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16(금)

전체기사보기

  • 공정거래위원회, 카카오-에스엠 기업결합 신고 접수
    공정거래위원회는 2023년 4월 26일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로부터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주식 취득 관련 기업결합 신고를 접수했다.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인터넷 포털 사이트 ‘다음(Daum)’을 운영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배우․가수 매니지먼트, 음원․음반 제작, 음원 플랫폼 서비스(멜론), 웹툰․웹소설 플랫폼 서비스(카카오페이지), 영상(드라마․영화) 콘텐츠 제작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에스엠엔터테인먼트는 K-POP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가수 매니지먼트, 음원․음반 제작, 팬 플랫폼 서비스(디어유 버블), 영상 콘텐츠 제작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이 건 기업결합은 플랫폼 및 종합 콘텐츠 기업과 K-POP 콘텐츠 기업 간 결합으로 여러 시장에서 수평․수직․혼합 결합이 발생한다. * 예 : ① 수평결합 : 가수 매니지먼트 분야에서 SM(NCT, 에스파 등)과 카카오의 스타쉽엔터테인먼트(아이브, 몬스타엑스 등) ② 수직결합 : SM의 음원․음반 제작과 카카오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멜론) ③ 혼합결합 : SM의 팬 플랫폼(디어유 버블)과 카카오의 플랫폼(카카오톡, 멜론 등) 이 건 기업결합이 향후 K-POP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공정거래법에서 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면밀히 심사할 계획이다. 기업결합 심사 기간은 신고일로부터 30일이고, 필요한 경우 90일까지 연장(자료 보정기간은 불산입)이 가능하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3-04-26
  • 삼성전자, LG전자, 카카오와 손잡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안심 이용 문화 키운다
    삼성전자·LG전자·카카오,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정보 표준화 협약 체결 (서울=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삼성전자, LG전자, 카카오와 손을 잡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정보 3만여 건을 개방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안심하고 이용하는 문화를 키운다. 이를 위해 4월 26일, 3개 사와 저작위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정보 공유 및 협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문체부 전병극 제1차관은 업무 협약식에 참석해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문체부는 저작위와 함께 국내 소프트웨어 업계 개발 역량을 높이고, 저작권 침해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정보 확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라이선스 정보와 검사 도구 제공 등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민간 기업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삼성전자, LG전자, 카카오는 각 사가 자체적으로 구축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정보 3만여 건을 민간에 공개하고 10월부터 서비스할 예정이다. 관련 정보는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업계 경쟁력, 나아가 K-컬처 창조성과 경쟁력 향상에 기여 전병극 차관은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오랫동안 공유를 통한 열린 성장의 생태계를 구축해왔고 그 핵심이 오픈소스이다. 최근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이 주목받는 상황에서 오픈소스 공유문화는 선도적인 시도였다.”라며, “기업들의 참여 확대와 정부 지원으로 중소기업의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소프트웨어 업계 전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소프트웨어가 게임, 웹툰 창작 등 콘텐츠와 스마트 관광, 스포츠 과학까지 다양한 영역과 고도로 융합되어가고 있어 향후 K-컬처의 창조성과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3-04-26
  • 메디사피엔스등 중소벤처기업 경제사절단을 위한 '세계적(글로벌) 중소기업인의 밤' 개최
    중소벤처기업부는 미국 워싱턴 디씨(D.C.)에서 현지시간 4.25일에 중소벤처기업 경제사절단을 격려하고 수출계약 ‧ 인수합병(MOU) 등 실질성과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세계적(글로벌) 중소기업인의 밤’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됐다.(❶, ❷, ❸) ❶ (기술이전계약 및 인수합병(MOU) 체결식) 이번 행사를 계기로 생명건강(바이오)‧건강관리(헬스케어), 인공지능(AI), 지능형(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업종의 한국 중소벤처기업과 미국 기업 간에 총 6건의 기술이전계약 및 인수합병(MOU)가 체결됐다. 각 협약별 주요내용 및 기대효과는 아래와 같다. (1) 디엔디파마텍은 미국 MetSera사와 당뇨·비만 경구형치료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했다. MetSera사는 디엔디파마텍으로부터 이전된 기술에 대해 임상실험 진행, 미국 식품의약국(FDA) 심사 등 상용화를 추진한다. 디엔디파마텍은 이번 계약을 통해 130억원을 계약금 형태로 지급받고 추후 임상 성공 여부에 따라 최대 5,500억원까지 지급받는다. (2) 메디사피엔스는 Sharp병원 그룹과 합작 투자(조인트 벤처) 설립 인수합병(MOU)을 체결했다. 동 인수합병(MOU)를 통해 메디사피엔스는 국내 최초로 미국 내 거점병원과 합작 투자(조인트 벤처)를 설립, 미국 유전자분석 서비스 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대모엔지니어링은 ASTEC사와 전자식‧유압식 지능형(스마트)브레이커 제품의 북미시장 런칭 및 판매활성화를 위한 인수합병(MOU)를 체결했다. 대모엔지니어링의 지능형(스마트)브레이커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통해 암반의 성격을 파악, 스스로 타격력과 타격수를 조정하는 제품으로 6년간의 기술개발(R&D) 끝에 개발됐다. (4) 하렉스인포텍과 Consilient는 공유형 인공지능(AI) 개발 및 확산을 위한 양사 간 교류ㆍ협력을 골자로 하는 인수합병(MOU)를 체결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 시험(파일럿) 사업(프로젝트)을 추진할 계획이다. (5) 에이슬립은 ①스탠포드 의과대학 및 ②미 국립수면재단(NSF)과 숙면기술(슬립테크) 분야 협력 인수합병(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숙면기술(슬립테크) 기술 활성화 공동연구, 수면진단‧해석 표준화 협력 등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❷ (기업 우수사례 발표) 미국 진출을 고려하는 경제사절단 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미국 현지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기업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① 워싱턴 디씨(D.C.) 글로벌비스니스센터(GBC)에 입주하여 미 국립보건원(NIH) 보조금프로그램에 선정되는 등 성과를 거둔 분자진단도구(키트) 생산기업 위즈바이오솔루션, ② 해상용 안테나 1위 기업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③ 국내 최초 아마존의 협업 창업기업(스타트업)으로 선정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 수면관리 해결책(솔루션)개발업체 에이슬립 총 3개 기업이 각 10분간 발표를 진행했다. ❸ (교류(네트워킹) 만찬) 국빈 방문에 동행한 경제사절단 중소‧벤처기업과 인수합병(MOU) 체결 등을 통해 협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미국 기업 및 협회, 그리고 미국 내 한인 경제단체인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이하 미주한상총연)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영 장관이 주재하는 교류(네트워킹) 만찬행사가 진행됐다. 교류(네트워킹) 만찬에서는 오는 10월 미국 엘에이(LA)에서 개최예정인 ‘2023년 세계 한상대회’에 대해 행사 주최단체인 미주한상총연의 황병구 회장이 임석하여 세계한상대회에 대한 홍보도 병행했다. 미주한상총연 황병구 회장은 “그간 한국에서 개최되던 세계한상대회가 최초로 미국 본토에서 개최되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며, “교류(네트워킹) 행사에 참여한 경제사절단 중소‧벤처기업과 미국 현지 기업 및 협회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영 장관은 “오늘 행사를 통해 한국 중소벤처기업이 미국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며, “차세대 대한민국의 신성장동력으로서 중소벤처기업이 미국 등 세계를 무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를 비롯한 정부가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3-04-26
  • 송파구, Fairfax County 경제개발청과 함께 중소기업 美진출 돕는다 …'미국진출 전략 및 지원정책 설명회'성료
    송파구는 미국진출에 관심 있는 관내 중소기업을 지원하고자, 미국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 경제개발청(FCEDA)과 공동 주최로 '미국 진출 전략 및 지원정책 설명회'를 24일 개최했다.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는 미국 수도인 워싱턴 DC에 인접해 있으며, 미국 동부의 실리콘벨리로 불리는 혁신 및 기술 중심지로 현재 80개가 넘는 한국 기업이 페어팩스 카운티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송파구와는 2009년 자매결연을 맺고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를 공동 주관한 페어팩스 카운티 경제개발청(FCEDA)은 2004년부터 미국 시장 진출 및 사업 확장을 계획하는 한국 기업에게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구는 역량과 가능성을 가진 관내 중소기업에게 미국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페어팩스 카운티 경제개발청과 함께하는 '미국 진출 전략 및 지원정책 설명회'를 기획했다. 이날 설명회는 송파구 문정비즈밸리 일자리허브센터에 관내 45개 중소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2시간 동안 진행됐다. 서강석 송파구청장과 빅터 호스킨스(Victor Hoskins)페어팩스 카운티 경제개발청장의 인사말씀을 시작으로 크리스티 육(Christy Youk)경제개발청 아시아총괄 담당관이 ‘미국시장 진출전략 및 우수사례’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미국 진출 전 기업이 준비할 사항, 현지 법인 설립 시 필요사항, 미국 클라이언트를 겨냥한 마케팅 방법, 미국 시장에서의 효과적인 영업 전략, 비즈니스 초기 세팅 지원 등 미국시장 진출에 꼭 필요한 사항들을 실제 우수사례들과 함께 상세하고 꼼꼼하게 안내했다. 강연 이후에는 개발청 관계자와 참가 기업 간 질의응답 및 교류의 시간이 이어졌다. 관내 중소기업들은 미국 동부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는 페어팩스 카운티 개발청과 직접 소통하며, 법인 설립 후 현지에서 좋은 팀을 꾸릴 수 있는 방법부터 미국 시장 타깃 판매 물품의 홍보 방법, 현지 물가와 날씨, 맛집까지 생생한 조언을 얻는 귀중한 자리가 됐다. 구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관내 중소기업들이 현지 관계자들과 성공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효율적인 사업 확장 전략을 수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강석 송파구청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관내 중소기업들이 미국시장에 진출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송파구 전략 목표인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업지원책을 마련하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3-04-26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