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7(월)

Home > 

실시간 기사

  • 속보레이저, 크리에이터와 게이밍을 모두 만족시킬 프리미엄 노트북 RAZER BLADE 4K 출시
    레이저, 크리에이터와 게이밍을 모두 만족시킬 프리미엄 노트북 RAZER BLADE 4K 출시 게이머를 위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도하는 글로벌 게이밍 기어 브랜드 레이저(Razer)가 크리에이터와 게이밍 유저를 모두 만족시킬 노트북을 6월 30일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이번에 출시되는 ‘RAZER BLADE 시리즈’는 게이밍 기어로 기술력을 인정받은 레이저의 기술과 다양한 퍼포먼스 및 감성으로 많은 소비자의 사랑을 받았던 기존 RAZER 게이밍 노트북의 장점을 집약한 제품이다. ◇300㎐의 높은 주사율과 17.3형의 대화면에서 즐기는 게이밍 노트북, RAZER BLADE Pro 17 10Gen RAZER BLADE Pro 17 10Gen은 모든 프레임을 잘 주시해야 하는 게이머에게 필요한 스펙을 갖추기 위해 기존 240㎐의 주사율보다 높은 300㎐의 주사율을 지원한다. 특히 인텔 코어 10세대 i7-10875H의 최신 프로세스와 엔비디아 RTX 2070 Max-Q와 RTX 2080 SUPER Max-Q 그래픽 카드를 장착해 게이밍 성능에서 절대 밀리지 않는 고성능 스펙을 갖췄다. 콤팩트한 사이즈에 슬림 베젤로 17.3형의 대화면을 장착해 언제 어디서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크리에이터를 위한 쿼드로 그래픽 카드와 4K OLED 노트북, RAZER BLADE 15 STUDIO EDITION 10Gen RAZER BLADE 15 STUDIO EDITION 10Gen은 기존 게이밍 노트북과 달리 전문 크리에이터의 작업에 맞춰진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로 알려진 쿼드로 RTX 5000 16GB를 장착했으며 기본 32GB Dual RAM과 1TB NVMe SSD를 사용해 빠른 작업 속도와 넉넉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크리에이터나 사진작가 등에게 가장 중요한 디스플레이를 OLED Touch 패널로 사용해 4K UHD 해상도를 지원하고 100% DCI-P3의 색재현율을 보여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색감을 제공해 영상 및 사진의 퀄리티를 높여 준다. ◇크리에이터와 게이밍 유저를 모두 만족시킬 4K OLED 게이밍 노트북, RAZER BLADE 15 Advanced 10Gen 4K RAZER BLADE 15 Advanced 10Gen 4K는 기존 Advanced 모델의 성능을 모두 갖췄으면서 4K OLED 디스플레이로 크리에이터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게이밍 노트북이다. 인텔 코어 10세대 i7-10875H의 최신 프로세스와 엔비디아 RTX 2080 SUPER Max-Q 그래픽 카드를 장착해 게이밍 성능을 극대화했다. 4K OLED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고 DCI-P3 100%의 색 영역을 커버해 콘텐츠 작업 등에도 특화된 제품이다. 레이저는 미국 어바인과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게이머를 위한 라이프 스타일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2005년에 설립됐다. 전 세계 3500만 이상의 게이머에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게이밍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PC 기반의 게이밍은 물론 플레이스테이션, XBOX, 모바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플랫폼에서 세계 최대 게이머들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 NEWS & ISSUE
    • Culture
    2020-06-27
  • 아이언소스, 30일 ‘광고 수익 측정’ 웨비나 개최
    아이언소스, 30일 ‘광고 수익 측정’ 웨비나 개최 글로벌 모바일 마케팅 및 수익화 기업 아이언소스(ironSource)는 모바일 측정 및 해킹 분야 전문 기업 애드저스트(Adjust)와 함께 30일 ‘광고 수익측정 웨비나’를 진행한다.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며 연이어 행사가 취소되는 시기에 게임 유저 유입 및 수익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개발자와 모바일 마케터를 대상으로 인기 개발사들의 광고 수익 측정(ARM) 성공 비결을 소개할 예정이다. 6월 30일 화요일 오후 5시부터 약 70분 간 진행될 예정인 이번 웨비나는 아이언소스 김세준 한국 지사 대표와 애드저스트 장준경 한국 지사장이 직접 광고 수익 분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바일 마케터를 위한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광고 수익 측정, 다양한 데이터 분석 및 성과 측정, 광고 비용 대비 수익률 (ROAS) 최적화 등 다양한 주제의 개발자 사례와 활용법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웨비나에서 소개할 ‘광고 수익 측정 기능’은 각 디바이스와 임프레션에서 확보된 모든 광고 네트워크 및 광고 단위에 대한 정확한 광고 수익을 측정할 수 있다. 아이언소스 김세준 대표는 “이번 웨비나는 개발자와 모바일 마케터들이 효과적으로 더 많은 유저들을 앱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 기획됐다”며 “앞으로도 국내 개발자들과의 다양한 소통의 자리를 만들어 앱 수익화 및 유저 유입 등 다양한 궁금증을 풀어드리겠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6-27
  • 스타벅스커피코리아 ‘국가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 친환경경영상 부문 대상
    스타벅스커피코리아 ‘국가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 친환경경영상 부문 대상 스타벅스커피코리아(대표 송호섭)가 제14회 국가지속가능경영 우수기업에서 친환경경영상 부문 대상을 7년 연속 수상했다. 스타벅스는 전국 매장에서 수거되는 커피찌꺼기를 이용하는 자원선순환 캠페인을 통해 지역사회 환경과 우리 농가를 위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스타벅스는 2015년부터 경기도와 우리 농산물 소비촉진과 자원 재활용을 위한 상생협력을 맺고, 커피찌꺼기를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퇴비를 지역 농가에 제공해 양질의 농산물 수확에 기여하고 농가의 이익에 기여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2016년 4월에는 업계 최초로 환경부, 자원순환사회연대와 협력해 커피찌꺼기 재활용 활성화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전국 매장에서 발생되는 커피찌꺼기를 전문 업체를 통해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한 바 있다. 지난 2019년부터 개점 20주년을 맞아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하기 위해 전국 20개의 숲과 공원에 2만 그루의 나무 심기를 후원하면서 환경 기금 2억원을 서울그린트러스트에 전달한 바 있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6-26
  • 셀트리온, FT가 뽑은 포스트 코로나 세계 100대 기업
    셀트리온, FT가 뽑은 포스트 코로나 세계 100대 기업 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구글 로고. © AFP=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와중에 주가가 급상승한 기업들의 행보가 돋보이고 있다. 전 세계 증시는 올 들어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알파벳, 텐센트 등 정보통신(IT) 공룡들은 연일 상승세를 타며 오르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5일(현지시간) 집계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서 번영하는 세계 100대 기업'에서 "대부분의 기업들에게 암울한 해로 기록된 2020년, 소수의 기업이 빛을 발했다"고 분석했다. 거대 기술 기업들이 재택근무로 수혜를 입었고, 봉쇄령 기간 생필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사람들이 폭증하면서 소매기업들의 주가가 껑충 뛰었다. FT는 올초부터 6월 중순까지 시가총액 증액분에 대해 세계 기업 순위를 정리했다. 세계 투자자들이 코로나19 이후 성장할 기업을 어떻게 보고있는지 보여주는 내용이다. 인터넷 소매, 클라우드 컴퓨팅, 소셜미디어, 제약, 게임 분야 기업이 많았다. 10위권 대부분은 아마존과 MS, 애플,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 등 미국 서부 실리콘밸리 IT 기업들이 차지했다. 100대 기업 전체로 봐도 절반에 가까운 47개가 미국 기업이었다. 중국 기업은 메신저 앱 '위챗' 운영사인 텐센트(5위), 전자상거래 기업 핀둬둬(11위), '중국판 요기요' 메이투안디엔핑(13위) 등 총 24개 기업이 순위권에 들었다. 100위 안에 든 한국 기업은 총 3곳이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세계 10위이지만, 시가총액 증액 순위에서는 세계 3위인 일본과 같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6개월간 시가총액이 200억달러 증가해 31위에 올랐다. 코로나19 중성화 항체 제품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12개월 만에 주가가 150% 올랐다.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로 주목 받은 셀트리온은 시가총액을 108억달러 늘려 72위에 올랐다. 올해에만 주가가 60% 뛰었다. FT는 "투자자들은 일본의 경쟁사 다케다제약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18개 제품 사업권을 인수한 데 대해 낙관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LG 화학은 시가총액을 93억달러 늘려 88위에 올랐다. 주가는 지난 3월 3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이후 110% 이상 상승했다. FT는 " LG 화학의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10%에서 올해 3분의 1을 넘어섰다"며 "경쟁사인 일본 파나소닉을 제치고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할 태세"라고 소개했다.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47개로 가장 많았고, △ 중국 24개 △ 네덜란드 5개 △한국, 일본, 스위스, 캐나다가 3개로 공동 4위를 기록했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6-26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