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7(월)
 
한국무역협회

 

 

유럽 9개국은 24일(월) 북해 해상풍력 발전 역량을 2030년 최소 120기가와트(GW), 2050년 최소 300GW로 확대하는 이른바 '오스텐드 선언(Ostend Declaration)'을 발표했다.

벨기에,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 아일랜드, 프랑스 및 룩셈부르크와 비EU 회원국인 노르웨이 및 영국 등이다.

동 선언은 작년 벨기에, 덴마크, 독일 및 네덜란드가 (발표한) 2050년 북해 해상 풍력 발전 역량 150GW 공동 프로젝트에서 5개국이 추가, 발전 역량 목표(를) 2배 확대하는 내용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북해가 EU 전체 에너지 수요 20%, 친환경 수소의 40% 공급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선언문에서 참가국들은 러시아에 의해 촉발된 에너지 위기 극복, 유럽 에너지 안보 강화 및 친환경 풍력 발전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이 동 선언의 목표임을 강조했다.

또한, 해상 풍력 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수소 생산에 활용함으로써 북해에 인접하지 않은 유럽 국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방침이며, 이를 위해 동 선언문은 수소 인프라 및 효율적인 수소 시장 구축을 추진할 것임을 언급했다.

참가국들은 해상 풍력 발전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및 전력 연결을 북해에 한정하지 않고, 대서양, 켈트 해, 아일랜드 해 등으로 확대하는 데 노력할 것임을 천명했다.

동 선언에 참여한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은 태양광 산업구조의 전례를 지적하며, 유럽 산업 중심의 풍력 발전 생태계 구축을 강조했다.

네덜란드 루터 총리와 독일 숄츠 총리도 풍력 산업의 허가시스템 개선과 중국에 대한 핵심 광물 원자재 의존을 개선해야 함을 지적했다.

이와 관련, 유럽 풍력 발전 업계 단체 '윈드유럽(WindEurope)'은 작년 유럽 5개 풍력 터빈 제조사 모두 손실을 기록한 것과 관련, 느린 허가 절차, 공급망 위기, 국제 경쟁 및 비효율적인 (전력) 옥션 시스템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선언문은 최근 노르트스트림1 가스관 폭파 사건 등 해상 풍력 인프라 보안에 대한 우려를 제기, 인프라 보안이 해상 풍력 발전 프로젝트 일부 요소에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EU 집행위도 NATO 등과 협력, 해상 인프라 보안 태세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5124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유럽 9개국, 2050년 북해 해상 풍력 300GW 확대 공동 협력 추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