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31(금)

NEWS & ISSUE
Home >  NEWS & ISSUE

실시간뉴스
  • 에보닉, 슬로바키아에 새로운 시설 준공으로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 혁명 추진
    에보닉, 슬로바키아에 새로운 시설 준공으로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 혁명 추진     세계 최초로 산업용 람노리피드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 시설퍼스널 케어, 클리닝, 코팅, 동물 영양, 농업 및 기타 여러 응용 분야의 잠재력바이오 솔루션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     에보닉은 슬로바키아의 주요 고객과 함께 새로운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 공장을 공식 준공했다. 세 자릿수 백만 유로 규모의 이 시설은 세계 최초로 산업 규모의 람노리피드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제조한다. 이러한 뛰어난 품질의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이미 클리닝,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산업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뛰어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에보닉의 CEO인 Christian Kullmann은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주도하는 것을 넘어선다. 시스템적 사고와 고객과의 비전 공유를 기반으로 한 우리의 리더십은 이러한 확장 가능한 조치를 가능하게 했다.”라고 말했다. 에보닉은 람노리피드 생산을 위한 IP 보호 발효 기반 공정을 통해 산업 규모의 바이오 계면활성제 개발을 주도해 왔다. 람노리피드는 생명공학적 공정을 사용하여 재생 가능한 옥수수 공급 원료로 만들어지고 고성능, 무독성, 생분해성의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생산한다. 람노리피드는 화석 원료 또는 열대 석유를 기반으로 하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지속 가능한 대안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에보닉은 2030년까지 지속 가능성에 탁월한 이점을 제공하는 차세대 솔루션에 30억 유로 이상을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하고 있는 바이오 계면활성제 기술 플랫폼이 하나의 예시다. 생명공학에 대한 에보닉의 전문성은 생명과학 부문인 Nutrition & Care 사업부가 주도하고 있다. 이 부서는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혁신적인 바이오 솔루션을 사용하여 폐루프 탄소 시스템을 통해 생물 순환 관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높은 기능성을 유지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고 있다. 바이오 계면활성제 외에도 Nutrition & Care 사업부의 바이오 솔루션에는 생명공학 활성 물질, 세포 배양 솔루션 및 핵산 기반 의약품이 포함된다. 새로운 시설은 에보닉 페르마스, 슬로바키아 Slovenská Ľupča에 위치하고 있다. 현장의 생명공학 역량은 수십 년에 걸쳐 구축되어 최초의 산업 규모 람노리피드 생산 시설이다. 이는 에보닉의 생명공학 확장 및 출시 플랫폼으로서 에보닉 페르마스의 입지를 강화한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31
  • 2023년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 93.1%, 전년 대비 1.6%p 증가
    고용노동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는 5월 31일 각 누리집에 '2023년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직장어린이집 설치 등 의무를 미이행한 25개 사업장의 명단을 공표한다고 밝혔다.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를 이행하는 방법은 ①사업장 단독으로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거나, ②다른 사업장과 공동으로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거나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할 수 없는 사업주가 지역의 어린이집과 ③위탁계약을 맺고 근로자 자녀의 보육비용을 어린이집에 지원(위탁보육)하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단,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로자 자녀를 위탁보육할 경우는 근로자 자녀의 30% 이상을 대상으로 위탁 보육을 지원해야 의무 이행한 것으로 인정된다. 그 간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를 위탁보육 형태로 이행하는 사업장 중 근로자 자녀의 위탁보육률 30%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시적으로 명단공표 대상에서 제외했으나,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됨에 따라 명단공표 대상으로 결정됐다. 2023년 기준 조사결과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은 93.1%로, 설치 의무 대상 사업장 1,639개소 중 1,120개소가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고 406개소가 위탁보육을 통해 총 1,526개소가 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 이행률은 2018년부터 90%를 상회했으며, 이후 매년 점진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22년 기준 조사 결과에 비해 설치 의무 사업장이 37개소 늘어났음(1,602→1,639개소)에도 불구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은 1.6%p 상승(91.5→93.1%)했다. 직장어린이집명단공표심의위원회는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 사업장(113개소) 중 영유아보육법령에서 정한 명단 공표 제외 사유인 ①직장어린이집 설치 대상이 된 지 1년이 지나지 않은 경우, ②직장어린이집을 설치 중인 경우, ③사업장의 상시근로자의 특성상 보육수요가 없는 경우 등 명단 공표가 필요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88개 사업장은 제외하고, 25개 사업장은 명단 공표하는 것으로 심의·결정했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으로 명단 공표된 25개 사업장 중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연속 공표된 사업장은 8개소이다. 실태조사에 불응한 사업장도 명단 공표 대상이 되나, 전년도에 이어 실태조사에 응하지 않아 공표되는 사업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를 연속적으로 미이행하는 사업장을 줄이기 위해 명단 공표 항목에 사업주 성명 및 명단공표 누적횟수를 추가함으로써 명단 공표 제도를 강화하는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개정령안을 입법예고 중(~ 5.29.)에 있다. 정부는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113개 사업장을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여 설치 이행 명령, 이행강제금 부과 등 후속 조치를 이어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은 “직장어린이집은 이용 부모의 만족도가 높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강조하며,“명단 공표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여 더 많은 사업장에 직장어린이집이 설치되도록 하고, 일하는 부모의 양육 부담을 줄여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이성희 차관도“미이행 사업장에 대해 설명회·컨설팅을 제공하고, 향후 중소기업·대기업 근로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상생형 직장어린이집을 확충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고용노동부에서는 1회 이상 이행강제금이 부과된 이후에도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근로복지공단(직장보육지원센터)에서 개별 상담을 실시하여 의무이행을 유도할 계획이다.
    • NEWS & ISSUE
    • Social
    2024-05-30
  • 한·미 디지털헬스(원격의료) 분야 협력
    산업통상자원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국 상무부는 5월 30일 한국시간 오전 8시 「한·미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4년 3월 ’한·미 공급망·산업대화(SCCD, Supply Chain and Commercial Dialogue)‘의 후속 조치로 양국 디지털헬스 및 원격의료 산업에 대한 상호 이해 증진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디지털헬스 산업은 급격한 고령화, 삶의 질 향상 등으로 지속적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 등 분야에서 사업화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한·미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쇼케이스에는 산업부, 미국 상무부, 양국 디지털헬스 유관 협회와 양국의 디지털 헬스 관련 30여 개의 유망 기업이 참여했다. 한국 측은 국내에서 비대면 진료 앱 등 헬스케어 플랫폼 선도기업인 케어랩스와 룰루메딕이, 미국 측은 미(美) 원격의료 1위 기업인 텔라닥(Teladoc),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인 박스터(Baxter)가 주요 사업성과와 향후 계획 등을 발표했고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풍부한 임상 데이터와 높은 정보화 기술 등 디지털헬스 분야에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산업부는 디지털헬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품‧서비스의 상용화 지원, 인재양성 등 정책을 추진중” 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계기로 양국의 디지털헬스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6월에 개최되는 바이오 USA 2024(’24.6.3~6)를 통해 양국의 제약‧의료기기‧소부장 등 바이오 산업의 전방위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30
  • 고용노동부, 2024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미이행 사업장 명단 공표
    고용노동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고용노동부는 동종 업계·사업장 규모 대비 3회 연속 여성고용 비율이 낮고, 사업주의 실질적 개선노력도 미흡하다고 판단된 32개사를 적극적 고용개선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미이행 사업장’으로 선정하여 5월 29일 명단을 공표했다. 최종 명단공표 대상 32개사는 규모별로 1,000인 이상 6개사, 1,000인 미만 26개사이며, 업종별로는 ‘사업시설 관리 관련업 및 부동산 제외 임대업’ 및 ‘화학공업(의료용 물질 외 기타)’이 각 5개사(15.63%)로 가장 많았고, 중공업(비금속 광물, 금속가공, 기계, 장비)이 4개사(12.50%)로 뒤를 이었다. 명단이 공표된 사업장의 정보는 관보에 게재되고 누리집에 6개월간 게시되는 한편,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지정 심사 시 신인도 항목 평가에서 감점을 받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성별 격차를 자율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사업장 사후관리, 컨설팅·코칭서비스 등 다양한 지원을 병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29
  • ‘당뇨 예방·치료’ 등 부당광고, 177건 적발·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일반 식품을 ‘당뇨영양제’, ‘당뇨개선제’, ‘당뇨약’ 등으로 광고하며 판매하는 온라인 게시물 200건을 집중 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177건을 적발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을 요청하고,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최근 당뇨와 혈당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이 당뇨 예방·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등 부당광고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식약처는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특별 점검을 실시했다. 주요 위반 내용은 ▲식품·건강기능식품을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175건, 98.8%) ▲건강기능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1건, 0.6%)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1건, 0.6%)이다. 특히, 이번 점검 결과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잎 추출물 등에 대해 식약처가 인정한 기능성 내용*이 아닌 당뇨 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인식하게 만드는 부당광고가 다수 적발됐다. 이에 식약처는 소비자에게 온라인 상에서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품에 표시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와 ‘기능성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허위·과대광고 등 불법행위를 지속 점검하여,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온라인 식품 유통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29
  • 머크사(社), 바이오 산업 핵심 원부자재 아태 생산거점 구축에 4,300억 원 투자
    산업통상자원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산업통상자원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5월 29일 오전 10시, 독일 머크(Merck)사(社)가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내에 총 4,300억 원(3억 유로)를 투자하여 건립을 진행하는 바이오공정 원부자재 생산공장 기공식에 참석했다. 독일 머크사(社)는 1668년 설립되어 350년 이상 헬스케어, 생명과학, 전자산업 등에서 혁신을 주도한 글로벌 선도기업(‘23년 매출 총 210억 유로)으로 1989년 한국에 진출한 이후 현재까지 평택, 안성, 인천 등 총 13곳의 생산․연구시설 등을 운영 중이며 총 1,730명을 고용하고 있다. 산업부·대전시·머크사(社)는 작년 5월 바이오공정 원부자재 생산시설 투자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으며, 산업부와 대전시의 지속적인 투자애로 해소 노력과 밀착 지원을 통해 오늘 머크사(社)의 신규공장 착공에 이르게 됐다. 머크사(社)는 동 공장이 준공되는 2026년부터 건식분말 세포배양배지 등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부자재를 국내 수요기업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소재 바이오 의약품 제조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며, 향후 대전 지역에서 300명 이상의 신규인력을 고용할 계획이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머크사(社)의 투자는 바이오공정 원부자재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망 확보와 수출 확대뿐만 아니라, 비수도권인 대전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정부는 머크를 포함한 글로벌 첨단기업들이 더 많이 투자할 수 있도록 우수한 투자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29

실시간 NEWS & ISSUE 기사

  • 제56차 ADB 총회 ,“ADB와 회원국 중심으로 국가 간 연대·협력의 새로운 모델 만들어 가야”
    윤석열 대통령은 5. 3일 오전 인천 송도에서 열린 제56차 ADB(아시아개발은행) 연차총회 개회식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전면적인 대면 행사로 열리는 이번 총회 개최를 축하하고, 회원국과 국제기구 대표단을 환영하며 축사를 시작했다. 윤 대통령은 총회 장소인 인천과 서울을 연결하는 경인고속도로가 1968년에 ADB의 지원을 받아 건설한 한국 최초의 고속도로임을 언급하면서 한국과 ADB의 오랜 인연을 환기시켰다. 이어서 윤 대통령은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의 분절, 디지털 격차 확대, 기후변화 등 우리가 직면한 도전은 “개별국가를 넘어 국가 간 견고한 협력과 연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ADB 회원국들이 중심이 되어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윤 대통령은 작년 11월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발표한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밝힌 바와 같이 “한국 정부는 포용, 신뢰, 호혜의 3대 협력원칙을 바탕으로 인태 지역의 경제·개발 협력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국 정부가 협력적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에 적극 참여하고, 역내 회원국들과 성장 경험을 공유하며, 특히 기후변화, 디지털 격차 등 분야에서 적극적인 기여 외교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이번 총회를 계기로 ADB와 공동으로 한국에 설립하는 ‘기후기술 허브’를 각국 정부, 민간기업이 기술, 지식,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민관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이번 총회가 역내외 회원국과의 협력 관계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오늘 개막식에는 각국 재무장관, 중앙은행총재 등 60개국 이상의 ADB 회원국 대표단과 ADB 측 주요 관계자, IMF, OECD 등 주요 국제기구 대표단 등이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 이후에는 추경호 부총리와 아사카와 ADB 총재의 개회사, ‘아시아의 재도약’을 주제로 한 문화공연이 이어졌다.
    • NEWS & ISSUE
    • Politics
    2023-05-03
  •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3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글로벌인재채용 부문 4년 연속 대상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2023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글로벌인재채용 부문 4년 연속 대상 글로벌 인재 채용 전문 기업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Robert Walters Korea)가 지난 26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조선일보 주관 ‘2023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에서 4년 연속 글로벌인재채용 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조선일보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2023 소비자 추천 1위 브랜드’는 한국 리서치를 통한 시장점유율 조사 및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브랜드 만족도에 대한 고객 인식 조사를 통해 소비자가 직접 추천하는 브랜드를 선정하여 수여하는 상이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혁신, 비전, 리더십을 지향하는 기업 브랜드 가치를 바탕으로 우수한 인재 채용 서비스를 제공한 점을 높게 평가받아 수상 브랜드로 선정되었다. 전 산업 분야를 걸쳐 13년 이상 축적해온 한국 시장에 대한 데이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회초년생부터 임원직까지 모든 직급의 구직자들에게는 장기적인 이직 컨설팅 서비스를 통한 커리어 개발을 지원하며, 기업 고객에게는 인사 어드바이스 및 인재 채용 솔루션을 통해 기업 니즈에 맞는 경력 및 전문성을 갖춘 산업 인재를 소개하고 있다. 최근엔 ESG 환경경영, ED&I (Equity, Diversity & Inclusion) 세미나 및 컨설팅을 통해 바뀐 조직문화에 대한 인사이트를 적극 제공하고 있다. 로버트 월터스 그룹은 우수한 채용 솔루션을 통해 고용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ESG경영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방면으로 실현하고 있다. 2015년부터 국제 환경 단체인 월드 랜드 트러스트 (World Land Trust)와 파트너십을 통해 현재까지 20개국 240만 평의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보호하였고, 글로벌 엔젤스 기금과 ‘Walks to Kenya’ 캠페인을 진행하여 케냐 챠보의 인프라 및 교육 시설 구축을 위해 2022년에는 약 2천 7백만원의 모금액을 후원하며, 환경·사회적인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고 있다. 2012년부터 전세계 지사 임직원이 다양한 자선활동을 통해 후원금을 모금하는 '글로벌 자선의 날(Global Charity Day)’을 통해 현재까지 약 15억 9천만원을 전세계 지역사회 단체에 기부하였다. 한국 지사는 22년 모금한 후원금을 제대군인의 직업전환 및 사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제대군인지원협회에 전달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최준원 지사장은 “기업과 구직자의 가능성을 실현하도록 지원하며 차별화된 인재 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의 노력이 4년 연속 인정받아 매우 기쁘다. 앞으로도 채용 시장의 최신 동향과 시대적 니즈를 반영한 커리어 관리와 채용 솔루션을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성장해 나가겠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3-05-03
  • [단독]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장관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 주최 저녁만찬에서 연설
    [단독]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장관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 주최 저녁만찬에서 연설 [사진제공 KOFA] , 주한인도상공회의소 회원들과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장관 2일 제56회 ADB 연차총회를 계기로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 회장인 디네쉬 카라 씨가 한국 서울을 방문하고 동시에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도 한국을 방문하였다.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은 이날 오전 홀리데이 인 인천 송도호텔에서 박학규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최고재무책임자(CFO·사장)과 회동을 했다. 이날 회동의 주요 안건은 삼성이 중국의 대안으로 부상한 인도에서 투자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시타라만 장관은 첨단 기술 투자를 요청했다. 비(非)애플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는 '삼성'이라고 언급하며 추가 투자를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 KOFA] , 주한인도상공회의소 회원들과 KOFA 사무국 [사진제공 KOFA] , 주한인도상공회의소 회원들과 KOFA 사무국 오후에는 여의도 CONRAD 서울 (6층) 스튜디오 2에서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 회장의 주최로 저녁 만찬이 개최되었다. [사진제공 KOFA] , 콘래드호텔 저녁만찬에서 연설하는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장관 이날 오프닝 연사로는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이 참석했다. 오후 행사에는 주한인도상공회의소(ICCK) 회장 아닐 신하 (타타대우 상용차 부사장) , "라즈 자왈 " (타타대우사용차 CFO) , 라미쉬라이어 (TATA Consultancy Services Korea 대표이사) , 아밋 (한국씨티은행 본부장) , 사친 사푸테 ( 노벨리스 아시아지역 사장) ,Pankaj Agarwal 대표 (Taghive Korea) , Shyam Paliwai (Moim 대표) ,최인범 대표 (Sage Strategies ) ,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김종철 대표, 송인선 사무총장 , 김동욱 대외협력국장 , 일본 미즈호은행 사또우 대표 와 구보타 아시아지역사장 외 대만은행 ,부국증권등 금융권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사진제공 KOFA] [사진제공 KOFA] 3일 오후에는 인천광역시 송도 컨벤시아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양자회담을했다. [EXCLUSIVE] India's Finance Minister Nirmala Sitharaman speaks at an evening dinner hosted by State Bank of IndiaOn the occasion of the 56th ADB Annual Meeting on the 2nd, Dinesh Kara, Chairman of State Bank of India, visited Seoul, Korea, and Nirmala Sitharaman, Minister of Finance of India, also visited Korea.Indian Finance Minister Nirmala Sitharaman met with Park Hak-kyu, chief financial officer (CFO) of Samsung Electronics' device experience (DX) division, at the Songdo Hotel in Incheon, a holiday earlier in the day.The main agenda of the meeting is that Samsung is expected to strengthen investment in India, which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hina, and Minister Sitharaman asked for high-tech investment. It is known that the brand preferred by non-Apple consumers is "Samsung" and encouraged additional investment.In the afternoon, a dinner was held at Studio 2 of CONRAD Seoul (6th floor) in Yeouido, hosted by State Bank of India Chairman.Indian Finance Minister Nirmala Sitharaman attended as the opening speaker.The afternoon event was attended by Indian Chamber of Commerce (ICCK) Chairman Anil Sinha - (Vice President of Tata Daewoo Commercial Vehicle), "Raz Jawal" - (CFO for Tata Daewoo), Ramish - (CEO of TATA Consultancy Services Korea), Amit - (Director of Citibank Korea), Sachin Sapute - (President of Novellis Asia), CEO, Pankaj Agarwal - Representative, Shamy Choi (CEO), [KOFA] Representative Kim Jong-chul, Secretary-General Song In-sun, Director of External Cooperation Kim Dong-wook, Representative of Mizuho Bank of Japan Satou, President of Asia Kubota, and other financial sector officials attended.On the afternoon of the 3rd, she held a bilateral meeting with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Choo Kyung-ho at Songdo Convensia in Incheon.Reporter Kim Jong-chulgen@gen.or.kr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3-05-03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국가 간 QR 코드 결제 연결시스템 도입
    싱가포르 통화청(MAS)과 말레이시아 은행(BNM)은 통합 QR 코드 결제 시스템 도입. 이는 결제 시스템의 비용, 속도, 접근성 및 투명성을 개선하고 아시아 통합 결제 시스템의 초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QR 시스템을 통해 수취인의 휴대폰 번호로 말레이시아-싱가폴 국가 간 자금 이체 및 송금이 가능하도록 2023년 말까지 연결시스템 확장 예정이다. [출처: https://www.mas.gov.sg/news/media-releases/2023/launch-of-cross-border-qr-code-payments-connectivity-between-singapore-and-malaysia]
    • NEWS & ISSUE
    • Economy
    2023-05-03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