국민들은 그래도 오랜 기간 총리를 맡았고 잘했다고 하고 30% 국민들은 너무 장기집권을 하면서 좋지않은 유산들을 남겼다는 부정적인 평가 입니다. 70%가 긍정평가로 나온 것에 대해서는 아베정권이 그동안 언론을 장악하여 우호적인 기사만 내보내고 자신들에 부정적인 코멘트성 기사가 많이 나가지 않도록 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저같이 정권에 부정적인 인사들은 일본에서 방송에 출연조차 시키지 못하게 하였지요. 질문) 그렇다면 후임총리에 대하여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있고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 ,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 ,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이렇게 3명이 유력 후임총리로 함아평에 오르고 있는데 대하여 어떻게 바라보시는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우선 이시바 시게루 (전 자민당 간사장)은 대표적인 친한파로서 반 아베전선의 선봉장 입니다. 이시바 시게루 전임 간사장의 경우 야스쿠니 신사에 신으로 합사되어 있는 A급전범 14명을 분리하겠다고 주장하고 있고 한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지향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개헌으로 자위대를 일본군으로 개편하는 문제에 있어서는 아베와 거의 같은 노선입니다. 이시바는 결정적으로 자민당 내 소수파벌로서 이번엔 자민당 총재나 총리가 될 가능성은 낮다고 봅니다.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장)의 경우는 한마디로 포스트 아베라고 원래 아베가 지명한 인물입니다. 기시다 후미오가 후임총리가 되면 아베 정권의 정책을 이을 것이기 때문에 한국과의 관계는 지금과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요새 스가관방장관이 총재선거에서 우세하다고 전해지면서 기시다는 아베정권과의 차별화 정책을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기시다가 총리가 되면 아베가 뒤에서 막후정치, 수렴청정을 할 것이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경우는 지금까지 거의 아베의 대변인 역할을 해왔고 아베정권의 정책을 실재로 실천해 온 사람입니다. 그 만큼 9월2일의 총재선거 출마 기자회견에서 그는 아베정권 계승을 주장했습니다. 스가 요시히데를 밀고있는 현 자민당 간사장 니카이 토시히로는 원래 친한, 친중파 이기 때문에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후임 총리가 되면 한일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나타나지 않을 까 기대가 되지만 스가는 이미 아베정권 계승을 강조했고 많은 파벌들이 아베정권 계승을 조건으로 스가를 밀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질문) 한국내 정계에서는 후임총리가 누가되든 한일관계 개선은 어려울것으로 보는데 호사카 교수님의 의견은 어떠 하신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솔직히 현재 일본의 여론 70%는 한국과의 관계개선을 반가워 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잘 아시다싶이 일본국민들은 한국에 대해서 잘 모르고 정치리더의 말에 따라서 여론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베가 7년 8개월 동안 극우적 입장에서 “한국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나라다” 라는 식으로 여론을 조성하였기에 그런 것 입니다. 그러나 반대로 새로운 총리가 “한국과의 관계개선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한다면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여론은 뒤 바뀔 것입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정치인들도 국민들의 여론을 상당히 의식을 하기 때문 이지요. 질문) 후임총리가 선출되면 수출규제 문제는 어떻게 변화 될까요? (호사카 유지 교수) 당연히 누가 총리가 되든 변화될 것이라 봅니다. 단적으로 말해서 과거 1년간의 한일경제전쟁은 일본의 패배였습니다. 반도체소재의 경우도 일본 반도체기업이 한국에 팔 수도 있었을 이익의 절반을 손해보았습니다. 만일 스가 관방장관 같은 인물이 후임총리가 된다면 실용적인 사람이라 그런 문제는 단장 풀리기는 어려워도 대화정도는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질문) 제가 2주전에 기사화한 차기 후임총리는 스가 관방장관 ? 이라는 내용으로 저는 스가 관방장관이 유력한 후임총리가 될것으로 예견하였는데요. 향후 일본 정계개편에 대한 호사카 교수님의 견해는 어떻습니까 ? 호사카 유지 교수) 현재 돌아가고 있는 일본의 정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민당 각 파벌과 연대한 스가정권 창출이라고 단정 지울 수 있겠습니다. 9월14일로 예정된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관방장관에게 투표하겠다는 세력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민당 최대파벌인 호소다파 98명, 아소파 54명, 니카이파 47명, 다케시타파 54명, 이시하라파 11명이 스가 관방장관지지를 표명했고 이것으로 자민당 국회의원 394명중 이미 264명을 차지했습니다. 자민당 지방당의 표141표를 포함한 총535표 중 이미 과반수를 넘었습니다. 이에 스가계 국회의원 50여명정도가 합류하면 스가를 지지하는 국회의원수는 300명을 넘습니다.앞으로도 다른 파벌에서도 스가를 지지할 확률이 커서 스가 관방장관이 압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김종철 기자님이 예견 하신 것 처럼 이미 스가정권의 탄생은 초읽기 입니다. 이런 정계구도를 그린 사람은 원래는 니카이 간사장이고 이에 아소파가 먼저 합류했습니다. 니카이는 온건파 이지만 아소는 아베와 똑 같은 극우 강경파 입니다. 아소파에 소속하는 고노 다로는 아소의 설득으로 총재선거 출마를 포기했습니다. 대신 스가 정원의 새 관방장관이 될 확률이 큽니다. 그렇게 되면 반한, 반중의 강경파인 고노 다로로 인해 한일 관계는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원래 스가와 아소는 대립관계였는데 최근 스가가 이권을 조건으로 제시해서 두 사람의 관계는 급속도로 접근 되었 습니다. 그 이권이란 최근 홍콩의 몰락으로 아시아의 금융시장이 이동을 시작하고 있는데 홍콩을 대신하는 아시아의 금융센터를 아소의 선거구 후쿠오카에 만든다는 내용으로 스가가 제안을 한 것입니다.에에 아소는 크게 기뻐하며 스가와의 연대를 결정한 것 입니다. 이것은 최근 주간신초 (2020년 8월27일호)에도 기사화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소와 호소다파가 스가에게 연대의 조건으로 제안한 것은 “아베 정권 계승“이고 스가도 이에 승낙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하여 볼 때 한일관계는 힘든 가을을 예고한다고 봅니다. 질문) 마지막으로 최근 일본의 대표적 경제지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이재명 경기도 지사를 두고 “인권 변호사 출신인 이 지사는 “2016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본은 적성국가다. 군사대국화할 경우 최초의 공격대상이 되는 것은 한반도다’라고 올리며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을 반대했다” 고 이재명 지사는 과격한 반일인사임을 강조한 내용에 대하여 이재명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불편한 마음을 표현하면서 일본은 극우세력을 지탱해오던 최장수 아베 총리의 몰락과 코로나19, 경제침체 등으로 패닉상태입니다. 현실에 힘겨워하는 자국민의 시선을 외부로 돌려 적대감을 만들며 내부결속을 강화하는 일본 극우세력의 전통적 전략에 따라,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일본 극우세력이 선택한 돌파구는 한일관계 비틀기일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그들이 바라는 것은 반한감정 조장을 통한 한일갈등입니다. 라고 글을 게시 하였습니다. 왜 지금의 정국에서 4년전의 이지사 페북글을 거론하며 이지사를 공격하는것인지에 대하여 교수님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호사카 유지 교수) 일본 측은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다음 한국의 대통령이 될 것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지일파로 알려진 이낙연 현 민주당 대표나 보수 측 인사가 차기 한국 대통령이 된다면 일본은 대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재명 지사가 차기 대통령이 된다면 한일관계 개선은 어렵고 일본도 강경노선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의지를 벌써 여러 언론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고 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아직 대통령 후보였을 때도 비슷한 기사가 일본에서 상당히 많이 게재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어떤 한국 지도자에 대해 일본국민들에게 선입견을 심어주려는 바람직하지 못한 시도라 봅니다. 마무리 ) 바쁘신 와중에도 이렇게 소중한 시간을 내주시고 인터뷰에 응해주심을 대단히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일본에 대한 많은 정보를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하시는 모든일에 행복이 넘쳐나시길 기대합니다. 호사카 유지 교수) 네 코로나19로 국내외 경제가 많이 어려운데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민들이 힘을 합쳐 슬기롭게 극복하고 한일관계도 정상화 되어 모두가 행복한 미래를 향해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
엑스트라홉 코리아 김훈철 지사장 “NDR는 IoT시대 해킹 방어 첨병 역할하겠다.”
엑스트라홉 코리아 김훈철 지사장 “NDR는 IoT시대 해킹 방어 첨병 역할하겠다.” <김훈철 엑스트라홉 코리아 지사장> 김훈철 엑스트라홉코리아 지사장은 NDR '리빌엑스'는 보안정보이벤트관리(SIEM)솔루션과 엔드포인트탐지대응(EDR) 솔루션이 대응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메꾸는 최적 보안 솔루션” 이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네트워크위협탐지대응(NDR) 솔루션은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해킹과의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IT담당자를 미생(未生)에서 완생(完生)으로 전환해주는 변곡점 역할하는 데 적지 않게 기여합니다.” 라고 밝혔다. 이는 사각지대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기 위해선 EDR는 반드시 에이전트를 설치해야 하지만 IoT 기기에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서다. 또 SIEM은 시스템 환경이 바뀔 때 마나 일손이 필요하고 수많은 서버에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김 지사장은 “리빌엑스는 고객이 안고 있는 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엑스트라홉 '리빌엑스'는 전체 시스템의 운영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환경에서 쉽게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실시간 대용량 100Gbps 네트워크 스트림 분석 성능을 기반으로 사각지대 없는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의 가시성을 지원한다. 1일 최대 1PB 처리 용량까지 가능하다.“리빌엑스는 70개 이상의 웹, DB, 메시지큐, 미들웨어 등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깊이 있는 행위 분석 방식을 제공하는 게 장점입니다. 이는 다시 말해 국제공항에서 여행객들이 주고받는 70개국 대화 내용을 정확히 듣고 이를 분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특히, 그는 금융·통신 등 기업들이 외부 해킹 방어에만 너무 치중한 나머지 IoT 장비를 통해 서버와 서버 간 몰래 잠입한 내부 해킹 공격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짙다고 강조했다. 해커가 데이터를 탈취한 과정도 감지하고 분석해 보안 대응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그는 “엑스트라홉의 리빌엑스는 네트워크에서 흐르는 모든 와이어 데이터를 자동으로 찾아내고 분류, 언제 내부에서 터질지 모르는 이상 징후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어데이터는 서버, 클라이언트, 사용자 단말기 등 IT 인프라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 흐름과 과정을 하나로 묶어 분석이 가능하도록 보여주는 데이터를 말한다.김 지사장은 “리빌엑스는 에이전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특정 시스템에 종속되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어 IT 인프라 운영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다”면서 “기업 IT 담당자는 본연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엑스트라 홉의 NDR 리빌엑스를 1년 전에 국내 선보인 이후 도입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직 NDR 개념이 국내에서 폭 넓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NDR 시장에서 선두 기업으로 발돋움할 계획입니다.”
-
단디코리아 홍경표 대표이사 사장 -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 으로 거듭나....
단디코리아 홍경표 대표이사 사장 -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 으로 거듭나.... #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 소개 # 기자: 홍경표 대표님 안녕하세요.. 흔히들 CRO 업무는 관리가 어렵고 힘들다고 들었습니다. 처음 몇년은 엑셀로 버텨보다가 그래도 안되면 업체에게 개발을 맡겨 보지만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고들 하는데요.. 단디코리아에서 수행하는 CRO (임상시험 대행업체) 관리 전문 프로그램에 대해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홍경표 대표이사: 임상시험업무는 3년에서 5년 이상 오랜기간에 걸쳐 수백여개가 동시에 이루어 집니다. 프로젝트 등록, 일괄배분 , 진행율 매출 , 프로젝트 원가와 손익을한번에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CRO관리 전문 프로그램과 맞춤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접목이 성공요인이라 생각합니다. 저희 수익성분석 시스템을 구축 해 보시면 프로젝트별 손익 , 견적적정가 , 스폰서 가 원하는 시스템 밸리데이션. 감사기록관리 등 소프트웨어 밸리데이션(유효성 확인)에 을 만족시키는 시스템임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울러 스폰서 마다 ERP 시스템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요구하고 있어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기자: 단디코리아에 대한 회사의 정의를 말할수 있다면 어떻게 표현 하실수 있을가요? 홍경표 대표이사: 저는 이렇게 짧고 간결하고도 단호하게 정의를 내리고 싶습니다. " 한 고객에게 모든 정성을 다 하여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 단디코리아 입니다. " 참조: ( 단디코리아 제공 ) https://www.dandykorea.com/ 주식회사 단디코리아 영업팀 82-2-594-2912 webmaster@dandykorea.com
기타보도
-
한화, 탈보트와 재계약 포기 '왼손 투수 물색'
한화 이글스가 외국인 투수 미치 탈보트(32)와 재계약을 포기했다. 한화는 27일 탈보트와 2016시즌 재계약을 체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화 구단은 '탈보트는 2015시즌 중 발생된 허리 통증 부위에 대해 국내외 메디컬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현 상황에서는 투구시 통증이 없을 수 있으나 향후 재발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돼 이와 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한화는 탈보트를 재계약 대상자로 묶고 협상을 진행했다. 지난달 25일 재계약 의사를 통보한 뒤 조건에서는 합의를 이뤘다. 그러나 메디컬 테스트를 면밀하게 실시한 결과, 허리 통증 재발 가능성이 발견돼 불가피하게 재계약을 포기했다. 내년 시즌 승부를 걸어야 할 한화로선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다. 지난 2012년 삼성에서 활약한 뒤 팔꿈치 수술과 대만리그를 거쳐 3년 만에 KBO리그에 돌아온 탈보트는 올해 30경기에서 팀 내 최다 156⅓이닝을 소화하며 10승11패 평균자책점 4.72를 기록했다. 한화 투수로는 2011년 류현진(11승)에 이어 4년 만에 두 자릿수 승수를 거두며 실질적인 1선발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그러나 시즌 도중 부진을 이유로 두 차례나 2군에 내려갈 정도로 기복이 심했다. 여기에 허리와 햄스트링 부상으로 로테이션을 건너뛴 것에서 나타나듯 내구성이 떨어져 관리가 필요한 스타일이다. 한화 팀 사정상 긴 이닝을 꾸준하게 던져줄 투수가 필요했고, 이 점에서 탈보트는 다소 미흡한 면이 있었다. 한화는 대체 외국인 투수로는 왼손을 찾고 있다. 한화 구단은 '효율적인 선발투수진 구성을 위해 좌완 선발투수 영입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실제로 한화는 재계약에 성공한 에스밀 로저스 외에 토종 선발투수 후보로 안영명 배영수 송은범 이태양 김민우 심수창 송신영 등 대부분 오른손에 편중돼 있다.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왼손 외인 투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탈보트와 재계약을 포기한 한화, 로저스와 짝을 이룰 왼손 투수는 누가 될지 주목된다.
-
산학연 민간 전문가 중심의 ‘연구개발 제도개선 추진단' 출범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학연 민간 전문가 중심의 ‘연구개발 제도개선 추진단’을 10월 14일 공식 출범하고 곧바로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그간, 과기정통부는 ‘1·2기 연구제도혁신기획단’*(`17년, `18년), ‘과학기술 현장규제 점검단’**(`19년)을 운영해오면서, 연구현장의 전문가들이 스스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해결방안을 정부에 제안하는 상향식(Bottom-Up) 정책 수립을 통해 연구현장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왔다. 이번 제도개선 추진단은 과제 참여기회 제한, 기술사업화 단계의 성과 귀속문제, 특허비용 확보의 어려움, 연구노트 활용의 어려움 등 현장에서 꾸준히 개선 요구가 있었으나 다양한 요인이 얽혀 있어 당장 개선이 어려웠던 문제에 대해 민간전문가와 정부가 머리를 맞대어 중·장기적 해결방안을 마련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과기정통부는 실천 가능한 제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연구현장에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민간전문가 10인을 위원으로 위촉하였으며, 위원별로 하나의 과제를 전담하도록 하여 총 9개의 제도개선과제(붙임1)를 중점 검토한다. 또한, 위원별 자율적인 활동(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TF 구성 등)을 전폭적으로 지원(예산, 행정업무 등)하여 위원 본인의 경험, 전문지식, 인적네트워크 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추진단은 출범식 이후 3개월간의 활동을 거쳐 올해 12월경에는 종합적인 정책 제언 자료를 완성한 후 과기정통부에 제안하고, 내년부터는 과기정통부와 합동으로 연구현장의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충분히 공감을 얻은 제도개선 제안은 과기정통부에서 정책안건으로 정리하고, 관계 부처 의견수렴을 거쳐 확정 할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와 같은 민간전문가 중심의 제도개선 및 규제혁파 추진체계가 상시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내년부터는 이를 매년 정례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오늘 추진단 출범식 행사에 참석한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활동은 누구나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지만 섣불리 고치기 어려웠던 연구제도의 구조적 문제에 대해 민·관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개선방안을 찾는 작업”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작업이 일시적인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상시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여, 연구현장이 공감할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한국산업인력공단 2020년 신입사원 공개채용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10월 15일부터 21일까지 2020년 신입사원 공개채용 원서접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채용은 7개 권역(강원, 부산, 대구, 인천, 광주, 제주, 대전)에서 △ 일반행정 65명 △ 기록물관리전문요원 1명 △ 정보기술 5명 등 총 71명 규모로 진행된다. 채용 절차는 원서접수, 1차 필기시험, 2차 면접시험으로 구성되며, 최종합격자는 3개월간의 수습기간을 거쳐 정규 임용된다. 지원서 접수는 10월 15일(목)부터 21일(수) 15시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 원서접수 페이지(https://hrdkorea.saramin.co.kr)를 통해 진행되며, △ 1차 필기시험은 11월 7일(토) 10시 △ 2차 면접시험은 11월 25일(수)부터 27일(금)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채용 전형 시행에 있어서도 질병관리본부의 시험방역관리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 시험장 방역관리 담당 요원 배치 등 대응시스템 마련 △ 응시자 간 충분한 간격이 확보된 수험환경 조성 등 채용시험 응시자들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한편, 공단은 공정한 채용 과정을 통해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신규직원을 채용하고 있다. 서류심사 없이 지원자 전원에게 필기시험 응시 기회를 주고, 모든 채용단계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한다. 또한, 공단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진행하는 채용임을 감안해 올해 채용 관련 모든 설명회 등을 비대면으로 진행 중이다. 지난 7일부터 진행 중인 국토교통부 주관 ‘2020 온라인 지역인재 합동채용설명회’참가해 △ 지방이전지역 인재 취업 기회 확대 △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대국민 채용 정보 제공 등에 기여하고 있다. 공단 김동만 이사장은 “코로나19로 얼어붙은 고용환경 속에서 이번 채용이 청년들에게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라며, “공단의 미래를 책임질 우수한 인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협의체 구축
표준화 데이터 대상 예시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19.10)과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뉴딜‘(’20.7)에 발맞춰 정부와 민간이 함께 자율주행차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국가표준’ 제정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0월 14일 국토부, 과기정통부, 경찰청 등 자율주행차 관련 정부 부처와 자율차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산·학·연 등 민관 전문가 40여명이 참여하는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화위원회’가 출범했다고 밝혔다. 자율주행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차량상태, 도로상태, 교통상태, 교통신호 등의 기초 데이터가 필요하며,이를 자율주행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자율주행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 등의 기초 데이터 분류와 정의 ▲이를 조합하여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형식, ▲서비스 적용 사례(Use Case) 등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에 필요한 차량추돌방지 서비스 등을 구현하려면 차량의 위치, 속도, 시간 등의 데이터가 차량 간에 교환되어야 하며, 아울러 교환되는 데이터의 호환성과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에도 표준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율주행차 실증 사업이 현재 서울 상암과 경기 판교, 대구 수성, 세종 등에서 진행되고 있으며,실증 사업의 성과가 특정 지역에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차가 전국 운행으로 이어지려면 실증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선제적으로 표준화해 호환성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자율주행차 데이터에 대한 국제 및 국가표준이 정립되지 않아 국내에서 자율주행차 실증을 위해 미국과 유럽의 단체표준 등을 참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 출범한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화위원회는 데이터 기반의 자율주행 서비스가 촉진될 수 있도록 2021년 상반기까지 자율주행차 데이터 국가표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표준화위원회는 ‘자율주행차 표준화 포럼’(‘18.11 발족)과 연계하여 운영되며,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실증사업 참여기관 등에서 표준화 활동 경험이 풍부한 20여명의 산·학·연 전문가로 별도 작업반을 구성하여 국가표준안을 신속히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표준화위원회는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의 산업 적용과 확산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 산·학·연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자율주행차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 실증사업을 진행하는 지자체, 사업·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산업체와 함께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화위원회를 출범한 것은 민관 표준 협력의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우리나라 도로와 교통 상황이 반영된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의 국가표준화를 통해 자율주행차 시대를 앞당기는 것은 물론, 앞으로 다가올 자율주행 기술 선진국들과의 국제표준 선점 경쟁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CEO Event
-
[단독] 주한외국기업 상의. 단체 뉴스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단독] 주한외국기업 상의. 단체 뉴스 - 주한외국기업뉴스방송 -GEBS 다음은 주한외국계기업 단체 및 상의관련 뉴스 입니다. 먼저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내표이사협회 G-CEO 의 새로운 회장 선출 소식 입니다. 지난 7일 G CEO는 송년임시총회를 통해 새로운 회장으로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를 선임했고 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를 선임했다고 밝혔습니다. G-CEO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비영리 단체로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한국대표이사들의 비영리협회이며 주한외국기업연합회 코파[KOFA]의 소속단체입니다. G-CEO는 자기 성장과 사회적기여라는 미션으로, 세미나를 통한 역량 개발과 회원사 간의 네트워킹을 통한 비즈니스 교류, 산학협력차원에서 CEO 특강 활동과 기타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한편 전임 회장이었던 리치텍코리아 박순구 사장은 올해 12월부터 대만 본사로 영전해 R&D 부문 글로벌 책임자로 발령됐습니다. 이밖에 각 산업별 분과 위원장으로 반도체산업분과에 인피니언테크널러지코리아 이승수 사장, 자동차산업분과에 브로제코리아 금종구 사장, 화학산업분과에 에보닉코리아 최윤영 사장, PR.광고산업분과에 DDB Korea 고광수 사장, 네트워크위원장에 키네트테크널러지코리아 나종배 사장, 골프분과에 단디코리아 홍경표 사장, 탤런트리쿠르팅 분과에 로버트월터스코리아 최준원 사장 등이 1차로 선임 됐습니다. 한편 아직 선임되지 않은 분과의 위원장들은 내년 상반기 이사회의 제안을 거쳐 새로 선임된 회장단의 승인과정을 통해 2차로 선임할 계획이라고 협회 김종철 상임대표는 밝혔습니다. 다음은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코펜에이치알 소식 입니다. KOFEN HR 은 이관영 회장이 AIG Korea 인사전무에서 한국씨티은행 총괄인사전무로 영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관영 전무는 국내 글로벌 대기업인 동부그룹 인사담당 최고임원으로 시작해서 씨티은행 인사담당 최고임원을 거쳐 AIG Korea로 자리를 옮겨 AIG Group 내 여러 자회사에서 인사담당 최고임원 및 AIG 자회사들의 한국지사장까지 경력을 쌓은 인사 전문가이자 최고경영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
[단독]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 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 선임
-
G-CEO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G-CEO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회장 - 리치텍코리아 박순구 대표이사) 가 G-CEO 10월 호텔 루프탑행사를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지난 16일(금) 강남에 위치한 호텔 크레센도 바이 아코르앰버서더 15층 루프탑에서 개최되었고 코비디19 장기화에 따른 인사노무 전략에 대한 박진화 노무사님의 브리핑 시간과 참가한 정회원사 외국계기업 대표이사들간의 네트워크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날 행사에는 G-CEO 홍보대사인 SBS 공채 탤런트 이상은씨가 가을의시 낭송 협찬도 하였다. 다음 행사는 11월18일 골프행사와 송년회 행사등도 다채롭고 유익한 내용으로 준비할 예정이라고 사무총장 류성현 ( 법무법인 광장 국세전문 파트너 변호사 ) 는 밝혔다.
-
[G-CEO] Global Enterprise CEO Association, annou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ages and benefits of foreign companies in Korea, and hold a rooftop event
[G-CEO] Global Enterprise CEO Association, announc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ages and benefits of foreign companies in Korea, and hold a rooftop event [G-CEO]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on the 22nd that the held a rooftop dinner event at the Glad Live Gangnam Hotel and announced the results of the 2020 survey on wages and benefits of foreign companies by Mr. Roo Sung-hyun ( attorney for law firm Lee & Ko ). In a survey of more than 2,000 foreign companies in Korea, 135 companies responded, and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Korea country managers of foreign companies in 2020 was more than 300 million won (28.68 percent), and it seems to have risen slightly from 250 million won in 2019.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executive-level officers (full-time, executive and director) was 100 to 150 million won (38.71 percent). The detailed survey report will be published as a booklet "The White Paper on Foreign Companies in Korea 2020," with the current status of 2,000 foreign companies nationwide (such as representatives, recent sales amount, employee numbers, addresses, business license numbers, etc.) and books containing major laws, labor issues and HR issues that recently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 The booklet will be distributed free to regular members. n particular,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offline special lectures due to Corona 19, the G-CEO said it will also provide E Book and video animation special lecture materials. Bang Ha-nam (former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Lee Sang-eun (SBS Drama actress), Park Ha-rok (specialized photographer ), and reporters from the media industry department of GEN were specially invited to the rooftop evening event. Photographs: [G-CEO] Submit
HR Event
-
G-CHRO [ KOFEN HR ]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G-CHRO [ KOFEN HR ] 10월 Rooftop 행사개최 소식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G-CHRO , KOFEN HR ] ( 회장 - 씨티그룹코리아 이관영 전무이사) 가 10월 호텔 루프탑행사를 성공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지난 23일(금) 강남에 위치한 호텔 크레센도 바이 아코르앰버서더 15층 루프탑에서 개최되었고 코비디19 장기화에 따른 인사노무 전략에 대한 박진화 노무사님의 브리핑 시간과 참가한 정회원사 인사담당간의 네트워크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다음 행사는 11월18일에도 유익한 내용으로 준비할 예정이라고 사무총장 김진규 ( 주 선진 - 하림그룹) 는 밝혔다.
-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 KOFEN HR], 외국계기업 & 국내글로벌기업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결과발표회 가져....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 KOFEN HR], 외국계기업 & 국내글로벌기업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결과발표회 가져....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는 ( 회장 이관영, 54, AIG Korea 인사전무) 지난 15일 협회 회의실에서 2020년 주한외국계기업 & 국내글로벌기업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결과발표회를 하였다고 KOFEN HR 시장조사분과 위원회 공현정 위원장 ( 한국아즈빌 인사부장 ) 는 밝혔다. 이날 조사발표에서 2000여개 주한외국계기업 및 국내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한 조사에서 135개 기업이 응답을 하였고 2020년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의 평균 연봉은 3억 이상 (28.68%) 인것으로 나타났고 2019년 2억5천만원보다 다소 상승한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임원급(전무,상무,이사)의 평균 연봉은 1억에서 1억5천만원(38.71%) 로 나타났다. 인사담당 임원급 (전무,상무,이사)의 평균 연봉의 경우도 1억에서 1억5천만원(29.63%) 로 나타났다. 인사담당 신입사원의 연봉은 3천만원에서 3천오백만원 사이 (38.27%) 로 발표되었다. 자세한 조사결과발표자료는 8월중순경 "2020 주한외국기업백서 " 책자로 발간되며 금번조사한 급여및 복리후생결과와 올해 7월말 기준 2,000여개 외국계기업 전국 각지역별 현황 (상호,대표자,최근 매출액, 종업원수,주소,사업자번호등 ) 과 최근 국회를 통과한 주요법령 과 노동이슈,인사노무현황등을 수록한 책자를 정회원사를 대상으로 무료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특강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E Book 과 동영상 에니메이션 특강자료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사무총국 제공
-
외국계기업과 국내글로벌기업 인사담당들 "포스트 코로나와 노동법 이슈 " 에대한 토론회 가져
외국계기업과 국내글로벌기업 인사담당들 "포스트 코로나와 노동법 이슈 " 에대한 토론회 가져 외국계기업 과 국내 글로벌대기업의 인사담당 임원들과 중간관리자들로 구성된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회장 AIG Korea 이관영 인사전무 ] 이 "포스트 코로나와 노동법 이슈 " 에대한 토론회 를 개최하였다. 5월27일(수) 에 열린 모임에서 법무법인 세종 오세웅 노무사의 기조발제후 인사담당자로서 코로나19로 인한 인력관리 방안에 대한 기업의 애로사항과 대처방안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Other Event
-
[단독] 주한덴마크대사관-한국환경공단, 바이오가스·그린수소 생산 분야 업무 협약 체결
주한덴마크대사관-한국환경공단, 바이오가스·그린수소 생산 분야 업무 협약 체결 왼쪽부터 장준영 환경공단 이사장,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가 서울 중구 주한덴마크대사관저에서 ‘순환경제: 바이오 가스 및 그린 수소 생산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에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주한덴마크대사관(대사 아이너 옌센)과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장준영)이 14일 서울 중구 주한덴마크대사관저에서 ‘순환경제: 바이오 가스 및 그린 수소 생산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이번 협약은 바이오 가스와 그린 수소 생산 분야의 양국 협력 증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성사됐다.두 기관은 순환경제 분야 협력을 통해 양국 우호 증진 및 협업 활성화에 나설 예정이다.협약서에는 포괄적인 환경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내년 5월 서울에서 열리는 ‘P4G 정상회의(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Global Goals 2030,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 개발도상국에 전파할 수 있는 순환경제 접근 방법 발굴 등의 내용이 담겼다.P4G 정상회의는 민관 협력으로 기후 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의 달성에 속도를 내기 위해 2011년 출범한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내년 서울에서 열리는 행사는 2차 회의로, 1차 회의는 201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됐다.협약서에는 이외에도 △바이오 가스, 그린 수소 생산 등 순환경제로 전환 촉진을 위한 정책 및 활동 △바이오가스 생산, 그린 수소 전환 사업에 대한 민관 협력 프로젝트 및 해외 사업 수행 및 발굴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두 기관은 협약서에 근거해 앞으로 양국의 구체적인 협력 사업 및 추진 계획을 수립, 이행할 예정이다.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는 “이번 양국 협력은 대한민국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을 위한 양국의 모범 협력 사례가 될 것”이라며 “특히 유기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가스와 이를 이용한 그린 수소 생산은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를 지향하는 여러 나라의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주한스웨덴대사관, ‘제1회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 개최
주한스웨덴대사관, ‘제1회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 개최 ‘Sweden-Korea Nobel Memorial Program 2020’ 공식 포스터 주한스웨덴대사관이 과학과 인문학에 대한 탐구를 증진하기 위한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을 개최한다.12월 1일 온라인 진행되는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은 올해 노벨상 과학, 경제, 문학 수상자의 연구에 대한 3개 심포지엄으로 진행된다.주한스웨덴대사관은 이번 온라인 심포지엄을 통해 2020년 노벨상 분야별 연구 및 업적에 대한 지식을 확대하고 과학, 경제학, 문학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과 토론의 기회를 마련한다.노벨상은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스웨덴의 혁신가이자 산업가인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1901년 제정됐다. 제정 당시에는 물리학, 화학, 생리학 및 의학, 문학, 평화 총 다섯 개 부문에 걸쳐 시상이 이뤄졌다. 1969년 경제학상이 새로 추가되면서 총 여섯 개 부문에서 시상이 진행되고 있다. 매년 인류 문명 발달에 큰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 수여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를 인정받는 상이다.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은 주한스웨덴대사관과 스웨덴 4개 유수 대학(룬드대학교, 스웨덴왕립공과대학교, 예테보리대학교, 우메오대학교) 및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학번역원이 공동으로 주최한다.야콥 할그렌 주한스웨덴대사는 “한국은 연구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 가운데 하나다. 노벨에 대한 관심도 무척 높다. 올해 노벨상을 주제로 한국 대중에게 다가가는 프로그램을 새로 시작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행사로 양국 간 과학기술 및 인문학의 연구 개발 및 교육 협력에 대한 대화를 활성화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공동을 주최하는 첫 번째 행사인 과학 심포지엄은 12월 1일 오후 1시 30분~3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노벨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상 연구를 통해 인류의 과학과 기술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시간으로 올해 수상한 ‘유전자 가위 기술과 생물학, 블랙홀, 바이러스 정복기’에 대한 양국 석학들의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은 “최근 기초 과학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사회적 인식도 높아지고, 노벨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기대도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가운데 개최되는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은 과학 기술자와 일반 대중에게 모두 의미가 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이화여자대학교와 공동으로 주최하는 경제 심포지엄은 오후 4시~5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 연구를 통해 우리 일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공적 재화인 모바일 데이터와 관련 주파수 가격을 책정하는 경매 이론에 관해 토론한다. 김혜숙 이화여자대학 총장은 “한국 대학을 대표해 이화여대에서 올해 최초로 열리는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을 개최하게 된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라며 “과학, 문학, 경제학 분야에서 이화 혁신의 기록과 역량이 이번 행사에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한국문학번역원과 공동으로 주최하는 문학 심포지엄은 저녁 7시~8시30분까지 진행된다. 올해 노벨문학상을 받은 ‘시’의 세계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순수 문학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풍요롭게 하는지에 관해 토론한다. 김사인 한국문학번역원 원장은 “스웨덴 한림원이 노벨상 운영 초기부터 인문 분야의 유일한 상으로 문학상을 제정한 취지에 깊이 공감한다”며 “이번 행사가 불확실성의 시대에 문학이 갖는 의미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
[단독] SAP 코리아, 실리콘밸리 포스트-유니콘 센드버드와 함께 온라인 세미나 개최
[단독] SAP 코리아, 실리콘밸리 포스트-유니콘 센드버드와 함께 온라인 세미나 개최 한국의 디지털 혁신과 국내 기업 방향성 제시를 위해 이성열 SAP 코리아 대표와 김동신 센드버드(Sendbird) 대표가 만났다. SAP 코리아는 채팅 API 스타트업 센드버드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디지털 혁신과 국내 기업들이 가져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마켓 리더들의 뉴노멀한 고민, 디지털 혁신의 방향성 “Build or Buy?”’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온라인 세미나는 9월 17일(목)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진행된다. SAP 코리아 이성열 대표이사와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이사는 이번 온라인 세미나를 통해 두 회사가 가지고 있는 전략과 방향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는 물론 이전과 달라진 점 그리고 이 시대에 맞는 디지털 혁신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향후 한국 기업이 가져가야 할 디지털 혁신의 방향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SAP 코리아와 센드버드는 세미나 후반에 온라인 실시간 질의응답 세션을 통해 세미나에서 제공한 전반적인 내용은 물론, 그동안 두 기업에 대해 궁금했던 사항에 대한 CEO들의 실시간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이사는 “오늘날 기업은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달성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서 있다”며 “이번 온라인 세미나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 기업에게 유용한 디지털 혁신 방향성과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성열 SAP 코리아 대표이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심화됨에 따라 보다 능동적이고 민첩하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SAP 코리아와 센드버드는 온라인 행사를 통해 글로벌과 한국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국내 기업이 가져가야 할 디지털 혁신의 방향성에 대한 인사이트를 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2018년 3월 공식 취임한 이성열 SAP 코리아 대표는 경영, 컨설팅 및 IT 분야에서 27년 이상 경력을 지닌 디지털 변혁 및 혁신 전문가이다. 이 대표는 1990년 프라이스워터하우스(現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 PwC)에서 컨설팅을 시작해 IBM을 거쳐 2015년 7월부터 최근까지 AT커니코리아 사장을 역임했다.
-
[단독] AMCHAM (주한미국상공회의소) , 뉴욕타임즈 인터내셔널 Stephen Dunbar-Johnson 사장 초청 온라인 특강행사개최
[단독] AMCHAM (주한미국상공회의소) , 뉴욕타임즈 인터내셔널 Stephen Dunbar-Johnson 사장 초청 온라인 특강행사개최 주한미국상공회의소 [AMCHAM Korea]는 9월3일 오후4시30분 ( 미국현지시간 새벽3시) 에 Zoom 온라인 화상을 통하여 특강을 개최하였다. 아젠다는 business strategy for Asia and the dynamics shaping the global media landscape 였다.
English[영문판]
-
[단독외신] New high voltage battery housing for lightweight emobility developed by Evonik and partners
New high voltage battery housing for lightweight emobility developed by Evonik and partners New high voltage battery housing for lightweight e- mobility developed by Evonik and partners • Novel SMC materials reduce battery housing weight by ~10% while maintaining strength and high voltage performance • Lightweight battery components deliver significant energy savings to ensure suitability for all vehicle size and classes • Evonik’s new epoxy SMC – VESTALITE® S curing agent enables lightweight design and production flexibility Essen, Germany. Evonik as part of a consortium of companies, has developed a lighter and more cost-effective battery concept for e- mobility solutions. The new holistic battery system concept offers the automotive industry a safer and more energy efficient lightweight alternative to the heavier metal-based, or higher priced 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s. Although millions of electric cars and plug-in hybrids are already on the roads worldwide, there are still no generally applicable standards for the individual components. However, significant efforts are currently being made to standardize individual vehicle assemblies and establish a cross-market component standard. Increasing the range of the vehicles by improv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atteries and efficient energy recovery is currently one of the main areas of focus. In addition, reducing the weight of the individual vehicle components can also help to reduce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to overcome driving resistance (e.g. tire rolling, gradient, acceleration). To this end, Evonik, Forward Engineering, LION Smart, Lorenz Kunststofftechnik and Vestaro (a joint venture of Evonik and Forward Engineering), began working together on a modular- multi-material approach at the end of 2019. Today, the partnership has developed a brand-independent, cost-effective solution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weight of the battery housing by approximately 10 percent compared to other commonly used material combinations, without any loss in mechanical properties. Developed for three different battery-sizes, 65kWh, 85 kWh and 120 kWh for use in various vehicles sizes and class,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e new battery concept is the glass fiber (GF)- Sheet Molding Compound (SMC) cover. Based on the high-performance epoxy curing agent VESTALITE® S from Evonik, the new SMC delivers the performance levels of the previous metal-based battery enclosures, while being significantly lighter than the current more cost-prohibitive SMC Materials. “Battery modules and their housing has become a key area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efficiency and affordability of modern electric vehicles,” said Dr. Leif Ickert, Marketing Manager Composites and Adhesives, Evonik Operations GmbH & Managing Director, Vestaro GmbH. “Composite technologies provide strength and versatility, so offer a very promising solution for future battery system concepts. Our new glass fiber-reinforced SMC delivers the performance and economic benefits the automotive industry requires to push ahead with the next generation of sustainable e-mobility concepts.” The glass-fiber-reinforced epoxy SMC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flexural and impact strength, and by using epoxy resin instead of the usual polyester resin, other problems often encountered during downstream processing of glass-fiber- reinforced SMC materials have been eliminated. Additionally, it meets all specifications regarding fire resistance and is easy to process even when complex geometries are demanded. The entire concept was successfully tested for suitability for series production and safety even under extreme conditions. Additionally, consortium partner, Lorenz Kunststofftechnik has developed an established process for successfully recycling glass fiber-reinforced SMC materials – an important argument in view of the increasing sustainability requirements in the automotive industry.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new battery housing concept, images and additional quotes from the consortium’s partners please visit evonik.com/vestalite-s. For specific information about Evonik’s new VESTALITE® S epoxy curing agent please visit www.vestalite.com. About Evonik Evonik is one of the world leaders in specialty chemicals. The company is active in more than 100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generated sales of €13.1 billion and an operating profit (adjusted EBITDA) of €2.15 billion in 2019. Evonik goes far beyond chemistry to create innovative, profitable and sustainable solutions for customers. More than 32,000 employees work together for a common purpose: We want to improve life today and tomorrow. About Evonik Crosslinkers The Crosslinkers Business Line offers a broad range of products and competences for coatings and adhesives, as well as for high-performance elastomers and composites. Besides products based on isophorone chemistry the portfolio contains a full toolbox of amine curing agents for ambient and heat cure applications. The products are mainly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the mechanical strength,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excellent adhesion properties. www.evonik.com/crosslinkers Disclaimer In so far as forecasts or expectations are expressed in this press release or where our statements concern the future, these forecasts, expectations or statements may involve known or unknown risks and uncertainties. Actual results or developments may vary, depending on chang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Neither Evonik Industries AG nor its group companies assume an obligation to update the forecasts, expectations or statements contained in this release.
-
[단독외신] Sneaker site StockX valued at $2.8 billion in new funding roun
Sneaker site StockX valued at $2.8 billion in new funding roun a fast-growing web destination of hard-to-find sneakers — said Wednesday it had raised $275 million in a new funding round that values the company at $2.8 billion. The latter figure, which includes the value of the fresh pile of cash, follows an exclusive report by The Post on Dec. 7, which said the company was looking to raise about $250 million at a valuation of $2.5 billion. The fast growing auction house has more than doubled its valuation from its January 2019 last major fund-raising round that valued it at a little over $1 billion. The Detroit-based company is currently planning to file for an initial public offering in mid-2021, according to sources close to the situation. Proceeds are expected to fuel growth in Asia for the site, which assigns ticker symbols to sneakers in a scrolling feed that displays bids, offers and green and red arrows to show how prices are moving. Cleveland Cavaliers Owner Dan Gilbert is a cofounder and rapper Eminem is an early investor. StockX, which authenticates all the sneakers it resells, charges a 9 to 14 percent commission on transactions. Eminem Getty Images While many of the sneakers on the site are being offered for resale after being snatched up in limited edition sales, most have never been worn. The pandemic has helped the business as it is harder now to shop at stores for sneakers, executives have said. The average sale on the site is about $230, according to an investor presentation reviewed by The Post. Despite its growth, it still projects losing $56 million this year, according to its presentation.
-
[단독외신] MacKenzie Scott gives nearly $4.2B to charity in 4 months amid pandemic
MacKenzie Scott gives nearly $4.2B to charity in 4 months amid pandemic the ex-wife of Amazon boss Jeff Bezos — gave nearly $4.2 billion to charity over the last four months to support struggling Americans during the coronavirus crisis. In a blog post Tuesday, the world’s third-richest woman said she doled out the money to 384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food banks, social services programs, civil rights groups, colleges and universities. Scott, 50, said she decided to “accelerate” her giving to help people suffering from the pandemic’s devastation following her July announcement that she’d donated almost $1.7 billion to dozens of nonprofits. Her latest donations bring her total giving for the year to roughly $5.8 billion. “This pandemic has been a wrecking ball in the lives of Americans already struggling,” Scott said in her blog post, noting that the crisis has also “substantially increased” the wealth of billionaires like herself. “It would be easy for all the people who drew the long demographic straws in this crisis to hole up at home feeling a mix of gratitude and guilt, and wait for it to be over — but that’s not what’s happening,” she added. Scott said her team of advisers selected the recipients of her gifts from an initial pool of nearly 6,500 organizations based on their ability to use the money effectively. The advisers conducted extensive research into the charities that involved hundreds of emails and phone interviews and “thousands of pages of data analysis,” she said. Each donation will be paid upfront and left unrestricted so the organizations have plenty of flexibility in how to use the funds, Scott said. “The responses from people who took the calls [from Scott’s team] often included personal stories and tears,” she wrote. “… Their stories and tears invariably made me and my teammates cry.” Scott is still a long way from fulfilling her goal of giving away more than half her wealth, which has surged by about $24 billion to roughly $61 billion so far this year, according to Bloomberg’s Billionaires Index. Her roughly 4 percent stake in Amazon makes up the bulk of that fortune, Bloomberg says. MacKenzie Scott Getty Images Scott set her charitable goal by signing onto the Giving Pledge in May 2019 after announcing her divorce from Bezos, who is not among the more than 200 signatories to the pledge despite being the richest man in the world.
-
[단독외신] Google reportedly could be hit with second antitrust lawsuit this week
Google reportedly could be hit with second antitrust lawsuit this week A group of states is preparing to file a second antitrust lawsuit against Google this week — setting the tech titan up for a tough court battle, according to new reports. The coalition of states, led by Colorado and Nebraska, is putting the finishing touches on the antitrust complaint against Google that could be filed as soon as Thursday, Politico reported, citing two people close to the investigation. The suit is expected to focus on Google’s dominance in the online search market, particularly changes it has made to the designs of its signature search engine that put rivals at a disadvantage, according to the outlet. The complaint would come about two months after the US Department of Justice filed its own antitrust case accusing Google of maintaining “unlawful monopolies” in its search and advertising businesses. That suit criticized deals Google made to ensure that its search engine was set as the default on iPhones and Android smartphones. The states will bring their lawsuit in the same Washington, DC federal court where the feds filed theirs, according to Politico. The state attorneys general hope to eventually consolidate their case with the Justice Department’s, Reuters reported. Meanwhile, Texas attorney general Ken Paxton’s office has hired two outside law firms — Keller Lenkner and the Lanier Law Firm — to represent the Lone Star State in a lawsuit against Google, which could also be filed this month. Texas’ trial team may be led in part by Kenneth Starr, the Lanier lawyer known for his roles in the impeachment proceedings against President Bill Clinton and President Trump, according to Bloomberg News. Google declined to comment Wednesday. The Silicon Valley giant has pushed back against claims that it abuses its market power and called the federal antitrust lawsuit “deeply flawed.” “People use Google because they choose to, not because they’re forced to, or because they can’t find alternatives,” Kent Walker, the company’s senior vice president of global affairs, said in an October blog post.
-
[단독외신] Marriott axes more than 800 workers at Times Square hotel
Marriott axes more than 800 workers at Times Square hotel Marriott Marquis in Times Square Getty Images Marriott plans to permanently lay off more than 800 workers at its Times Square hotel as the coronavirus crisis keeps New York City’s hospitality industry in a chokehold. The 852 workers at the New York Marriott Marquis will be axed for good on March 12 — almost exactly a year after they were put on temporary layoff as the pandemic bore down on the Big Apple, the hotel giant said in a notice filed with the state Department of Labor. “These are actions we never thought would become necessary at our location,” the hotel’s general manager told the laid-off staffers in a Dec. 9 letter, according to The Wall Street Journal. “The unprecedented severity of the COVID-19 crisis, however, has forced the location to make these difficult decisions.” The Times Square Marriott initially furloughed 1,265 employees this past March as the state shut non-essential businesses and the city emptied of tourists and business travelers who would normally fill hotel rooms, according to the labor notice. Marriott did not immediately respond to a request for comment Tuesday, but a company spokeswoman told the Journal that the staffers who remain employed have either returned to work or are expected to come back soon. The pandemic has kept New York City’s hotel industry under pressure even though officials have lifted some of the strict lockdown measures that were imposed this spring. Hotel occupancy was still about 80 percent below normal levels last month as the city and state battled an uptick in infections,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citing data from the Hotel Association of New York City. Maryland-based Marriott, meanwhile, saw its net profits for the July-to-September quarter plunge 74 percent to $100 million from $387 million in the same period last year. The company’s shares were trading up about 2.4 percent at $129.63 as of 3:48 p.m. Tuesday, a price that puts the stock down about 14 percent for the year.
-
[단독외신] Warren Buffett and Goldman Sachs boss call for small business relief
Warren Buffett and Goldman Sachs boss call for small business relief Berkshire Hathaway CEO Warren Buffett REUTERS Warren Buffett is warning Congress that it needs to stop dithering on economic stimulus or risk the future of American small business. The Oracle of Omaha teamed up with Goldman Sachs chief David Solomon Tuesday morning to put the screws to politicians who have yet to put through a second round of pandemic relief fund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coronavirus is ravaging the nation and pushing many small businesses over the brink. “It’s an economic war,” exclaimed the totemic 90-year-old investor during an interview with CNBC. “We’ve shut down a lot of people in this induced recession and others are prospering, and I think the country owes it to the millions of small business people.” Solomon echoed Buffett’s message, expressing optimism in the release of vaccines this week but cautioning that 5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in Goldman’s “10,000 Small Businesses” program have stopped paying their staff. “While you can see the finish line, I think a lot of these small businesses need help getting across the finish line,” Solomon said. The power pair are part of an increasingly strident chorus of Wall Street bigwigs pushing on Washington to get a new bill done. JPMorgan Chase honcho Jamie Dimon sounded off on the stalled stimulus talks during a Nov. 18 appearance at a financial conference. “Now we have this big debate “Is it $2.2 trillion, $1.5 trillion?” You gotta be kidding me!” Dimon said. “I mean just split the baby and move on! This is childish behavior on the part of our politicians.” Congress does appear to be listening. On Monday, leaders from both chambers released a new plan that would extend some benefits from the first round relief funding while also putting $700 million in the hands of small businesses. But Buffett made it clear on Tuesday that any proposal needs to be acted on immediately. “It’s gotta happen soon,” he warned “I mean, their boat’s going down.”
-
[단독외신] Honda recalls 1.4M vehicles in US for software, overheating problems
Honda recalls 1.4M vehicles in US for software, overheating problems Enlarge Image Getty Images Honda is recalling over 1.4 million vehicles in the US to repair drive shafts that can break, window switches that can overheat and a software flaw. The software recall includes 737,000 Accords from 2018 to 2020 and Insights from 2019 and 2020. A programming flaw in a control computer can cause the rear camera, turn signals and windshield wipers to malfunction. Owners will be notified in late January about when they should take their vehicles to a dealer for repairs. Two drive shaft recalls cover 430,000 Honda Civic Hybrids from 2012, the 2007 through 2014 Honda Fit, the 2013 through 2015 Acura ILX and the 2013 through 2015 Honda Accord. They’re in 22 states where salt is used to clear roads in the winter. The drive shafts can break due to corrosion. Dealers will inspect the left and right drive shafts and replace them if needed. Parts aren’t available yet. Owners will get an initial notification in February and will be told later when to go to a dealer. About 268,000 CR-Vs from 2002 through 2006 are included in the power window switch recall. Water can get into an open driver’s window and cause an electrical short, possibly touching off a fire. It’s the second recall for the same issue. The cars were recalled starting in October of 2012, but the repairs didn’t work. Honda says it has reports of 16 fires but no injuries. Honda says owners should take the SUVs in for repairs as soon as they get a recall notice. Those will be mailed starting in late January. Owners can also check https://owners.honda.com/service-maintenance/recalls or call (888) 234-2138 to see if their CR-V is affected.
-
[단독외신] FDA finds Moderna’s COVID-19 vaccine to be safe, 94 percent effective
FDA finds Moderna’s COVID-19 vaccine to be safe, 94 percent effectiv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und Moderna’s coronavirus vaccine to be safe and highly effective, bolstering the shot’s chances of being cleared for emergency use this week. In a 54-page report released Tuesday, FDA staff affirmed the Massachusetts biotech firm’s finding that the vaccine is about 94 percent effective and poses no safety concerns that would prevent the agency from granting it an emergency use authorization. The analysis came ahead of a Thursday meeting where the FDA’s Vaccines and Related Biological Products Advisory Committee is expected to recommend that emergency approval, which would make Moderna’s vaccine the second to be rolled out across the country. The first shots from Pfizer and BioNTech were jabbed into Americans’ arms on Monday. In its own 84-page report, Moderna said the data show “that the known and potential benefits of the Moderna COVID-19 vaccine outweigh the known and potential risks.” As with Pfizer’s vaccine, the FDA said Moderna’s shot was similarly effective across racial, ethnic and gender groups and that it worked well in people with medical issues that put them at a high risk of severe COVID-19 infections. The clinical trial of Moderna’s vaccine also produced strong evidence that it prevents serious cases of the virus, given that all 30 participants who came down with severe infections had received a placebo rather than the vaccine. But the shot’s efficacy did vary somewhat depending on the recipient’s age, the FDA said — it was 95.6 percent effective in adults aged 18 to 64 and 86.4 percent effective in those 65 and older. Participants in Moderna’s 30,000-person trial also reported some common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fatigue, muscle aches and pain at the injection site, the FDA said. Pfizer’s shot has caused similar side effects. The FDA said there were no “anaphylactic or severe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 the study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Moderna’s vaccine. Some people in the UK suffered severe allergic reactions after receiving Pfizer’s shot. The FDA will reportedly move quickly to grant the emergency approval for Moderna’s vaccine just as it did for Pfizer’s, which received the clearance a day after the vaccine panel recommended it. Both shots use so-called messenger RNA, genetic material that provokes an immune response to the virus by directing the body to create a tiny amount of coronavirus spike proteins. Enlarge Image A nurse prepares a syringe during a study of a COVID-19 vaccine.[/caption] Moderna says it will have about 20 million vaccine doses available in the US by the end of the year, enough to inoculate roughly 10 million people with two doses apiece. Pfizer, meanwhile, expects to have about 50 million doses on hand globally this year, with about half allocated to the US. The feds expect that 20 million Americans will be able to get their first shots by the end of the month, followed by another 30 million in January. Moderna shares were down about 0.8 percent at $153.91 as of 9:35 a.m. Tuesday.
-
[단독외신] California fines Uber $59 million in dispute over sexual assault data
California fines Uber $59 million in dispute over sexual assault data Getty Images California regulators fined Uber $59 million and threatened to suspend its operating license in the state after it refused to fork over details about sexual assaults that occurred on its trips. An administrative law judge ordered the ride-hailing giant to comply with the California Public Utilities Commission’s request for data about incidents of sexual assault and misconduct that were reported to Uber in the state over the last three years. The commission judge said it was unacceptable for Uber to stonewall regulators’ efforts to gather information about a safety risk to riders. “Rather than casting itself in the role of a victim of regulatory overreach, it is Uber who is playing the part of the obstructionist who has prevented the commission from carrying out its regulatory, investigative, and enforcement duties,” the judge wrote in the Monday ruling. The decision came about a year after Uber released a safety report revealing that it had received more than 3,000 reports of rape and sexual assault related to trips hailed through its platform in the US in 2018. That report prompted the Public Utilities Commission to seek more details about the incidents that occurred in California, including the date, location and time of each one, the circumstances of the assault, and contact information for witnesses as well as each person to whom the assault was reported. Uber has resisted the demand, calling it a “shocking violation of privacy” that could expose sexual assault survivo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full names and phone numbers. The judge noted that the commission ordered the company to submit the data under seal, which would protect any confidential information. Uber could also use a code or another signifier to identify victims instead of their full names, the ruling says. But Uber alleged that the commission has “changed its tune” and now wants to fine the company for failing to comply with an order that it “fundamentally altered.” “These punitive and confusing actions will do nothing to improve public safety and will only create a chilling effect as other companies consider releasing their own reports,” Uber spokesman Harry Hartfield said in a statement. “Transparency should be encouraged, not punished.” Uber has 30 days to appeal the judge’s ruling. The company’s shares were trading up 2.2 percent at $52.59 as of 10:19 a.m. Tuesday.
-
[단독외신] New managing director in Fissler Korea
New managing director in Fissler Korea [Provide Photo by Fissler Korea] German premium cookware brand Fissler announced that it would appoint a new Korean managing director, Robert Rhee. Robert graduated from Sogang University's Department of Business and holds an MBA from University of Iowa (USA). He has a solid international marketing and leadership experience, having worked for companies like CJ, Johnson & Johnson, Reckitt Benckiser, Shoemarker, Converse, Homeplus and latest Diageo. He has a strong passion for consumer brands. Jacob Øesterhaab Fissler Global CEO say that “Korean marke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rkets for Fissler. Now is an important time for Fissler to take a leap forward as a global brand. With the appointment of Robert, we set a higher ambition level for growth of the preferred brand of premium cookware in Korea” Robert Rhee Fissler Korea new managing director say “I am very happy to start a new journey at Fissler, which leads the premium cookware market. Through close collaboration with Fissler HQ, Fissler Korea will provide the best cooking experience for Korean consumers' kitchens. "I will do my best to help Fissler maintain its premium brand leadership through strategic sales and marketing activities." From December 1st, Robert Rhee will serve as Fissler Korea managing director.
Country Manager Turnover
-
[단독]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에 김태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 상무 내정 내년 2021년부터 임기 시작
[단독]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에 김태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 상무 내정 내년 2021년부터 임기 시작 김태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 상무 롯데그룹은 2021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김태현 롯데칠성 글로벌사업본부장을 롯데네슬레코리아 대표이사에 내정했다고 26일 밝혔다.김태현 신임 대표이사는 1965년생으로 영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명지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했다.1992년 롯데칠성에 입사해 2001년까지 생산, 생산관리, 감사부문에서 경력을 쌓았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롯데정책본부 개선실에 자리했으며 2012년 롯데칠성 구매부문장, 2018년 글로벌경영부문장을 역임했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는 롯데칠성 글로벌사업본부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
[단독] 벤츠코리아, 신임 사장에 토마스 클라인 벤츠 중동 대표 선임. 2021년 1월1일 부터 임기 시작
[단독] 벤츠코리아, 신임 사장에 토마스 클라인 벤츠 중동 대표 선임. 2021년 1월1일 부터 임기 시작 벤츠코리아가 토마스 클라인 메르세데스-벤츠 중동 대표이사 사장이 오는 2021년 1월 1일부로 한국 신임 대표이사 사장에 임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토마스 클라인 신임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1999년 대학 재학 중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독일 뒤셀도르프의 메르세데스-벤츠 상용차 부문과 인연을 맺었다. 또 2003년부터는 베를린 소재 독일 영업 조직(MBVD)에서 다임러의 경영부문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커리어(CAReer)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2013년까지 독일 마인프랑켄 지역의 승용 부문 영업 및 서비스를 총괄하는 업무를 수행했다.이어 지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메르세데스-벤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메르세데스-벤츠 직영 유통망 승용 부문의 매니징 디렉터(Managing Director)를 역임했으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벤츠 독일 본사 해외 지역 총괄 조직에서 지역 내 영업 및 주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중책을 맡았다. 2019년 7월부터는 메르세데스-벤츠 중동 대표이사 사장을 맡고 있다.토마스 클라인 신임 사장은 세일즈와 마케팅을 아우르는 다양한 국제 경험을 토대로 중동 지역에서 메르세데스-벤츠의 판매 및 서비스 성과를 높였다. 특히, 지역 내에 디지털 요소를 대폭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전시장 컨셉을 선제적으로 도입하며 고객 경험을 강화하는 한편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소개하는 등의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한국 부임이 확정된 토마스 클라인 신임 사장은 “고객의 신뢰와 사랑 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사장으로 부임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큰 격변기를 맞고 있는 이 시기에 벤츠와 함께 하는 새롭고, 놀라운 경험을 통해 한국 고객들의 브랜드 만족도를 더욱 높여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한편, 신임 사장의 임기가 시작되기 전인 올해 12월 말까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고객서비스 부문을 총괄하고 있는 김지섭 부사장이 대표이사 사장 직무대행을 지속 수행하게 된다. 벤츠코리아의 대표이사 사장 직무대행을 겸임하고 있는 김지섭 고객서비스 부문 총괄 부사장은 “신임 사장의 부임 전까지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맡은 바 책임을 다해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
[단독] 후지필름 코리아, 야마모토 마사토 대표이사 선임
후지필름 코리아, 야마모토 마사토 대표이사 선임 34년간 글로벌 시장서 이미징 사업 경험 쌓아온 전문가 "신기술+플랫폼 조합 혁신 서비스 개발해 사업 전개"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이미징 코리아는 야마모토 마사토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야마모토 대표는 지난 6월 본사 이사 집행임원으로 미주·유럽·중동·아프리카 현지법인 및 이미징 사업부를 총괄하며 본사 광학·전자 영상 사업부장에 취임했다. 이번에 전임 이다 토시히사 대표에 이어 후지필름 코리아 지휘봉도 잡았다. 야마모토 대표는 1986년 후지필름 입사 이래 34년간 일본·미국·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후지필름의 이미징 사업을 담당하며 굵직한 성과를 이뤄냈다. 그는 2015년 후지필름 북아메리카 대표이사, 2016년 후지필름 홀딩스 미국 사장, 2017 후지필름 본사 경영기획 본부장, 2018~2020년 후지필름 유럽 사장으로 근무했다. 후지필름의 비전인 '사진으로 인생을 풍요롭게'를 전파하며 문화와 비즈니스를 발전시킨 업적을 인정받았다. 야마모토 대표는 "AI·5G와 같은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을 활용해 시장의 니즈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취임사를 전했다. 후지필름 코리아는 지난 2011년 한국법인을 설립했다. 현재 APS-C 센서를 탑재한 X시리즈 미러리스 카메라와 대형 포맷 센서의 GFX 미러리스 시스템 양대 축을 중심으로 디지털 카메라 사업을 전개한다. 최근 플래그십 미러리스 카메라 X-T4, 프리미엄 콤팩트 카메라 X100V 등의 신제품을 출시했다. 지난 8월 서울 청담동에 후지필름 스튜디오를 `파티클(PARTICLE)’로 리네이밍 오픈했다.
-
박준용 오토메이션애니웨어 한국지사장 선임
박준용 오토메이션애니웨어 한국지사장 선임 글로벌 1위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기업 오토메이션애니에어는 박준용(사진) 전략 고객 담당 상무를 2대 지사장에 선임했다고 7일 밝혔다.박 신임 지사장은 코오롱 글로벌, 삼성SDS를 거쳐 지난 2006년부터 한국오라클 테크사업부에서 대기업 고객과 솔루션 파트너 세일즈를 담당하는 등 20년간 IT세일즈 경험을 쌓아왔다. 오토메이션애니웨어에서는 주요 고객사에 신제품 적용 사례를 만들어내고, 본사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는 등 능력을 인정받았다.박 신임 지사장은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 관련 70% 이상의 고객이 아직 도입을 고려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 고객 정서에 맞는 라이선스 정책과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리더그룹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Career Development
-
미드에 겁나게 나온다는 단골표현 6oo개
미국드라마 단골표현 600개 (**) 첨부화일을 다운로드하시면 더욱 풍부한 내용을 학습하실수 있습니다. 001. 지난 학기 기말시험 잘 봤어? Did you ace your finals last semester? 002. 마디마디가 쑤신다. I'm aching in the joints. 003. 몸살이 났다. My body aches all over. 004. 내숭 좀 그만 떨어. Stop acting coy. 005. 불난 집에 부채질합니까? Are you adding fuel to the fire? 006. 한국에서는 태어나자마자 한 살이에요. Koreans add a year as soon as babies are born. 007. 그는 그 문제를 처리해야만 한다. He must address the problem. 008. 우리는 다음 주 금요일까지 모임을 연기하였다. We adjourned the meeting until next Friday. 009. 조심하셔야 합니다. I advise you to be cautious. 010. 저는 유난히 겨울을 타요. Winter affects me a lot. 011. 그만한 시간을 낼 수가 없었다. I could not afford the time. 012. 걔들은 진짜 사이가 나빠. They agree like cats and dogs. 013. 저는 쇠고기를 못 먹습니다. Beef doesn't agree with me. 014. 눈코 뜰 새 없이 바쁩니다. I'm in a situation that doesn't allow me a moment to blink. 015. 제가 하겠습니다. Allow me. 016. 상황에 따라 사정은 변하게 마련이다. Circumstances alter cases. 017. 너 때문에 짜증이 난다. You're very annoying. 018. 너한테는 해당되지 않는다. It doesn't apply to you. 019. 지정석이 없습니다. There is no arranged seating. 020. 제시간에 도착한 손님은 거의 없었다. Few guests arrived on time. 021. 그 자식 스스로 무덤을 팠군. He asked for it. 022. 내 욕심이 너무 과한 건가요? Am I asking for too much? 023. 다른 사람한테도 알아보지 그러세요? Why don't you ask someone else? 024. 그 사람한테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봤다. I asked him point‐blank. 025. 제 무덤 제가 판다더니... Ask for troubles. 026. 넘겨짚지 마세요. Don't assume too much. 027. 그는 못들은 척 하고 있었다. He assumed to be deaf. 028. 그냥 건성으로 다녔어요. I attended half‐heartedly. 029. 어느 대학에 다니십니까? Which college are you attending? 030. 그 여자의 어디가 그렇게 마음에 드세요? What is so attractive about her? 031. 수업을 청강해도 되겠습니까? Can I audit your class? 032. 내가 몇 살로 보입니까? How old do you think I am? 033. 정말 잘도 지껄여대는구나! What a good talker you are! 034. 사람 얕보지 말라구. Who do you think I am? 035. 아직 여자친구 없지? You are still between girls, right? 036. 있는 그대로의 너를 사랑해. I love you just the way you are. 037. 그 사람은 사고뭉치예요. He is accident‐prone. 038. 그 사람은 정신을 놓고 다녀요. He is absent‐minded. 039. 너 전화 받았을 때 잠이 덜 깼었니? Were you half asleep when you picked up the phone? 040. 단번에 질려. The sample is ample. 041. 뒷맛이 안 좋아요. The aftertaste is bad. 042. 아마 좀 서먹서먹할 거예요. It will probably be a bit awkward. 043. 왼손으로 글 쓰기 힘들지 않아요? Isn't it awkward writing with your left hand? 044. 저는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어요. I'm allergic to peaches. 045. 할부됩니까? Is financing available? 046. 그럴 때도 됐지. It's about time. 047. 모든 것이 다 들통 났다. Everything is all abroad. 048. 그는 학교 2년 선배예요. He is two years ahead of me in school. 049. 그녀가 멀리 간 게 아니었으면 좋겠네요. I hope she's still around. 050. 그는 세상 물정에 밝아요. He has been around. 051. 면접이 얼마 남지 않았네. The job interview is just around the corner. 052. 뭐도 약에 쓰려면 없다니까. It's never around when you need it. 053. 감쪽같아요. It's as good as new. 054. 굉장히 기뻐하더군. She was as pleased as punch. 055. 그 여잔 칼 같다니까! She is as sharp as a razor! 056. 그게 당신 한계예요. That's as far as you can go. 057. 당신 고집불통이군요. You're as stubborn as a mule. 058. 보기만큼 그리 나쁘진 않아요. It's not as bad as it seems. 059. 비싼 만큼 그 값을 하는군요. It's as good as it costs. 060. 세상은 마음먹기 나름이다. The world is as you take it. 061. 소문만 요란했어요. It wasn't as good as it was made out to be. 062. 저 정신 멀쩡해요. I'm as sober as I can be. 063. 외모보다 속이 중요하다. Handsome is as handsome does. 064. 그 여자는 프랑스어에 능통하다. She is at home in French. 065. 그는 영어가 아주 능수능란하다. He's terribly at home in English. 066. 그의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He is at large. 067. 너는 약방의 감초처럼 꼭 낀다. You seem to be at everything. 068. 뭐든지 시켜만 주십시오. I am at your service. 069. 범 없는 골에는 토끼가 스승이라. When the cat's away, the mice will play. 070.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져 있는 것이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 중의 하나죠. Being away from 0someone you love is one of the hardest things in the world. 071. 집에서 떠나 있는 동안 좀더 자주 가족들에게 전화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I wish I could have called my family more often while I was away from home. 072. 추가로 하시는 겁니까? Is this in addition? 073. 그 사람은 말뿐이에요. He's all mouth. 074. 그건 네가 알 바 아니다! That's my affair! 075. 그건 딴 얘기다. That's another pair of shoes. 076. 그건 비교가 될 수 없어. That's apples and oranges. 077. 그건 우리 비장의 카드야. It's our ace in the hole. 078. 그는 늙었어도 재미있는 사람이다. He is an amusing old party. 079. 남의 일 같지 않네요. I feel as if their hardship is mine. 080. 뒤풀이가 있어요. There is a small party afterwards. 081. 수지는 맞겠는가? What's the angle? 082. 우리 형제는 한 살 차이 밖에 안 나. My brother and I are only a year apart. 083. 이게 좋기는 뭐가 좋아. This is anything but good. 084. 사인해 주세요. May I have your autograph? 085. 치통이 너무 심해요. I have such an awful toothache. 086. 찬성자 다수로 가결되었다. The ayes have it. 087. 길고 짧은 것은 대 보아야 안다. It's hard to tell the difference only by theirappearances. 088. 올해 공로상은 누가 받았나? Who won the life‐time achievement award this year? 089. 죽으나 사나 또 일하러 가야지. Now back to the grind. 090. 무슨 일이 있어도 물러서지 않겠어. I'm not going to back down. 091. 기대에 어긋나지는 않을 겁니다. It won't backfire. 092. 내 친구는 한국에서 배낭여행을 하고 있어요. My friend is backpacking around Korea. 093. 존이 내 뒤통수를 쳤어. I'm back‐stabbed by John. 094. 조용히 해! 지금 집중해야 한단 말야. Bag it! I'm trying to concentrate. 095. 당신 또 헛다리짚었어요. You barked up the wrong tree again. 096. 사장에게 호된 꾸중을 들었다. I was bawled out by the boss. 097. 그 사람 몇 시에 온다고 그랬지요? What time did he say he would be here? 098. 10대라는 이유만으로도 죽을 맛입니다. Being a teenager is tough enough. 099. 겉으로는 사나워 보여도 알고 보면 따뜻한 사람이에요. His bark is worse than his bite. 100.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는 있다. All things in their being are good for something. 101. 그는 건장하다. He is buff. 102. 그는 참 원기왕성하다. He is full of beans. 103. 정말 멋지군요. This is breathtaking. 104. 나 그렇게 만만한 사람 아니야. I wasn't born yesterday. 105. 내가 네 뒤에서 지켜보고 있을게. I am right behind you. 106. 너는 욕심이 너무 지나쳐. Your eyes are bigger than your stomach. 107. 당신 한국말 참 많이 늘었군요. Your Korean is much better now. 108.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Second thoughts are best. 109.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As the twig is bent, so grows the tree. 110. 많은 사람들이 고향으로 내려갑니다. Many people are homeward bound. 111. 숨이 차서 더 이상 못 가겠어요. I'm too breathless to go any farther. 112. 이 정도도 어디예요. This is better than nothing. 113. 이것은 썩는 건가요? Is it biodegradable? 114. 이제 살 것 같아요. That's much better. 115. 잠깐 어디 좀 다녀올게요. I'll be right back. 116.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안 믿어요. Even if it were true, I still wouldn't believe you. 117. 태어날 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어요. No one is good from the beginning. 118. 약간 치사한 방법이긴 하다. It's a little bit below the belt. 119. 그의 계획은 흠잡을 데가 없습니다. His plan is beyond challenge. 120. 그는 경쟁에서 뒤쳐져 있어요. He is in the back of the pack. 121. 제 눈에 안경이다. Beauty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122. 무슨 종입니까? What breed is it? 123. K씨는 거물급 바이어다. Mr. K is a big buyer. 124. 개망나니 짓 좀 그만 할 수 없니? Can't you just stop being a bull in a china shop? 125. 공포영화는 항상 흥행이 보증된다. A horror movie is always good box office. 126. 그 사람 폐인 다됐어. He's a basket‐case. 127. 그건 쓸 데 없는 짓이다. That's no bottle. 128. 그것은 버릇없는 짓이다. That's no way to behave. 129. 그래, 네 맘대로 해봐라. OK! You are the boss. 130. 그런 이름 가진 사람 여기 없는데요. There's no one here by that name. 131. 제가 오늘 하루 당신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I'm your buddy for the day. 132. 나는 집안의 말썽꾸러기예요. I'm the black sheep of the family. 133. 난 영화광이야. I am a big‐time movie buff. 134. 남자는 여자하기 나름이다. Behind every great man, there is a great woman. 135. 내 말이 그 말이야. You bet I do! 136. 네가 쓰기에는 어려운 단어구나. That's a very big word for you. 137. 다 너 때문이야. It's all because of you. 138. 넌 완전 빈털터리야. You're stone broke. 139.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입니다. It is a big blow. 140. 말도 안 돼! It's all bunk! 141. 말도 안돼. It's baloney. 142. 선례를 따르는 것이 안전하다. The beaten road is the safest. 143. 세상일이 다 그런 겁니다. That's the way the ball bounces. 144. 식은 죽 먹기였지요. That was a no‐brainer. 145. 알맹이가 없잖아요? Where's the beef? 146. 왜 이래, 정신 나갔어? What's the big idea? 147. 이것은 전화위복의 계기일지도 모른다. Maybe it's a blessing in disguise. 148. 잔고가 얼마죠? What's my balance? 149. 잘 샀다. It's a good buy. 150. 참 시원섭섭하다. It's kind of a bittersweet thing. 151. 내기는 그만 두겠네. The bet's off. 152. 그는 매우 정확하다. He's on the beam. 153. 나는 선생님에게 찍혔어요. I'm on the teacher's bad side. 154. 넌 이제 찬밥 신세야. You're on the back burner now. 155. 발등에 불 떨어졌구나. Your butt is on fire. 156. 그 사람 미쳤어. He is round the bend. 157. 꼬리가 길구나. Born in a barn. 158. 걷는 것보다 빠르다. It beats walking. 159. 그들을 이길 수가 없다면 그들과 손을 잡아라. If you can't beat them, join them. 160. 나도 몰라요. Beats me. 161. 이 가격보다 더 좋을 순 없다. You can't beat the price. 162. 이리저리 말 돌리지 말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Stop beating around the bush. 163. 이제 한국 사람이 다 되셨군요. You have become Koreanized. 164. 팔이 안으로 굽는다. Charity begins at home. 165. 어떻게 인간의 탈을 쓰고 그럴 수가 있지? How can he be human and behave that way? 166. 이거 정말 황당하네. I can't believe it. 167. 과연 그렇군. You bet your life. 168. 단속을 잘하면 잃는 법이 없다. Fast bind, fast find. 169. 나 나쁜 사람 아니야. I won't bite you. 170.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한다. He bit off more than he can chew. 171.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 Once bitten, twice shy. 172. 누구 구두를 더 닦아야 하죠? Whose else should I be polishing? 173. 네 책임이 아니야. I don't blame you.
-
영어 프레젠테이션 할 때 유용하게 쓰는 표현들
시작할 때 Good morning / Good afternoon. Hello, Thank you for being here. 여기 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The objective of my presentation is … 저의 발표 목표는 …. The topic of my presentation today is … 저의 발표 주제는 … What I’m going to talk about today is .. 제가 말씀 드릴 내용은 … The presentation will focus on (A), (B), and (C)… 발표는 …에 집중할 겁니다. By the end of the presentation, I hope that … (your goal) 발표가 끝나면, 저는 … 하기를 기대합니다. I will divide my presentation into … (how many parts) 저의 프리젠테이션은 … 부분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This is important because … 이것은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 First, I will discuss…. 처음에 나는 …을 이야기할 겁니다. Lastly, finally … we’re going to look at 마지막에, 우리는 … 을 살펴보게 될 겁니다. 다른 사람에게 발표를 넘길 때 And now I’d like to hand over to Dan.And now I’d like to ask Dan to.. Dan에게 넘겨보겠습니다. 발표 내용 중에 I would like to talk about …I’ll be talking to you about … …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My purpose today is to … 저의 오늘 목적은 … 입니다. What I want to do today is to … 제가 오늘 하려고 하는 것은 …. 입니다. Let’s start / begin with … …로 시작해보겠습니다. I’d like to illustrate this by showing you … … 를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I have considered … …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I have looked at … … 를 지켜봐 왔습니다. There are two alternatives … 두가지 대안이 있습니다. This is explained by two factors. First, … Second, … 이것은 두가지 면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째, … 둘째, … There are two reasons/explanations for this. First, … Second, … 이점에 대해서 두가지 이유/설명이 있습니다. 첫째, … 둘째, …. This is due to … and also to … 이것은 … 때문이고 또한 … 입니다. One reason for this is … 이것의 한 이유는 … 입니다. Another reason is … 다른 이유는 … 입니다. Now let’s move on to… 다음 주제로 … 가겠습니다.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 이 문제를 푸는 한가지 방법은 … 입니다. Another is to … 다른 것은 … 입니다. I’d like to expand on this aspect / problem / point. 저는 이 면/문제/핵심을 확장해보겠습니다. Let me elaborate on that 그것에 대해서 자세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Would you like me to expand on / elaborate on that? 좀더 자세하게 말씀해주시겠습니까? My research shows .. 저의 연구는 … 입니다. The figures indicate that … 이 수치는 …을 가리킵니다. A key problem is … 핵심 문제는 … 입니다. I’d like to turn to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완전 다른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I’d like to digress here for a moment and just mention that… 조금 다른 측면으로 빗나가게 한번 설명해 보겠습니다. Let me go back to what I said earlier about … …에 대해서 말한 것을 다시 돌아가겠습니다. The evidence is … 증거는 … 입니다. I believe that … 저는 …라고 믿습니다. I think that … 저는 …라고 생각합니다. It is our view … 우리의 관점은 … 입니다. Our opinion is … 우리의 의견은 … 입니다. It seems to us that … …라고 우리에게 보여집니다. I feel … …라고 생각됩니다. I tend to feel … …라고 생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표를 마무리할 때 Today I have shown you … 오늘 저는 … 을 소개했습니다. I’d like to conclude by -ing …I’d like to finish by -ing … -ing 해서 결론 맺어보고자 합니다. In conclusion,Finally …To sum up then … 요약하자면 … I’d now like to sum up the main points which were … …에 대한 주 내용을 요약하겠습니다. I’d like to recap the main points of my presentation– first I covered …– then we talked about …– finally we looked at .. 저의 발표의 주 내용을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는 …을 말했고, 그리고 …를 이야기했고, 마지막으로 …을 살펴봤습니다. So, as I’ve seen in this presentation today, … 오늘은 발표에서 보여드린 것은 … As I’ve explained, … 제가 설명드린 것은…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attention. 여러분의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질문 받을 때 Thank you. If there are any questions, I shall do my best to answer them. 감사합니다. 질문 있으시면, 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If you have any questions, I’d be pleased to answer them. 질문해주시면, 답하겠습니다. I’d (we’d) be happy to answer any question. 답변 잘 하겠습니다. I (we) would welcome any comments / suggestion. 어떤 코멘트나 제안도 좋아요. Finally, I’ll be happy to answer your questions. 마지막으로 질문에 답하도록하겠습니다. Now I’d like to invite any questions you may have. 지금 가지고 계신 질문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
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영어문장 500문장
(**) 더많은 내용을 보시려면 첨부화일을 다운 받으세요... [A] A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지. Absolutely. 당근 빠따! After you. 먼저 가세요. Always. 항상 그렇지요 Amazing. 대단하네요 And then? 그리고 나서는요? Any good ideas? 어떤 좋은 생각이라도? Any time. 언제라도요 Anybody home? 집에 누구있어요? Anything else? 그 밖에 또 뭐요? Are you in line? 지금 줄에 서 계신거죠? Are you kidding? 놀리는거 아니죠? Are you serious? 그거 진짜예요? At last. 드디어 Attention, please! 좀 주목 해 주세요 Awesome! 와우~ 멋지다 [B] Back me up. 뒤좀 봐줘~ (지원해 달라는 의미의) Be my guest. 사양하지 마세요 Be patient. 조금만 참아 보세요 Be punctual! 시간좀 맞춰줘! Be right back with you. 잠깐만요 (곧 당신에게 돌아 올께요) Be seated. 앉으시죠 Beat it. (이자리에서) 꺼져 (Beer), please. (맥주) 주세요 Behave yourself. 예의를 갖추시죠! Better late than never. 안하느니보단 늦는게 낫죠. Better than nothing. 없는 것 보다는 낫지요 Boy! It hurts. 와, 진짜 아프네 Break it up. 그만 좀 싸워 [C] Call me Sam, please. 샘이라고 불러 주세요 Can I get a ride? 나를 태워다 줄 수 있어요? Can you hear me now? 잘 들려요? Can't argue with that. 그건 논란의 여지가 없죠 Can't be better than this. 이것보다 더 좋을 순 없지요 Cash or charge? 현찰이요 아니면 신용카드? Catch you later. 나중에 보자구요 (혹은 나중에 들을께요) Certainly. 확실히 그렇죠.. Charge it please. 대금을 크레딧 카드로 결재해 주세요. Check it out. 확인해 봐봐 Check, please. 계산서 좀 주세요 Cheer up! 기운내요 (혹은 화이팅!) Cheers! 건배 (Coffee), please. (커피) 주세요 Come and get it. 와서 가져가요 (와서 먹어요) Come on in. 들어와요 Come on. 설마 (혹은 에이~~) Congratulations! 축하 합니다 Could be. 그럴 수도 있죠 Couldn't be better than this. 이보다 더 좋을 순 없어 [D] Definitely. 당근 빳다죠 Delicious! 맛있어요 Depends. 경우에 따라 다르지요 Did you get it? 알아 들었어요? Didn't I make myself clear? 제 입장을 확실하게 말하지 않았나요? Disgusting! 기분 나빠. 재수 없어 Do I know it? 저도 압니다. 누가 아니래요? Do I look all right? 제가 괜찮아 보여요? Do you follow me? 제 말 알아 듣겠어요? Do you have everything with you? 다 가지고 계신거죠?? Do you? 당신은요? Doing okay? 잘 하고 있어요? Don’t get too serious. 너무 심각하게 그러지 말아요 (편하게 생각하세요) Don’t miss the boat. (보트를 놓치듯이) 기회를 놓지지 마세요 Don’t press (push) your luck. 너무 날 뛰지 마세요 (너무 행운만 믿지 말아요) Don't ask. 묻지 말아요 Don't be a chicken. 너무 소심하게 굴지 말아요. (겁먹을 것 없어요) Don't be afraid. 두려워 하지 마세요 Don't be foolish. 멍청하게 굴지 말아요 Don't be modest. 겸손해 하지 말아요 Don't be shy. 부끄러워 하지 마세요 Don't be silly. 싱겁게 놀지 말아요 Don't bother. 신경쓰지 마세요 Don't bother me. 나를 괴롭히지 마세요 Don't change the subject! 화제를 다른데로 돌리지 마요 Don't get into trouble. (Stay out of trouble.) 괜히 껴들지 마세요 Don't get upset. 너무 화내지 말아요 Don't mess with me. 나하고 해보자는 거죠 (저에게 함부러 하지 마세요) Don't let me down. 나를 실망시키지 말아요 Don't make me laugh. 나 좀 웃기지 마요 Don't push me! 너무 강요 하지 말아요 Don't push! 밀지 말아요. Don't worry about it. 걱정하지 말아요 Drive safely! 안전운행 하세요~~ [E] Easy does it. 천천히 해요. 조심스럽게 하세요 (혹은 진정해요. 성질내지 말고) Either will do. (Anything will do.) 둘중에 어떤 것이든 되요 (어떤 것이든 되요) Enjoy your meal. 맛있게 드세요 Enough is enough. 충분 하니까 이제 그만 해요 Exactly. 바로 그거죠. Excellent! (Super!) 짱! Excuse me. 실례합니다 [F] Far from it. 아직 멀었지요 Fifty-fifty. 50:50 이죠. Follow me. 따라 오세요 For good? 영원히? For what? 왜? 뭣땀시? Forget it. 그것에 대해서는 잊어 버리세요. 신경꺼요. [G] Get in the line. 줄을 서세요 Get lost! 당장 꺼져 버려 Get off my back. (등에 업혀 있지 말고) 이제 나를 고만 괴롭혀요 Get real! 현실적이 되세요. 냉정해 지세요 Get the picture? 완전히 이해가 되세요? Give it a rest. 내버려 두세요 Give it a try. 노력해 보세요 (혹은 한번 시도해 보세요) Give me a call. 제게 전화 주세요 Gladly. 기꺼이 하지요 Go ahead. 하세요 (얘기 하다가 말을 잘라 먹었을 때 ‘말씀하세요' 하는 의미로도 쓰임) Go fifty-fifty. 반반 나누어 내지요 Go for it. 한번 해 보시지요. 노력 해 보시지요 (화이팅! 의 의미로도 쓰여요) Go get it. 가서 가져와요 (혹은 격려의 의미로 ‘한번 해봐!` 로도) Go on, please. 어서 계속 하세요 Going down? 내려 가세요? (주로 엘리베이터에서) Going up? 올라 가세요? (주로 엘리베이터에서) Good enough. 그 정도면 충분 합니다. 좋습니다 Good for you. 잘 되었네요 (약한 축하의 의미로) Good luck to you! 당신에게 행운을 빕니다 Good luck. 행운을 빕니다 Good talking to you. 당신과의 대화는 즐거 웠어요 Grow up! 좀 철좀 들어라 Guess what? 뭔지 알아 맞추어 봐요 [H] Hang in there.잘 견디고 있어 주세요 Hang loose. 좀 편히 쉬고 있어요. Hang on! 잠깐만! Have a nice day. 좋은 하루 되세요 Have fun! 재미있게 즐겨! He didn't show up. 그가 나타나지 않았어요 He is history to me. 그는 저에게 이미 지난 일 Help me! 도와주세요 Help yourself. 마음껏 드세요 Here is something for you. 여기 당신을 위해 준비했어요 Here you are. 여깄어요 Hi ! 안녕 Hold it ! 움직이지 마요. 잠깐만! Hold on. 잠깐 기다리세요 How about you? 당신은 어때요? How big is it? 얼마나 큰데요? How come? (Why?) 어떻게? (왜?) : 사실 how come 과 why 는 조금 의미가 다릅니다 How do you like here? 여기 좋아하세요? How have you been? 그동안 어떻게 지냈어요? How many times do I have to say? 몇번이나 말해야 알겠어요? How many? 몇개나? How much? 얼마나 많이? How was your trip (vacation)? 여행 (휴가)는 어땠어요? How? 어떻게? How's everything? 다 잘 되고 있죠? (안부의 의미로) How's work? 일은 좀 어때요? How's you family? 가족은 잘 있어요? [I] I agree. 동의합니다 I am (deeply) touched. 정말 감동했어요 ㅠ.ㅠ I am a little disappointed. 좀 실망했어요 I am all set. 준비 끝! I am aware of that. 그점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습니다. I am back. 저 돌아 왔어요 I am broke. 저 무일푼입니다 (완전 파산상태예요) I am coming. 지금 가요 I am crazy about her. 나는 그녀에 빠졌어요 I am exhausted. 완죤 지쳤어요. I am fed up with this. 정말 (이것에 관한한) 진저리가 나요 I am free. 한가해요 I am full. 배불러요 I am getting hungry. 배가 슬슬 고파 오는데요 I am going to miss you. 널 그리워하게 될거야 I am impressed. 감동 받았어요. I am in a hurry. 좀 바쁩니다 (저 급해요) I am in need. 궁색 합니다 I am nearsighted. 근시입니다 I am on duty. 근무중입니다 I am scared to death. 무서워 죽겠어요 I am serious. 난 진심이라구요 (농담 아니라니깐요) I am short-changed. 잔돈이 모자라는데요 I am single. 나는 미혼입니다 I am sorry. 미안해요 I am starving to death. 배가 고파 죽겠네여 I am stuffed. 배 불러요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할 만큼 배부르다는 뜻으로도 쓰여요) I am upset. 화가 납니다 I bet. 내가 장담컨대 (내기를 할정도로 자신있다) 혹은 ‘물론’이라는 동의어로 쓰여요. I can tell. 그렇게 보이는데요 (그래 보여요) I can handle it. 내가 할 수 있어요 I can not handle it anymore. 난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네요 I can’t afford that. (주로 재정적으로) 감당이 안되요 (제 형편에 무리예요 로도 사용) I can’t help it. 어쩔수 없어요 I can't say for sure. 확실히는 말 못 하겠어요 I can't stand it. 견딜 수 가 없군 (못 참겠어!) I can't thank you enough. 뭐라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할지 모르겠어요 I didn't mean to. (I didn't mean it.) 난 그렇게 할 의도는 아니었어요. (일부러 그런건 아니예요) I don’t believe it. 난 믿지 않아요 I don't care. 상관없어요 I don't get it. 이해를 못하겠네 I don't like it. (그것이) 싫어 (좋아하지 않아요) I doubt it. 아닌 것 같은데.. (No 대신에 정말 많이 쓰는 표현. 완곡한 No 의 표현) I fee the same way. 저도 똑같이 느꼈어요. I get it. 알아 들었어요 I got lost. 난 길을 잃었어요 I have got to go now. 이제 가야겠네요 I have had enough. I quit. 난 이제 진저리가 나요. 그만 둘래요 I hardly know him. 나는 그 사람을 잘 모릅니다 I hate to eat and run but ... 먹자마자 가기는 싫지만… I have a long way to go. 갈길이 머네요 I have no appetite. 식욕이 없어요 I have no clue. 아이디어가 전혀 없네요 (어찌할지 모르겠네요) I have no energy. 의욕이 없어요 I have no idea. 전혀 몰라요 I have no time. 나는 시간이 없어요. 바쁘네요 I haven't got all day. 좀 서둘러 주시겠어요? (제가 시간이 좀 없어요) I hear you loud and clear. 잘 듣고 있습니다. I know what! 아! 알았어요! I love it. 정말 좋아해 I made it. 제가 해냈어요! I mean it. 정말입니다. 농담아니에요. I owe you one . 신세를 지네요 I see. 알겠습니다 I still love you. 난 널 아직도 사랑해 (I still love you long 은 ‘난 널 아직도 사랑하지롱' 물론 농담입니다 ^^) I swear to God. 내가 맹새컨데 (내가 맹세할 수 있다규!) I taught myself. (누가 가르쳐 준 사람 없이) 혼자 익혔어요 I was lucky. 정말 운이 좋았죠 I was told that. 그렇게 들었어요 혹은 제가 듣기에 (that 이하의 문장이 이어집니다) I will be in touch. 제가 연락드릴께요. I will do it for you. 제가 해 드리지요 I will drink to that. 그것에 동감 입니다 I will get it. (전화등을) 제가 받을 께요 I will miss you. 널 그리워 할거야 I will never make it on time. 제시간에 가기는 틀렸군 I wouldn't say no. 아니라고는 말하지 않을께여 I'm coming. 가요, 갑니다 In a sense, he is nothing but a suit. 어떤 면에서는 그는 헛깨비나 다름없어 (이게 좀 어려운데 어떤 사람이 그 위치에 딱맞는 행동을 생각없이 수행하는 그런 걸 의미한다고 하네요. 무려 미국인 3명이랑 토론했네요 ^^) Incredible. 대단해 Is that all? 그게 전부에요? It is chilly. 날이 쌀쌀 하네 It is humid. 습하네요 (습기가 많은 날씨) It is muggy 날이 후덥지근하네 (온도 높고 습도 높고) It is out of style. 유행이 아니네요. It is painful for me. 그건 (저에겐) 참 고통스럽네요 It is time for lunch. 점심식사할 시간입니다 It is time to go. 갈 시간 입니다 It is windy. 바람이 부네 It makes sense. 말 되네요 It takes time. 시간이 걸립니다 It’s for you. 여기요 전화 왔어요 It’s not fair. (It's unfair) 불공평해요 It's all right. 괜찮습니다 It's beautiful. 아름답군요 It's cool. 멋있네요 (상황에 따라 괜찮아요 라는 뜻도 있습니다) It's free. 공짜 입니다 It's freezing. 대박 춥네 (꽁꽁 얼어붙는다는 뜻에서 출발) It's my fault. (It's not my fault) 제 잘못 이지요 ( 제 잘못이 아닙니다.) It's all your fault. 모든게 네 잘못이야 It's my pleasure. 천만에요 (감사에 대한 답. 저도 그렇게 해드려 기쁩니다에서 유래) It's my turn. 이번에 내 차례입니다 It's now or never. 지금이 절호의 기회입니다 It's on me. It's on the house. 이건 제가 쏘는 겁니다 이것은 주인집에서 써비스! It's really bad. 아주 나빠요 It's tough. 힘들어요 It's your turn. 당신 차례입니다 [J] Just about. 거의 Just kidding. 그냥 농담이에요 Just looking. 그냥 돌아 보는거에요 (쇼핑하러 가서 아이쇼핑할떄 쓰세요) Just a moment. 잠깐 만요 [K] Keep an eye on this, will you? 이것좀 봐주세요. 해주실거죠? Keep going. 계속 가세요 Keep in touch. 계속 연락합시다 Keep it confidential. 대외 비밀로 해 주세요 (당신만 알고 계세요) Keep it to yourself. 당신만 알고 계세요. (비밀로 해 주세요) Keep looking. 계속해서 찾아 봐요 Keep out of my way. 제 길을 막지 마세요 Keep the change. 잔돈은 가지세요 (잔돈은 됐어요) Keep your chin up! 고개를 드세요. 낙담 하지 마세요 기운을 내요 Knock it off. 그만해~~ (상대방이 놀리는 상황에서라든지 황당한 얘기를 할 때) [L] Large or small? 큰거요 아니면 작은 거요 Let it be! 내버려 둬! Let me see… 어디 보자… (별 의미 없이 쓰는 접두어.. 음… 정도) Let me think about it. 제가 생각해 보죠 (이것도 의미없이 대화 중 음.. 하는 용도로 쓸 수 있어요) Let's give him a big hand. 그에게 큰 박수를 보냅시다 Let's call it a day. 오늘은 이걸로 마치죠 (오늘은 여기까지 하죠) Let's eat out. 자, 외식합시다 Let's get down to business. 자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Let's get together sometime. 언제 한번 함께 보죠 Let's go over it one more time. 자 한번 더 살펴 보지요 Let's see. 자 어디.. (뭘 살펴볼 때 습관적으로 하는 말) Let's split the bill. 나누어서 냅시다 Let's try. 한번 해보지요 Look who's here. 아니 이게 누구야 Lucky you! 자네 운이 좋았어 [M] Make a way! 길을 비켜 주세요 Make mine well done. 내것은 well done (스테이크의) 으로 해줘요 Make that two, please. 그것을 2 개로 나눠 주세요 Make yourself at home. 내집인양 편하게 계세요 Many thanks in advance. 미리 감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정 엔지니어 신입 공개 채용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정 엔지니어 신입 공개 채용 사진출처: 한국경제 재료공학 솔루션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대표 마크 리)가 공정 엔지니어(PSE) 신입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소지자 지원 가능하다.반도체 장비 모든 공정 라인업을 보유한 어플라이드는 이번 공채에서 △식각(etch) △화학기계연마(CMP) △원자층증착(ALD) △금속증착(Metal Deposition) △EPI(Epitaxial) △패키징 △임플란트 △계측진단 장비 분야 엔지니어를 채용한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 전공자가 지원할 수 있으며, 주요 근무지는 평택, 화성, 이천이다.어플라이드 PSE 신입 공채는 11월 2일부터 원서 접수를 시작으로 서류 심사, 두 번의 면접 전형을 거쳐 2021년 2월 초 입사가 확정된다. 입사 후 4~6주간 반도체와 비즈니스 관련 교육을 받고 부서 배치된다.공개 채용 공고는 11월 2일부터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식 블로그, 페이스북, 다양한 채용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플라이드는 공고에 앞서 입사를 희망하는 지원자에게 도움이 되도록 10월 28일 오후 5시부터 라이브 Q&A(질의응답) 온라인 세션을 진행한다. 어플라이드에 근무 중인 공정 엔지니어 선배 직원들이 직접 본인의 생생한 경험을 공유하고 지원자의 궁금증을 풀어준다. 사전신청을 통해 참여 가능하며 등록 및 자세한 내용은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마크 리 대표는 “어플라이드 채용은 수시로 이뤄지는 가운데 매년 연말 공정 엔지니어 신입 공채가 진행된다”며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끌 패기 넘치는 글로벌 인재들을 만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분당, 화성, 평택, 이천, 천안 등 전국 12개 사업장에서 17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는 3년간 800여명의 우수 인재를 고용했다. 2020년 7월에는 고용노동부 주관 ‘2020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어플라이드 코리아는 시차 출근제 및 패밀리 데이 조기 퇴근제, 다양한 동호회 활동, 임직원 및 가족 대상 전문 상담 지원 등 일과 생활의 양립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 중이다. 또한 고객사 및 반도체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해 공동 인재 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미국 본사와 연계한 전문 직무 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직원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HR Issue
-
[단독기획기사]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 이슈는 대부분 경기 불황속 성과관리와 재택근무관리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 이슈는 대부분 경기 불황속 성과관리와 재택근무관리 교육관련은 (69.7%) 가 비대면 교육 활성화 응답 응답자의 ( 57.65%)가 재택근무자 상시 동기부여 활동 과 HR 외부 행사 취소 및 축소 로 응답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상임대표 김종철,54 ]는 2020년도 12월 주한외국기업 지사장 CEO와 인사담당 임원 CHRO들을 대상으로2021년도 인사관리 이슈와 업무평가에 대한 서베이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결과 내년도 인적자원관리의 최대화두는 경기 불황속 성과관리 (46%) , 코로나 위기 재택근무 관리 (42%)로 나타났다. 내년도 인적자원관리 예산에 대하여는 올해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늘린다는 응답이 (72.8%)로 나타났다. 직원들의 교육관련은 (69.7%) 가 비대면 교육 활성화 로 응답했다. 그리고 응답자의 ( 57.65%)가 재택근무자 상시 동기부여 활동 과 HR 외부 행사 취소 및 축소 로 응답했다. 이번 서베이 작업을 기획한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마켓리서치분과 차수은 이사 ( 로투스베이커리즈코리아 , 인사부 이사 )는 코로나의 영향이 2021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에 부합한 HR위기대응 계획들이 주를 이루었고 코로나 위기 속 기업의 HR전략은 인력감축을 포함한 인력관리와 경기불황속 성과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각적으로 고민해야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는 1999년도에 설립된 주한외국계기업의 연합체로서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와 주한외국기업인사관리협회 [KOFEN HR] 등의 법인회원사와 외국계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이 개인자격으로 가입되어있다.
-
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외국인고용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외국인고용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재입국 특례 대상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제한 기간 단축 정부는 12월 15일 국무회의에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고용노동부 소관 2개 법령안을 심의.의결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번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내년 1월 1일 시행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소득·재산요건 및 의무이행 기준 등을 구체화한 것이다.소득.재산조사의 기초가 되는 ‘가구단위’의 범위를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신청인 본인.배우자.1촌의 직계혈족(부모.자녀)으로 하여 수급자격 조사를 간명하고, 신속하게 했다.가구단위 월평균 총소득은 가구원의 이자.배당.사업.근로소득 및 연금급여 등을 합산하여 산정하도록 규정했다.구직촉진수당 수급을 위한 월평균 총소득 기준은 노사정 합의에 따라 저소득 구직자를 집중 지원하기 위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로 정했다.또한, 가구 재산의 합산액은 3억원 이하로 하여 고액자산가 등은 구직촉진수당을 받지 못하도록 하되, 청년의 경우 고시를 통해 재산 상한을 별도로 정할 수 있도록 하여, 청년 고용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취업경험은 신청일 이전 2년 동안 취업한 기간을 더하여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인 경우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 취업한 기간의 산정 방법은 시행규칙을 통해 구체화하여 취업기간 확인이 어려운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 등도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소득.매출액의 취업기간 환산 방법을 마련할 계획이다.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사람이 취업활동계획에 따라 직업훈련.일경험 프로그램 등 구직활동의무를 이행하는 경우에만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예외 사유는 제한적으로만 인정하여 수급자의 적극적 구직활동을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동 시행령 제정을 통해 ‘국민취업지원제도’라는 새로운 안전망이 차질없이 도입되어, 고용안전망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외국인 근로자는 한번 입국하면 최대 4년 10개월까지 근무할 수 있으며, 그 기간 동안 한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 재입국 특례를 인정받아, 출국 후 3개월이 지나면 재입국하여 다시 최대 4년 10개월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다만, 재입국 특례 시 출국한 날로부터 3개월 후 재입국해야 함에 따라 사업장의 업무 공백이 발생할 수 있어 재입국 제한 기간을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한다.외국인 근로자는 4년 10개월간 사업장 변경을 하지 않고 한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에만 재입국 특례가 가능하여 외국인 근로자는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기 위하여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사업장 변경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사용자는 사업장 변경 이력이 있는 숙련 외국인 근로자를 재입국 특례를 통해 계속 고용하지 못할 수 있었다.앞으로는 동일 업종 내에서 사업장 이동을 한 경우에도 고용노동부 고시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숙련성을 인정하여 재입국 특례를 허용할 수 있게 되었다.폭행, 성희롱 등 외국인 근로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사업장을 변경한 경우 재입국 특례를 위해서는 해당 사업장에서 근로계약 기간이 1년 이상 남아 있어야 하나, 잔여 취업활동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기 위해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사업장 변경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이 경우라도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권익보호협의회의 의견을 들어 인정한 경우에는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을 수 있도록 근로계약기간의 예외 요건을 마련한다.정부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시행 시기(공포 후 6개월)에 맞춰 관련 고시 개정 후 개선된 재입국 특례 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다.
-
수평조직 네이버, 직급제로 `유턴`
네이버가 6년 만에 직급제를 사실상 부활한다. 한때 2단계까지 줄였던 직원들 직급을 다시 7단계까지 세분화하는 조직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26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7단계 레벨제를 도입하기 위한 설명회를 기술 직군을 대상으로 지난 24~25일 이틀간 개최했다.7단계는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임원-최고경영자(CEO)급으로 이뤄진 전통적 직급제와 유사해 수평적 문화를 추구해온 네이버의 기업 문화에 변화가 예상된다. 네이버는 글로벌 사업으로 시야를 돌리고 성장과 보상체계를 재정비하겠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네이버는 기술직군을 시작으로 사업·서비스·디자인·경영지원 부문으로 이 같은 레벨제를 확대할 계획이다.네이버는 2014년 2단계 레벨제를 도입했다. 당시 네이버는 직급 대신 A레벨(Apprentice)과 P레벨(Professional)의 2단계로 단순화했다. 3년 뒤인 2017년에는 임원제까지 폐지했지만 2019년 '리더'와 '책임리더'란 이름으로 임원제를 사실상 부활시켰다. 네이버는 2019년 책임리더 직급을 새로 만들면서 본사와 계열사에 68명을 선임했다. 책임리더는 리더와 대표급(C레벨) 사이에 신설되는 중간 관리자급 직책으로 비등기 임원이다. 네이버는 최근 7단계 레벨제 도입 설명회를 내부에 공지하면서 "보상의 기준 성과를 명확히 하자는 취지"라며 "성과를 내는 데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경우 등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글로벌 사업으로 시야를 돌리고 난 다음 성장과 보상체계를 재정비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정보기술(IT) 기업들도 급성장으로 조직이 빠르게 비대해지면서 관료적 문화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 때문에 초창기 성공을 이끌었던 혁신적인 '일하는 문화'를 전 조직으로 발전·계승하기 위해 실험과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카카오다. 카카오는 직급이 아니라 영어 이름으로 부르는 수평적 소통 구조로 유명하다. 카카오 내부에서 여민수 대표는 '메이슨(Mason)', 조수용 대표는 '션(Sean)'이라고 불린다. 목요일에 열리는 전사 미팅 'T500' 등을 통해 전 직원 간 공유와 소통도 활발하다.하지만 조직이 커지면서 이 같은 '카카오스러움'이 희석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90개 넘는 계열사, 1만명 넘는 직원이 근무하다 보니 기존 대기업과 같은 조직문화가 싹트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특히 카카오는 2015년 포털 다음, 2016년 로엔엔터테인먼트(멜론) 등 수십 차례 크고 작은 인수·합병(M&A)을 통해 급격히 몸집을 불려왔다. 물리적 결합뿐만 아니라 새로 편입된 '크루(카카오 임직원)'들 간 화학적 결합까지 달성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다.
-
직장내 성희롱 사건, 앞으로 노동위원회로 회부된다.
직장내 성희롱 사건, 앞으로 노동위원회로 회부된다. 정부는 2020. 10. 20. 국무회의를 열어 남녀고용평등과 일 ·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고용상 성차별과 직장내의 성희롱에 대해서 피해자에 대한 노동위원회 구제절차를 도입하는 개정안을 심의·의결하였다. 최근 여러 미투사건을 거치면서 직장내 성희롱 문제가 많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번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게 되면 다른 해고나 차별 사건과 마찬가지로 노동위원회에서 직장내 성희롱 여부가 본격적으로 다투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I. 고용상 성차별과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한 사업주의 조치의무 미이행에 대한 노동위원회 구제절차 신설 현행법상으로는 고용상 성차별이나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해서 사업주의 조치의무 미이행만 처벌하였고 이에 대해서 피해 근로자가 직접 그 시정이나 구제를 신청할 수 있는 수단을 두고 있지 않았으나, 개정법은 피해 근로자가 직접 이러한 피해에 대해서 노동위원회에 그 시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의 실효성 보장을 위해서 관련 자료의 상당 부분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입증책임을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II. 고용상 성차별과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한 사업주의 조치의무 미이행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 노동위원회는 고용상 성차별이 인정된 경우 차별적 행위의 중지, 취업규칙 · 단체협약 등의 근로조건 개선, 적절한 배상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또한 직장내 성희롱 피해 근로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의무 미이행 또는 불리한 처우가 인정되는 경우 적절한 조치 이행, 불리한 행위 중지, 배상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정명령을 할 수 있다. III. 시정명령에 대한 실효성 보장 수단의 확보 개정법은 고용상 성차별이나 직장내 성희롱 피해에 대한 노동위원회의 시정명령의 집행력 강화를 위해서 노동위원회가 사건을 종결할 때에는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그 결과를 통보하도록 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업주에게 확정된 시정명령의 이행상황 제출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정명령을 사업주가 이행하지 않거나 고용노동부 장관의 이행상황 제출 불응 시 사업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며, 시정신청을 한 근로자는 사업주가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경우 이를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신고할 수 있다. IV. 고용상 성차별로부터의 근로자 보호 확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상 성차별을 확인한 경우 직권으로 이에 대해 시정을 요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고, 나아가 고용상 성차별에 대한 시정명령이 내려진 경우 해당 시정명령의 효력을 당사자 이외에 차별을 받은 다른 근로자에게 확대하도록 하여 고용상 성차별로부터 근로자 보호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이와 같은 법 개정에 앞서 각 사업장에서는 직장내 성희롱 예방을 위한 교육을 철저히 함과 더불어 직장내 성희롱 발생 시 조치를 위한 규정이나 매뉴얼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법무법인 세종 제공-
Labor Issue
-
희망을 담은 고용, 미래를 담은 노동 ‘한국고용노동교육원’ 출범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2020년 10월 5일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고용노동교육원(원장: 노광표)이 공식 출범했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은 "한국고용노동교육원법" 제정(3.31.)에 따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부속기관인 고용노동연수원을 독립시켜 설립된 것으로, 우리나라 고용노동교육 중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신임 원장으로는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노광표 소장이 선임됐다. 그간 청소년.영세사업주 등 취약계층과 고용서비스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이를 총괄하는 기관인 고용노동연수원이 부속기관으로 운영되어 독자적인 교육계획 등을 수립하고 집행하는데 한계가 존재해 왔고, 고용노동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여타 기관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노동연수원을 별도 기관으로 독립시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교육원 출범을 통해 증가하는 교육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물론, 근로자.사업주 및 일반국민에 대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종전에는 지방자치단체.노동조합 등 여러 기관에서 고용노동교육이 운영되고 있었으나, 교재.교육 프로그램. 강사 역량 등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없어 양질의 교육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이 설립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과 강사 양성 등 교육의 질을 높이고, 범정부적 협업체계를 구축, 각 기관별로 산재한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노광표 원장은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부회장,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서울특별시 투자출연기관 노사정협의회 위원장 등의 이력을 가진 고용노동분야 전문가로, “교육원 출범에 따라 노동인권교육 등 기존 사업영역을 내실화하고, 확대된 기능과 역할에 충실하도록 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온-오프라인 교육 체계 확충 등 기반시설 강화에도 노력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은 10월 6일 14시에 현판식을 개최한다. 고용노동부 장관을 비롯해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신동헌 광주시장 등 각계인사가 참석하여 교육원 출범을 축하할 예정이다.
-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노총 가입 무산돼..
[단독]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조합원 투표 결과 민주노총 가입 무산돼.. 르노삼성 노사에 의하면, 9일,10일 이틀간 이뤄진 조합원 투표 결과 찬성표 60.7%(1158명), 반대표 39%(743명)결과로 민주노총 가입이 무산됐다. 이번 투표 대상에는 작년 노조가 추진한 전면파업 때 참여를 거부했던 노조원 300여명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를 탈퇴하거나 제명당했기 때문이다. 민주노총 가입을 위해서는 조합원 과반수가 투표하고 투표자의 3분의 2(66.6%) 이상 찬성을 받아야 한다. 투표율은 96.1%를 기록했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3월 초에도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조합원들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노조 집행부가 작년 전면파업을 강행했을 때에도 조합원 70%는 집행부의 뜻을 따르지 않고 정상 출근했다.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수출이 급감한 사유로 인하여 르노삼성의 올해 1~8월 자동차 판매량은 8만4158대로 작년 동기 대비 26.6% 감소했다.
-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단독]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단체 및 파트너사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장애인 고용률 높이는 프로그램 론칭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장애 포용적 직장 공간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인 ‘장애인 일자리 지원 프로그램(Microsoft Enabler Program)’을 론칭했다. 전 세계 장애인(PWD)이 10억 명이 넘는 상황에서 장애 포용적 고용은 경제 생산성 증가로 이어져 아태지역 GDP가 1~7%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게 United Nations ESCAP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진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5개 국가에서 시범 실시된 후 올해 말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먼저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기업과 단체는 비영리단체로부터 포용적 고용주가 되기 위한 트레이닝을 받게 되고 장애인들을 위해 직업체험, 인턴십, 멘토링, 테크 분야 채용 기회 제공 등의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AI 분야에 필요한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모두에게 포용적인 미래를 지원하기 위해 고용주(파트너), 비영리단체, 장애인 모두에게 필요한 협업 플랫폼을 제공한다. 비백 푸트코드(Vivek Puthucode) 마이크로소프트 아태지역 담당 최고 파트너 책임자는 “최근 각 직장의 업무 환경을 보면 구성원 모두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같은 포용을 위한 수단이 바로 접근성이다. 이는 책임이자 곧 기회이기도 하다. 기술이 사용자의 다양성을 반영한다면 사람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없다”며 “포용적 기업들은 동종 업체들보다 실적이 더 좋으며 인재들을 계속 모으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용성이 어떻게 혁신을 주도하는지에 대한 사례도 계속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
KOTRA "8일부터 온라인 외국인투자기업 채용 설명회
KOTRA "8일부터 온라인 외국인투자기업 채용 설명회 KOTRA는 8일부터 1주일간 ‘제2차 온라인 외국인투자기업 채용설명회’를 연다고 밝혔다.참가 기업은 △제조 △서비스 △정보기술(IT) △판매·유통 등 8개 기업이다. 채용직종은 연구개발, 기술영업,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총괄 등으로 업체별로 약간명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KOTRA는 전했다.온라인 채용설명회를 통해 외투기업과 구직자는 웨비나를 통해 실시간으로 만나게 된다. 구직자는 집이나 학교 등 편한 장소에서 KOTRA 제공 ID로 참가할 수 있다. 설명회에는 외투기업 8개사, 구직자 5000명이 참가한다.8개 참가기업은 제조 분야 3개사, 서비스 분야 3개사, IT 분야 1개사, 판매·유통 분야 1개사다. 스페인·싱가포르 등 국외에 인사담당자가 있는 3개사는 현지에서, 나머지 5개 기업은 한국지사 또는 코트라 사이버 무역상담장에서 온라인 설명회를 진행한다. 채용직종은 연구개발, 기술영업,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총괄 등으로 업체별로 약간명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4월 1차 채용설명회와 마찬가지로 외투기업은 웨비나를 통해 실시간으로 구직자들과 만난다. 구직자는 집, 학교 등 편한 장소에서 코트라가 제공한 아이디(ID)로 참가할 수 있다. 세부사항은 코트라 외투기업채용지원팀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설명회에서는 구직자의 외투기업 취업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특강도 진행된다. 영문 이력서 작성법, 외국계기업 면접 대비요령, 구글코리아·로레알코리아 현직자 토크쇼 등 6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장상현 코트라 인베스트코리아 대표는 "코로나19로 지난 4월 외투기업 채용설명회를 온라인으로 전환했다"며 "1차 행사 때보다 구직자 호응이 커진 만큼 콘텐츠를 더욱 다양하게 개발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