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7(월)
 
산업통상자원부와 업종별 산업협회 관계자가 29일 서울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제22차 산업자원안보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상하이 봉쇄 조치에 따른 우리 기업 현황과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는 3.29일 박진규 제1차관 주재로 「제22차 산업자원안보 TF」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수출통제, 무역투자, 공급망 등 분야별 기업 대응창구를 운영하며 산업계, 유관기관 등과 상시적 소통 노력을 지속해왔다.

금번 회의는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과 지난 3.27(일) 발표된 상하이시 봉쇄조치에 따른 우리 기업의 애로 및 국내 공급망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검토하기 위해 개최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중국은 3월 중순부터 확진자가 급증하는 등 다수 지역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으며, 지린성 창춘시, 산둥성 웨이하이시, 광둥성 선전시 등에 이어 지난 3.27일에는 상하이시 전면 봉쇄를 발표했다.

동부 지역(3.28(월)5시~4.1(금)5시), 서부 지역(4.1(금)3시~4.5(화)3시)으로 나누어 각 4일간 봉쇄를 실시하고 코로나19 전수 검사 시행 / 봉쇄 구역의 거주민(총 2.5천만명)은 이동이 제한되며, 물·전기·연료 등 공공부문 外 재택근무로 전환했다.

참석자들은 우리 기업에 물류, 출·퇴근, 부품수급 등 애로는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공급망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우리 기업이 밀집한 산둥성 웨이하이시, 광둥성 선전시 등은 확진자 감소로 봉쇄가 해제되는 등 정상화되고 있으며,새롭게 봉쇄가 발표된 상하이시의 경우 우리 진출 기업 대다수가 영업·서비스법인이고, 식품·화학·화장품 등 일부 생산법인이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 업종이 현지생산, 부품수급 등에 차질이 없으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재고를 늘리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다.

상하이항 등 주요 항만의 경우 방역이 추가로 강화되었으나, 선박 입·출항 및 하역 등은 정상 운영 중이다.

다만, 봉쇄 장기화시에는 검역 강화로 인한 하역인력 부족, 화물트럭 진·출입 애로, 부두 저장 한계 도달, 선사운항 감축 등 물류차질 이 우려되고있다.

박진규 차관은 “중국 코로나19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는 바, 상황을 예단하기는 이른 만큼 우리 기업들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방역 강화, BCP계획 수립, 재고확대 등 철저히 대비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정부는 봉쇄조치시 한국기업의 정상조업이 가능하도록 현지공관-KOTRA 무역관-무역협회 지부-한국상회간 유기적 협업체계를 가동”하고, “소재부품 수급대응 지원센터를 통해 기업의 수급애로를 적시에 발굴·지원하는 등 공급망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태그

전체댓글 0

  • 2987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업통상자원부, 중국 상하이시 봉쇄에 따른 공급망 영향 점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