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전체기사보기

  • 자신에 맞는 운동법 찾아... 피트니스 찾는 경우 많아
    자신의 건강을 위해 운동을 결심한 사람들은 처음에는 스포츠 센터, 피트니스 등을 찾아서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의욕적으로 시작한다. 그런데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운동을 지속하려면 체력이 필요한데, 쉽게 피로해져서 운동을 지속하기 어려운 것이다. 자신의 체력과 취향에 맞는 운동을 찾아 시작해야 운동에 흥미를 붙이고 지속할 수 있다. 부천에서는 트라이던 피트니스가 최신식 기구 머신과 쾌적한 운동 환경, 전문 트레이너들의 체계적인 운동코치로 눈길을 끌고 있다. 최신식 기구 34종, 유산소 머신 12종, 웨이트 기구 22종과 천국의 계단 머신, 스텝퍼 등을 보유하고 있는 트라이던 피트니스는 지속적으로 최신 기구들을 입고하고 있다. 트라이던 피트니스 트레이너들은 다수 대회 상위권 입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회원들이 개인루틴파일 시스템을 통해 스스로 운동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뿐만아니라, 생활패턴과 체형교정운동까지 라이프스타일 케어를 목표로 개인PT를 진행하고 있다. 매달 진행하는 만족도 조사를 통해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헬스장으로 회원 10명 중 8명이 재등록을 하며, 대부분 지인 소개로 PT를 진행할 정도로 인기가 많다. 트라이던 피트니스는 365일 공조 닥트 정화 시스템으로 쾌적한 운동 환경을 보장하며 전 직원의 로테이션 청소 시스템을 통하여 기구 청결상태 및 실내 향기 등에서 회원들의 만족도가 높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질병에 민감한 점을 고려하여 1인 개인 호텔식 샤워실도 설치했다. 트라이던 피트니스 관계자는 “지친 일상을 뒤로하고 헬스장에 왔을 때, 편안한 느낌으로 운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자기 개발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헬스운동을 하는 것이므로 이곳에 오는 모두가 특별한 주인공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피트니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한다”고 전했다. 의욕만으로 스스로 지속하기 힘든 유산소· 근력운동을 피트니스센터 트레이너와의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운동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헬스트레이너의 코치로 적은 횟수라도 정확한 운동 동작을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좋다.
    • INTERVIEW
    • Hot Issue
    2022-10-28
  • 아나테이너 주교빈, '슈퍼인플루언서 어워즈 시즌3' 세컨러너업(3위) 차지
    한국인플루언서협회, 에이치피티코리아(HPT COREA)가 주최하고 나레스트엔터테인먼트, 팔로우이엔엠, 충청도민일보 등이 주관하는 '슈퍼인플루언서 어워즈 시즌3(이하 슈인어3)'가 지난 26일 저녁, 베트남 다낭 미키비치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렸다. '슈인어3'는 포털사이트에서 영향력이 큰 블로그를 운영하는 헤비 블로거 또는 수많은 팔로워를 지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 1인 방송 진행자 등이 참여하는 콘텐츠 대회로 인플루언서 및 아나테이너들의 활동을 지원하며 신인 쇼호스트를 적극 발굴해 커머스 영역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번 대회에는 현직 모델, 배우, 가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수백여 명의 지원자가 서류 심사를 통해 약 70여 명이 예심에 참가했으며 본선에 오른 최종 26인의 후보자들이 열띤 경합을 벌였다. 특히 아나운서 및 연기자 등 다양한 방송활동으로 예선부터 주목을 받았던 아나테이너 주교빈은 세컨러너업(3위)에 오르며 아쉬움을 달랬다. 현재 RNX TV 아나운서 및 뷰티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주교빈은 "슈퍼 인플루언서로 활동한 것에 대한 가치를 증명할 수 있게 돼 기쁘다. 한국 인플루언서의 파워와 강력한 콘텐츠 경쟁력을 아시아에 널리 알리겠다."라며 수상 소감을 전했다. 한편, '슈인어3'의 세미위너(2위)에는 참가번호 16번, 뷰티헬스 인플루언서 김주연이 차지했으며 영예의 대상 위너(1위)에는 참가번호 2번, 호텔리어 소지현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 INTERVIEW
    • Hot Issue
    2022-10-28
  • 국토교통부, 자동차 누적등록대수 2,535만대… 전기차 30만대 돌파
    전기차 충전구역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토교통부는 ‘22년 3분기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는 25,356천대로 전 분기 대비 0.6%(140천대) 증가하였으며, 인구 2.03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였다고 밝혔다. 원산지별로 누적점유율은 국산차 87.7%(22,233천대)이며, 수입차*가12.3%(3,123천대)로 수입차 점유율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 연료별로는 친환경차*(전기ㆍ수소ㆍ하이브리드차)가 전분기 대비8.3%(113천대) 증가, 누적등록 대수는 전체자동차 중 5.8%(1,478천대)비중을 차지하였다. ① 전기차는 347천대로 전분기 대비 16.3%(48,762대) 증가, ② 수소차는 27천대로 전분기 대비 10.8%(2,600대) 증가, ③ 하이브리드차*는 1,104천대로 전분기 대비 5.9%(61,905대) 증가하였다. ④ 휘발유차는 전 분기 대비 0.5%(64천대) 증가하였고, 경유차*․LPG차는△0.3%(39천대) 감소하였으며, 경유차는 ‘21년 2월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3분기 자동차 신규등록은 429천대로 전 분기(429천대) 대비 △0.1%(627대) 감소하였으나, 수입차는 2.2%(1,741대)증가하였고, 전년 동기대비 5.3%(21천대)증가하였다. 모델별 신규등록은 쏘나타, 쏘렌토 하이브리드, 포터Ⅱ, 캐스퍼 순으로 등록되었으며, 경형 승용차는 ‘14년 이후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국제유가 급등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차종별로는 전 분기 대비 승용 0.6%, 화물 0.6%, 특수 2.4% 증가하였으나, 승합차는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의 신규등록 대수는 51천대로 전분기(41천대) 대비 23.6%(9.7천대)증가하였다. 전기차 원산지별, 지역별, 차종별, 제작사별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① 원산지별 3분기 신규등록 수입차 점유율은 28.5%(14천대)로, 전분기수입차 점유율 22.0%(9천대)대비 증가하였다. ② 지역별로는 경기ㆍ서울ㆍ제주도에 전기차(151,295대)가 다수 등록(43.5%)된 것으로 나타내었다. ③ 차종별로는 승용 77.5%(269천대), 화물 21.2%(74천대), 승합 1.2%(4천대), 특수 0.1%(149대) 등록되었다. ④ 제작사별로는 현대(42.8%), 기아(26.6%), 테슬라(13.2%) 순으로 누적 등록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국토교통부 박지홍 자동차정책관은 “전기차 및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은 내연기관차 대비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시장의 흐름과 시대변화에 맞는 자동차 정책의 수립․시행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등록현황을 세분화하여 국민이 원하는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2-10-28
  • 시민단체 연합, 공급망실사 법안 관련 피해자에 대한 사법적 구제 강화 촉구
    40개 시민단체는 25일(화) EU 회원국에 전달한 공동서한에서 '기업의 지속가능한 공급망실사 의무화 법안'과 관련, 인권침해 및 환경훼손 피해자의 사법적 구제 권한 강화를 촉구했다. 공급망실사 법안은 EU 대기업, EU 역내 매출이 일정 기준 이상인 제3국 기업 및 위험 분야 중소기업에 공급망상 인권침해 및 환경훼손 방지 실사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골자다. EU 집행위 법안은 기업 활동으로 인한 인권침해 및 환경훼손의 피해자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있으나, 최근 EU 이사회가 기업의 고의 또는 과실을 손해배상책임의 요건으로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해 논란이다. 언론에 공개된 EU 이사회의 수정 법안은 '회원국은 기업이 파악했거나 파악했어야 할 부작용에 기인한 손해 및 기업의 고의 또는 과실로 초래되거나 기여한 손해에 대해 손해배상책임을 부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시민단체는 집행위 원안에 포함되지 않은 기업의 고의 또는 과실을 손해배상책임의 요건으로 부과함으로써, 사실상 피해자의 사법적 구제 권한이 크게 약화되었다고 비판했다. EU 이사회 수정안에 따르면, 피해자가 손해배상 청구를 위해 기업의 고의 또는 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을 부담, 사법적 구제 가능성이 크게 제한될 것이라며 EU 이사회에 대해 손해배상책임과 관련한 기업의 고의 또는 과실 요건을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시민단체는 공급망실사 범위와 관련, 집행위 원안의 이른바 '기존 수립된 비즈니스 관계(Established Business Relationships)'의 개념에 대해서도 비판적 입장을 표명했다. 집행위 원안은 기업의 공급망실사 범위를 '무시할 수준 또는 가치사슬에서 단순하게 부수적인 관계를 제외한 기존 수립된 비즈니스 관계'로 정의했다. 시민단체는 공급망실사 의무의 범위는 기업의 비즈니스 관계가 아닌 위험성 기반 접근방식에 따라 공급망상 위험의 성격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다수의 EU 회원국도 기업의 비즈니스 관계가 아닌 위험 기반 접근방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최근 의류업계도 이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의류업계는 24일(월) 발표한 입장문에서 섬유 및 의류업계의 특성상 비즈니스 관계에 기반한 접근방식으로는 효과적인 실사의무 수행이 어렵다며, 실사의무 범위와 관련한 국제적 기준인 위험 기반 접근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세계 최대 투자자금 운용사 'Investment Company Institute'는 EU가 공급망실사 법안을 조급하게 추진함으로써 금융 및 투자 분야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미흡하다고 지적, 금융 분야를 공급망실사 의무화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행위 법안이 기업의 계약관계에 기초한 공급망실사 의무를 상정하고 있으나, 금융 및 투자사는 투자자 이외에 기업과 직접적인 계약관계에 있지 않고, 투자자의 (인권 및 환경 관련) 의도가 사실상 자금운용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독일, 룩셈부르크, 아일랜드 등 일부 회원국도 금융 및 투자사에 대한 공급망실사 의무를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2-10-28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