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7(금)

Home > 

실시간 기사

  • 그룹 방탄소년단(BTS) 소속사 빅히트, 美라이브 스트리밍 솔루션 기업 키스위(Kiswe)와 글로벌 MOU
    빅히트, 美라이브 스트리밍 솔루션 기업 키스위(Kiswe)와 글로벌 MOU 6월 14일 방탄소년단 온라인 실시간 공연 '방방콘 The Live' 통해 첫 협업 공개 그룹 방탄소년단(BTS) 소속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장 방시혁, 이하 '빅히트')가 미국의 라이브 스트리밍 솔루션 기업 키스위 모바일(Kiswe Mobile, 대표 마이크 샤벨, 이하 '키스위')과 손을 잡았다. 9일 빅히트와 키스위는 “지난 8일 빅히트의 윤석준 Global CEO와 키스위 회장이자 창업자 김종훈 박사, 마이크 샤벨 대표가 업무협약(MOU)을 맺고 양사간 글로벌 파트너십을 약속했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전 세계 팬 경험의 혁신을 추구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사업 및 서비스 확장에 시동을 건다. 특히 빅히트의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며 '음악 산업의 원스톱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전략적 제휴는 양사 역량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전 세계 음악 팬들에게 더 즐겁고 폭넓은 공연 경험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이뤄졌다. 빅히트의 강력한 콘텐츠 기획력 및 아티스트 IP(지적재산권)와 키스위의 기술력이 만나, 변화하는 글로벌 공연 환경에서 팬들이 최적의 방식으로 즐겁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즈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선보여 나갈 예정이다.그 첫 협업 프로젝트는 ‘멀티뷰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시작한다. 오는 14일 방탄소년단의 온라인 실시간 공연 ‘방방콘 The Live’에서 6개의 앵글을 한 스크린에 제공해 원하는 화면을 선택해 볼 수 있는 멀티뷰 서비스를 선보인다. 키스위는 전 벨 연구소 대표인 김종훈 박사와 윔 스웰든, 지미 린이 2013년 공동 창업한 글로벌 기업이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스포츠 중계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시청할 수 있는 ‘멀티뷰 라이브 스트리밍’ 원천 기술과 클라우드 서버를 기반으로 한 멀티채널 융합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고화질, 고음질의 영상도 적은 용량으로 끊김 없이 효율적으로 전달해 미국 프로농구(NBA) 등 많은 글로벌 이벤트의 라이브 스트리밍 중계를 진행하며 풍성한 디지털 영상 경험을 제공해 왔다. 빅히트는 키스위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글로벌 팬들에게 빅히트만의 강력한 콘텐츠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한다는 목표다. 빅히트는 지난 4월 진행한 방탄소년단 온라인 스트리밍 축제 ‘방방콘’과 오는 14일 열리는 온라인 실시간 공연 ‘방방콘 The Live’ 등 팬들의 즐거움을 극대화 하는 콘텐츠 기획 역량을 토대로, 앞으로 키스위와 함께 콘텐츠 특성과 팬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새로운 공연 관람 방식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윤석준 Global CEO는 “이번 협약을 통해 빅히트의 콘텐츠와 기획력, 키스위의 기술력이 만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혁신의 가능성을 열었다”며 “팬들의 니즈를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는 빅히트의 철학에 따라, 파트너십 시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점을 찾고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해 선보이겠다”고 강조했다. 키스위 마이크 샤벨 대표는 “키스위와 빅히트의 파트너십을 통해 그동안 키스위의 글로벌 스포츠 및 미디어 영역에서의 행보를 음악 영역까지 확장시키며 양사가 새로운 사업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며 “이 파트너십이 앞으로 있을 팬 경험 혁신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NEWS & ISSUE
    • Culture
    2020-06-22
  • 삼성 주도 차세대 화질기술 'HDR10+' 회원사 100개 돌파
    삼성 주도 차세대 화질기술 'HDR10+' 회원사 100개 돌파 퀄컴·아마존 비디오·20세기 폭스 등 글로벌 기업 대거 참여홈 엔터테인먼트 업계 시너지 확대"HDR10+가 초고화질 구현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아"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차세대 화질 기술인 'HDR10+'의 회원사가 100개를 돌파했다.HDR10+는 TV나 모바일 등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각 장면마다 밝기와 명암비를 최적화해 영상의 입체감을 높이고 정확한 색 표현을 구현하는 고화질 영상 표준 기술이다.삼성전자는 HDR10+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 2018년부터 파나소닉·20세기폭스사와 함께 ‘HDR10+ 테크놀로지(HDR10+ Technology LLC)’라는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HDR10+ 인증·로고 프로그램 운영과 기술지원에 힘쓰고 있다. 2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HDR10+ 회원사는 현재 103개로 TV·디스플레이 업체 16개, SoC 제조사 21개, 콘텐츠 제작사 20개, 소프트웨어 개발사 32개, 주변기기 제조사 14개 등 다양한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특히 퀄컴·브로드컴·ARM·아마존 비디오·라쿠텐·20세기 폭스·파나소닉·필립스·TCL·하이센스 등 업계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인증 프로그램에 대거 참여하면서 HDR10+ 생태계 확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현재 HDR10+ 인증 제품은 TV 965개, 모바일 기기 48개, 블루레이 기기 9개 등 총 1000개에 달하며 콘텐츠 수도 늘고 있어홈 엔터테인먼트 업계 전반에서 시너지를 확대하고 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개발팀장 최용훈 부사장은 “인증 프로그램을 시작한 지 불과 2년 만에 회원사 100개를 돌파한 것은 HDR10+가 초고화질 구현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HDR10+ 생태계를 확대하고 고화질 표준 기술 주도권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0-06-22
  • [단독] 서울시, 마켓컬리 1.5억달러 투자유치 지원…외국인투자 유치 밀착지원
    서울시, 마켓컬리 1.5억달러 투자유치 지원…외국인투자 유치 밀착지원 서울에 본사·사업장 있는 창업·중소·벤처기업→외국투자가와 비즈니스 미팅, 박람회 참가 가능 ▲ 서울시, 마켓컬리 1.5억달러 투자유치 지원…외국인투자 유치 밀착지원 서울시는 국내 1등 장보기 앱 ‘마켓컬리’가 코로나19로 인한 전례없는 투자절벽 위기 속에서도 글로벌 투자기관으로부터 1.5억달러 규모의 시리즈E투자를 이끌어내며 외국인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는 올해 국내 스타트업이 받은 투자유치 금액 규모 중 최대 규모다.5번째로 투자유치를 이뤄내며 대규모의 투자금을 이끌어내는 단계를 의미하며 투자유치 회차에 따라 시리즈A부터 시리즈E까지 단계가 구별됨 특히 투자유치 금액의 대부분을 디에스티 글로벌, 힐하우스캐피털, 세콰이어캐피털차이나, 퓨즈벤처파트너스, 트랜스링크 캐피탈, 에스펙스매니지먼트 등의 글로벌 투자기관으로부터 직접 투자받아, 서울의 외국인투자 유치에도 크게 기여했다.이번 마켓컬리의 성공적인 투자유치에는 서울시의 외국인투자 유치 촉진기구인 ‘인베스트서울센터’의 법무서비스 지원, 종합 금융서비스 제공 등의 적극적인 측면 지원이 있었다.인베스트서울센터는 마켓컬리의 증액투자 유치를 위해 외국인투자기업 변경등록 등의 법무서비스를 지원하고 외국환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금 신고 등의 종합 금융서비스를 제공했다.‘인베스트서울센터’는 서비스업 분야 투자유치에 강점이 있는 서울의 외국인투자 유치 활성화를 위해 올해 2월 출범한 서울시의 외국인투자 유치 촉진기구로 ICT·바이오 등의 서비스업 분야를 중심으로 한 잠재 외국인 투자자 발굴, 잠재 외국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외국인투자 신고 및 사업자등록 지원,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투자유치 기회 창출 지원 등 다양한 투자유치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인베스트서울센터는 외국인투자 유치 촉진을 위해 투자유치 단계별 맞춤 지원을 외국인 투자자들과 외국인투자기업들에 제공하고 있으며 완성도 높은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법무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유관기관과도 협력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서울에 본사나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창업·중소·벤처기업은 ‘마켓컬리’의 사례처럼 ‘인베스트서울센터’의 맞춤형 외국인투자 유치 지원을 받을 수 있다.이외에도 해외 유수 산업 박람회 참가를 통한 잠재 외국투자가와의 비즈니스 미팅 등 인베스트서울센터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서울시와 인베스트서울센터는 서울 소재 투자 유망 바이오 중소기업 15개사를 선정해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BIO USA’ 참가 지원 등 서울기업의 투자유치를 위해 다각도로 지원 중이다.신종우 서울시 경제일자리기획관은 “코로나19 위기로 글로벌 경제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마켓컬리의 1.5억달러 외국인투자 유치는 매우 고무적이다”며 “서울의 더욱 많은 창업·중소·벤처기업들이 외국인투자 유치에 성공해 혁신 스타트업이 예비 유니콘으로 성장하는 스타트업 르네상스 시대를 열어갈 수 있도록 다각도의 기업 밀착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0-06-22
  • [외신] 다케다와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 정신의학 분야 질병 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 위해 전략적 협력관계 맺어
    다케다와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 정신의학 분야 질병 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 위해 전략적 협력관계 맺어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아언스, 다케다의 신경과학 분야 포트폴리오 가운데 초기-중기 개발단계 정신의학 파이프라인 화합물에 대한 글로벌 독점권 확보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는 조현병 음성증후에 대한 2단계 첨단분자와 관련된 3건의 임상단계 자산도 포함 다케다는 일정한 미래 개발 시점에 모든 임상 프로그램에 대해 50대50 이익분배 조건에 동의 또는 거부할 수 있는 권리 가져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Neurocrine Biosciences, Inc.) (나스닥 : NBIX)와 다케다제약(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이하 ‘다케다’) (도쿄증권거래소 : 4502/뉴욕증권거래소 : TAK)이 다케다의 초기에서 중기 개발단계에 있는 정신의학 파이프라인 약품 합성물을 개발 상업화하는데 서로 전략적 협력을 하기로 16일 발표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케다는 조현병, 치료저항성 우울증, 쾌감상실증에 대한 3건의 임상단계 약품을 포함한 7개 파이프라인 프로그램에 대해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에게 독점적 라이선스를 부여하기로 했다.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의 CEO인 케빈 고만(Kevin Gorman) 박사는 “심각하거나 치료가 어렵고 지금까지 관심을 받지 못했던 정신의학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인생을 뒤바꿀만한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다케다와 협력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우리는 정신의학과 신경학 분야에서 갖고 있는 풍부한 경험을 통해 다양한 임상개발 파이프라인의 일부로서 조현병과 치료저항성 우울증, 쾌감상실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번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우리 회사의 개발 파이프라인을 강화시키고 신경과학에 초점을 둔 바이오 제약회사로서의 우리 지위를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편 다케다의 신경과학 치료부문 책임자인 사라 셰이크(Sarah Sheikh) 박사(M.D., M.Sc., MRCP)는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는 오랜 기간에 걸쳐 심각한 신경 및 정신의학 분야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개발 상업화하는데 경험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 회사의 초기-중기 개발단계의 정신의학 포트폴리오를 개발하여 새로운 치료법을 환자들에게 제공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파트너라고 본다. 다케다에 있어 신경과학은 치료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갖는 분야들 중 하나에 속한다. 뉴로크라인 바이오사이언스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는 정신의학 분야에서 계속 선두지위를 유지하고 이 분야 환자들에게 신약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면발작증, 발달성·간질성 뇌병증, 퇴행성 질환 같은 희귀성 신경질환에 대한 임상 자산을 늘리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6-2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