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12(토)

전체기사보기

  • 日 시험대에 오른 對中 통상정책
    지난 9월 16일 중국에 이어 22일에는 대만이 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을 정식을 신청함에 따라, 향후 일본의 對中 통상정책이 시험대에 오르게 되었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은 아시아·태평양 11개 국가가 2018년 3월 칠레에서 결성한 다자간 무역협상으로 원래는 미국을 포함해서 12개국이었으나 미국이 탈퇴하고 일본, 호주, 캐나다 등이 결성했다. 세계 GDP의 약 30%, 무역총액의 약 40%를 차지하는 인구 6억명 규모의 경제권이다. 대만이 TPP 가입을 서두른 배경에는 중국의 정식 가입신청에 따른 것이며, 대만이 중국보다 가입신청이 크게 늦으면 가입 자체가 힘들기 때문이다. 중국이 먼저 TPP에 가입해 버리면, 대만의 TPP참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은 경제적으로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통일 압력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으로부터의 탈피를 서두르기위해서는 TPP 가입으로 대중 경제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중국과 대만의 TPP 가입신청은 자유주의와 권위주의의 패권다툼 양상을 띠는 가운데 일본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대만의 가입신청에 대해 기존 가맹국은 국별로 중국과의 관계에 따라 그 대응에 있어 온도차가 나고 있다. 본래 TPP는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즉 대중 포위망을 기대하고 체결한다. 높은 수준의 자유화와 투자정책의 투명성 확보를 지향하여 중국 주도의 경제 주도권 확대를 견제한다. 중국과 대만이 가입 신청한 가운데, 미국을 다시 불러들려 중국과 대만의 참가 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은 현재 TPP가입에 대해 소극적이나, 중국의 가입 신청으로 미국측의 재고를 재촉할 수 있는 호기다. 중국이 TPP에 먼저 가입하면 미국의 참가가 막힐 수 있으며, 미국이 참여하지 않을 경우 TPP가 중국색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1-09-27
  • 에그리프팅 ‘코레지 2.0’ 리프팅, 4가지 핸드피스로 피부 타이트닝 및 리프팅 부위별 개선 효과 기대
    과거에는 리프팅 시술이라는 것이 상당한 노화가 진행되면서 중, 장년층의 연령대에서 많이 행해지고는 했다. 하지만 동안이 미의 기준이 됨에 따라 최근에는 노화가 제대로 찾아오기 전 초기 안티에이징을 위해 꾸준한 관리를 하고자 리프팅을 하는 이들이 젊은 층부터 시작해 증가하고 있다.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위해 매일 꾸준하게 운동을 하며 심신을 단련하는 것처럼 우리의 피부도 마찬가지로 안티에이징 관리를 진행해볼 필요가 있다. 다만 연령별, 피부 타입별로 노화 상태나 진행 속도가 다르므로 이에 맞는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가운데 개인별 맞춤으로 시술이 가능한 ‘코레지2.0’ 리프팅이 주목을 받는다. 기존의 3가지 핸드피스에다가 새로운 에그 핸드피스를 추가한 총 4가지를 기반으로 부위별 맞춤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초기 노화를 경험하는 젊은 층부터 중, 장년 층 연령대까지 두루두루 적용이 가능하다. 코레지2.0의 원리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안쪽에서부터 개선을 하는 것이다. 4개의 핸드피스에서 나오는 4~64MHz에 16개 다양한 멀티 파장이 피부에 전달이 된다. 기본 핸드피스인 ‘스킨 롤러 핸드피스’는 멀티 파장을 통해 피부의 표피 및 세포를 자극시킨다. 이후 ‘스킨 모노 핸드피스’의 따뜻한 세라믹 스톤으로 피부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킨 글로브 핸드피스’를 통해 부드러운 마사지 효과를 준다. 여기에 추가된 ‘에그 핸드피스’는 피부와 피부 속 중간에 있는 세포에 일정한 음압을 전달하면서 부드럽게 자극없이 피부를 빨아들인다. 개선이 필요한 피부에 정확하게 핸드피스를 밀착하여 파장을 균일하게 전달함으로써 즉각적인 리프팅 및 타이트닝 효과를 선사한다. 피부를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지만 자극이 없는 부드러운 Vacuum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극이 없어 얇고 예민한 피부를 가진 이들도 안심하고 안티에이징 관리를 통해 시술을 받아볼 수 있다. 기존 3가지 핸드피스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더라도 자극없는 에그 리프팅을 통해 충분히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핸드피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피부타입이나 고민, 노화 증상에 따라 맞춤으로 시술이 가능하고, 젊은 연령대는 피부 톤의 개선과 초기 노화 증상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노화 증상이 어느정도 나타난 이들도 보다 쫀쫀한 개선과 더불어 탄력감을 높여볼 수 있다. 홍대 고운세상피부과의원 박종갑 원장은 “에그 핸드피스가 추가된 코레지리프팅은 파장 에너지를 전달하여 피부가 스스로의 힘을 회복하는 것이 원리이기 때문에 단순한 노화 증상 개선만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피부가 튼튼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술”이라며 “저마다 피부 상태에 걸맞은 핸드피스와 에너지를 사용한다면 오랜 시간 효과가 유지되어 깐 달걀처럼 매끄러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INTERVIEW
    • Hot Issue
    2021-09-27
  • EU 집행위, 휴대전화 등 충전단자 표준화 법안 발표
    EU 집행위는 23일 휴대전화, 태블릿 등 전자장비 충전단자 표준화 법안을 발표했다. 법안은 소비자편익 증진과 전자 폐기물 감소 등 목적으로 휴대전화 등 전자장비 충전단자를 'USB-C/USB PD' 단자로 표준화하는 내용이다. 법안의 표준화 대상은 휴대전화, 태블릿 등 전자장비 등이며, 무선충전기 등은 제외되었으나, 향후 필요시 집행위 위임입법으로 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법안은 '번들링 판매금지조항(anti-bundling provisions)'을 포함, 휴대전화와 충전기의 묶음 판매를 제한하고 있으나, 개별구매 선택이 부여될 경우 묶음 판매가 허용된다. 집행위는 2009년 업계와 충전기 표준화를 추진, 업계와의 합의를 통해 당시 사용되던 30여종의 충전단자를 3종으로 축소했다. 2014년 해당 합의 만료 직전 유럽의회가 무선장비지침(RED)에 근거, 충전단자 표준화 의무화를 요구한데 대해, 집행위는 업계 자율 표준화를 목표로 업계와 관련 협상을 시도했으나 2018년 협상이 재차 실패한 바 있다. 한편, 법안은 2024년 발효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으며, 발효 후 제품 충전단자를 대거 교체해야 하는 애플이 커다란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애플은 충전단자 표준화가 제품 혁신에 지장을 초래하고 단자 교체에 따른 대량의 폐기물 발생을 이유로 표준화에 반대 및 도입 시기 유예를 요구해 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1-09-27
  • 한국 기업, 1~8월 對베트남 투자액 24억 달러 이상 기록
    올해 1~8월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한 금액은 24억 3천만 달러 이상으로 총 등록자본 기준 싱가포르와 일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한국 기업은 251개의 신규 프로젝트에 7억 5,9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였으며 179개 기존 프로젝트에 1조 1,800억 달러를 추가 투입했다. 한국 기업의 자본출자 및 주식매입 금액은 4억 9,446만 달러다. 코로나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하는 신규 프로젝트 수와 자본을 추가 투입하는 프로젝트 수가 증가했다. 한국 기업의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은 지역은 박닌(Bac Ninh)성이다. 베트남 내 약 60개 지역에서 한국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은 박닌(Bac Ninh)성은 957개 프로젝트, 총 107억 달러를 투자를 유치했다. 이는 베트남에 대한 동북아시아 국가의 총 투자액의 14.9%에 해당한다.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통계 집계 이래 베트남의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는 한국으로 밝혀졌다. 현재까지 한국은 베트남에 723억 4천만 달러 규모의 9,159개의 유효 프로젝트 진행으로 베트남의 가장 큰 외국인 투자자다. 한국 기업의 프로젝트는 가공 및 제조 산업에 집중되어 있으며 동산업에 총 4,543개의 프로젝트, 531억 달러 투자액을 기록하며 한국의 對베트남 전체 투자액의 73.5% 비중을 차지했다. [출처:https://en.vietnamplus.vn/rok-firms-pour-2-43-billion-usd-into-vietnam-in-eight-months/208511.vnp]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1-09-27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