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식 혈액형 가운데 B형과 AB형을 가진 사람이 다른 혈액형을 가진 사람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센터 연구팀은 2006년 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소화기센터에서 비(非) 분문부(non-cardia)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 997명과 대조군 1147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헬리코박터'(Helicobacter)‘ 최근호에 게재됐다.비 분문부 위암은 식도와 위가 접해있는 주머니 모양 부분을 제외한 위의 나머지 부분에서 발생한 암이다.연구팀은 위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균 감염 여부, 헬리코박터 제균력, ABO혈액형, 성별, 나이, 위암 가족력, 식생활 등 14개 요소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B형(BB, BO)과 , AB형 환자군이 다른 혈액형의 환자군보다 위암에 걸릴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B형 유전자가 2개인 B형(BB)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46%, B형 유전자가 1개인 B형(BO)형과 AB(AB)형은 위암 발생 위험이 각각 27% 낮았다. 특히 B형(BB)에서는 암세포가 깨알같이 작은 크기로 군데군데 퍼지면서 생기는 '미만형 위암'의 발생률은 다른 혈액형보다 61%까지 줄었다.
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양성 환자라도 제균 치료를 받으면 안 받은 경우보다 위암 발생률이 약 65%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견과 치료가 어려운 미만형 위암 환자군에서는 위암 발생률이 80%나 줄어드는 등 제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김나영 교수는 "혈액형과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여부에 따라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이 차이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됐다"며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했다.
[단독취재] 서비스플랜코리아, 부산국제광고제 최초로 한국 출품작 공익광고부문 ‘올해의 그랑프리’ 수상
Serviceplan Korea 한국대표이사 사장 강지현 (Julie Kang) -사진제공
부산국제광고제 역사상 최초로 공익광고 부문에서 한국 출품작인 서비스플랜 코리아가 출품한 닷 인코퍼레이션(Dot Inc.)의 ‘닷 트랜스레이트’가 ‘올해의 그랑프리’를 수상했다.출품작은 닷코포레이션과 함께한 닷점자번역AI엔진 캠페인이고 그외 Creative eCommerce 부문에서 SK hynix가 Finalist 에 올랐고, Branded Entertainment 부문에서 P&G Pampers 캠페인이 Finalist 에 올라 2개의 실버, 1개의 브론즈, 1개의 크리스탈, 5개의 파이널리스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사)부산국제광고제조직위원회가 일반인 부문 40편과 광고인 부문 625편을 포함, 총 665편의올해 수상작을 발표했다. 이번 수상 결과는 전 세계에서 출품된 20,028편의 광고 작품 가운데 본선에 오른 1,651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직 세계 유명 광고인들로 구성된 본심 심사위원단이 2차에 걸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였다.매년 각 부문 최우수 광고에 수여하는 ‘올해의 그랑프리’에는 총 2편의 광고 작품이 이름을 올렸다. 먼저 공익광고(PSA) 부문에는 한국의 서비스플랜 코리아가 출품한 닷 인코퍼레이션(Dot Inc.)의 ‘닷 트랜스레이트’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제품서비스(P&S) 부문은 아랍에미리트의 임팩트 BBDO가 출품한 안나하르(An-Nahar) 신문의 ‘더 뉴 내셔널 앤썸 에디션’이 수상했다.‘닷 트랜스레이트’는 2015년 세계 최초 시각 장애인용 점자 스마트워치를 선보이며 세계의 눈길을 끈 국내 스타트업 기업 ‘닷 인코퍼레이션’의 인공지능 기반 최초의 점자 번역기다. 닷의 혁신적인 기술이 잘 드러나 있는 해당 광고 작품은 한국의 뛰어난 기술력이 세계적 아이디어와 만난 사례라 할 수 있다. 심사위원들로부터 현대 사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시각 장애인들이 다양한 콘텐츠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정보와 교육 불평등 현상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 아이디어라는 평가를 받았다.
[단독] 2025년도부터 버튼만 루르면 자동차가 자동으로 발레파킹 가능
집근처 나 사무실 근처 앞에 차를 대놓고 버튼만 누르면 자동차가 알아서 스스로 지하주차장내 빈 공간을 찾아 ‘발레파킹’이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이는 AI(인공지능)를 결합한 차세대 반도체가 개발되는 5년쯤 뒤 (2025년) 엔 실제 벌어질 일이다.
김경수 넥스트칩 대표는 “2016년 기준 가장 높은 등급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탑재차량에는 센싱 카메라 11개가 들어갔다”며 “향후 완전자율주행차에는 25개 이상 카메라가 설치될 것으로 보이는데 AI를 통해 인식률을 높이는 게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차 센서는 차량 뒷 범퍼에 설치되는 울트라소닉(초음파)부터 라이다(레이저활용 레이다), RF(무선주파수) 레이다, 카메라 등 다양하다. 이중 센싱 카메라는 2026년까지 시장규모가 130억 달러로 커지고 2030년대에는 전체 차량용 센서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자율주행차는 최근 전세계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치열한 기술경쟁을 벌이는 분야다. 넥스트칩은 독자 ISP(영상신호처리 프로세서)에 AI 기술을 더한 자율주행용 카메라 센서 칩셋을 개발해 세계시장을 두드릴 계획이다. 정부의 AI 반도체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제품개발 로드맵에 힘을 보탠다.
자동차 업계와 IT 업계간 자율주행 차량용 AI반도체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엔비디아, 인텔 등 IT 기업들은 중앙집중형 AI칩셋에 주력한다. 이들은 다양한 차량 센서들이 취득한 데이터를 중앙의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택한다. 한마디로 차량 서버를 올리는 개념이다. 반면 자동차 업계는 엣지 컴퓨팅 즉 데이터 처리를 중앙 서버가 아닌 주변(edge)의 칩셋에서 분산 처리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넥스트칩은 후자를 지향한다.
김 대표는 “중앙집중형 모델은 가격과 전력소모 효율성 면에서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게 대부분 자동차 메이커들의 입장”이라면서 “엣지의 경우 ISP칩에서 바로 영상데이터를 처리해 중앙으로 보내는 형태인데 전력소모가 적고 데이터 처리가 빠른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집중형은 고장시 차량 수리비가 많이 나오는 등 유지보수와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넥스트칩이 주관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엣지용 반도체 개발사업도 엣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범용 고성능 NPU(신경망처리장치)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김 대표는 “정부과제 참여로 연구개발(R&D)에 그나마 숨통이 트이게 됐다”며 “정부가 꾸준히 관심을 갖고 AI반도체 개발을 지원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중관춘온라인에 따르면 중국 바이두의 리옌훙 최고경영자(CEO)는 'AI 개발자대회 2019'에서 '발렛파킹(ValetParking) 셀프 주차 솔루션'을 적용한 차량이 연내 양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발렛파킹 셀프 주차 솔루션을 적용하면 운전자가 차에서 내린 이후 차량이 스스로 차도를 따라 주차장에 진입, 주차를 완료할 수 있다. 운전자는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해 원격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고, 주차된 차량을 주차장 밖 차주가 소재한 위치로 불러낼 수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차량은 스스로 주행 중 장애물을 발견하거나 앞 차량이 있으면 기다리거나 멈출 수 있다. 돌발상황에도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안전하다고 바이두는 설명했다. 인도를 걷는 행인은 장애물이 아닌 것으로 식별할 수 있는 기능도 보유했다.
주차 공간을 찾기 힘든 운전자와 달리 손쉽게 주차 공간을 찾아낸다. 바이두는 이를 두고 '마지막 1km의 자유'라고 일컫었다.
리 CEO는 "발렛파킹 셀프 주차 솔루션은 이미 여러 자동차 기업의 주문을 받았다"며 "올해 양산돼 서비스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