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취업촉진법 시행령, 외국인고용법 개정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재입국 특례 대상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제한 기간 단축
정부는 12월 15일 국무회의에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고용노동부 소관 2개 법령안을 심의.의결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이번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내년 1월 1일 시행되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소득·재산요건 및 의무이행 기준 등을 구체화한 것이다.소득.재산조사의 기초가 되는 ‘가구단위’의 범위를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신청인 본인.배우자.1촌의 직계혈족(부모.자녀)으로 하여 수급자격 조사를 간명하고, 신속하게 했다.가구단위 월평균 총소득은 가구원의 이자.배당.사업.근로소득 및 연금급여 등을 합산하여 산정하도록 규정했다.구직촉진수당 수급을 위한 월평균 총소득 기준은 노사정 합의에 따라 저소득 구직자를 집중 지원하기 위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로 정했다.또한, 가구 재산의 합산액은 3억원 이하로 하여 고액자산가 등은 구직촉진수당을 받지 못하도록 하되, 청년의 경우 고시를 통해 재산 상한을 별도로 정할 수 있도록 하여, 청년 고용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취업경험은 신청일 이전 2년 동안 취업한 기간을 더하여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인 경우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보고, 취업한 기간의 산정 방법은 시행규칙을 통해 구체화하여 취업기간 확인이 어려운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 등도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소득.매출액의 취업기간 환산 방법을 마련할 계획이다.구직촉진수당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사람이 취업활동계획에 따라 직업훈련.일경험 프로그램 등 구직활동의무를 이행하는 경우에만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예외 사유는 제한적으로만 인정하여 수급자의 적극적 구직활동을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했다.동 시행령 제정을 통해 ‘국민취업지원제도’라는 새로운 안전망이 차질없이 도입되어, 고용안전망 사각지대에 있는 분들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외국인 근로자는 한번 입국하면 최대 4년 10개월까지 근무할 수 있으며, 그 기간 동안 한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 재입국 특례를 인정받아, 출국 후 3개월이 지나면 재입국하여 다시 최대 4년 10개월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된다.다만, 재입국 특례 시 출국한 날로부터 3개월 후 재입국해야 함에 따라 사업장의 업무 공백이 발생할 수 있어 재입국 제한 기간을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한다.외국인 근로자는 4년 10개월간 사업장 변경을 하지 않고 한 사업장에서 근무한 경우에만 재입국 특례가 가능하여 외국인 근로자는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기 위하여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사업장 변경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사용자는 사업장 변경 이력이 있는 숙련 외국인 근로자를 재입국 특례를 통해 계속 고용하지 못할 수 있었다.앞으로는 동일 업종 내에서 사업장 이동을 한 경우에도 고용노동부 고시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숙련성을 인정하여 재입국 특례를 허용할 수 있게 되었다.폭행, 성희롱 등 외국인 근로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사업장을 변경한 경우 재입국 특례를 위해서는 해당 사업장에서 근로계약 기간이 1년 이상 남아 있어야 하나, 잔여 취업활동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기 위해 부당한 처우를 받더라도 사업장 변경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이 경우라도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권익보호협의회의 의견을 들어 인정한 경우에는 재입국 특례를 허가받을 수 있도록 근로계약기간의 예외 요건을 마련한다.정부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시행 시기(공포 후 6개월)에 맞춰 관련 고시 개정 후 개선된 재입국 특례 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다.
Airbnb stock tumbles after more than doubling last week
Airbnb CEO Brian Chesky
Corbis via Getty Images
Wall Street is having second thoughts about Airbnb’s frothy market debut last week.
The home-sharing giant’s stock — which more than doubled last week in the company’s initial public offering — tumbled more than 8 percent on Monday after a research firm cut its rating on the shares, citing doubts whether the company’s performance would be able to justify their lofty price.
“Investors we’ve spoken with like Airbnb’s business model and want to be long-term holders, but are now looking at selling the stock because they no longer feel comfortable owning it trading at a 300 to 400 percent valuation premium,” Gordon Haskett Capital analyst Robert Mollins wrote, slashing his rating on Airbnb shares to underperform from buy.
The home-sharing giant became a publicly traded company last Thursday when its shares surged from its listing price of $68 to as high as $165. They closed at $144.71, giving the company a market cap of $83 billion — more than the market values of Marriott, Hilton and Hyatt combined.
On Monday, the shares were recently off 8.3 percent at $127.70.
Mollins said his price target for Airbnb’s shares is $103 per share, stating that he remained “positive” in his forecast for the company’s “long term” future. But he added that an “overwhelming majority” of investors he has spoken to are interested in cashing in on their quick gains.
Airbnb’s 39-year-old CEO Brian Chesky got $6.5 billion richer — and tongue-tied, too — last Thursday as the vacation-rental giant’s stock price more than doubled in its blockbuster market debut. The surge drove Chesky’s net worth up to more than $11 billion, giving him a larger fortune than record executive David Geffen and hedge-fund tycoon Steve Cohen, according to the Bloomberg Billionaires Index.
“That’s the first time I’ve heard that number,” he told Bloomberg Television, tripping over his words. “So I … I don’t know what else to say. It’s … that’s a … that’s a very … that’s … um … that is … yeah … I’m very humbled by it.”
FDA finds Moderna’s COVID-19 vaccine to be safe, 94 percent effectiv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und Moderna’s coronavirus vaccine to be safe and highly effective, bolstering the shot’s chances of being cleared for emergency use this week.
In a 54-page report released Tuesday, FDA staff affirmed the Massachusetts biotech firm’s finding that the vaccine is about 94 percent effective and poses no safety concerns that would prevent the agency from granting it an emergency use authorization.
The analysis came ahead of a Thursday meeting where the FDA’s Vaccines and Related Biological Products Advisory Committee is expected to recommend that emergency approval, which would make Moderna’s vaccine the second to be rolled out across the country. The first shots from Pfizer and BioNTech were jabbed into Americans’ arms on Monday.
In its own 84-page report, Moderna said the data show “that the known and potential benefits of the Moderna COVID-19 vaccine outweigh the known and potential risks.”
As with Pfizer’s vaccine, the FDA said Moderna’s shot was similarly effective across racial, ethnic and gender groups and that it worked well in people with medical issues that put them at a high risk of severe COVID-19 infections.
The clinical trial of Moderna’s vaccine also produced strong evidence that it prevents serious cases of the virus, given that all 30 participants who came down with severe infections had received a placebo rather than the vaccine.
But the shot’s efficacy did vary somewhat depending on the recipient’s age, the FDA said — it was 95.6 percent effective in adults aged 18 to 64 and 86.4 percent effective in those 65 and older.
Participants in Moderna’s 30,000-person trial also reported some common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fatigue, muscle aches and pain at the injection site, the FDA said. Pfizer’s shot has caused similar side effects.
The FDA said there were no “anaphylactic or severe hypersensitivity reactions” in the study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Moderna’s vaccine. Some people in the UK suffered severe allergic reactions after receiving Pfizer’s shot.
The FDA will reportedly move quickly to grant the emergency approval for Moderna’s vaccine just as it did for Pfizer’s, which received the clearance a day after the vaccine panel recommended it. Both shots use so-called messenger RNA, genetic material that provokes an immune response to the virus by directing the body to create a tiny amount of coronavirus spike proteins.
Enlarge Image A nurse prepares a syringe during a study of a COVID-19 vaccine.[/caption]
Moderna says it will have about 20 million vaccine doses available in the US by the end of the year, enough to inoculate roughly 10 million people with two doses apiece. Pfizer, meanwhile, expects to have about 50 million doses on hand globally this year, with about half allocated to the US.
The feds expect that 20 million Americans will be able to get their first shots by the end of the month, followed by another 30 million in January.
Moderna shares were down about 0.8 percent at $153.91 as of 9:35 a.m. Tuesday.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 신임 회장에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 대표이사 취임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하운식 대표이사 선임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Jason Kim , 52) 대표이사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사장
사진제공: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사단법인 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G-CEO) 신임 회장으로 A.RAYMOND KOREA, 김종세 ( Jason Kim , 52 ) 대표이사가 선임됐다.
주한외국기업연합회(KOFA) 김종철 (상임대표, 54)는 지난7일 라마다서울호텔에서 개최된 송년임시총회에서 G-CEO 신임회장으로 김종세 (Jason Kim , 52) 아레이몬드코리아 대표이사를 선임하고, 수석부회장에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사장을 선임하였다고 20일 밝혔다.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비영리 단체이고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한국대표이사 (지사장)들의 협회이고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의 소속단체이다.
G-CEO(Global Enterprise CEO Association)는 전 세계 500여개의 주한외국기업의 대표이사들로 구성된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자기성장과 사회적기여(Growth & Social Responsibility)라는 미션으로 세미나를 통한 역량 개발과 회원사 간의 네트워킹을 통한 비즈니스 교류 와 산학협력차원에서 CEO 특강활동과 기타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아레이몬드코리아, 김종세(Jason Kim , 52) 대표이사
김종세 신임회장은 성균관대에서 MBA를 마치고 건국대에서 Management Technology 박사학위를 수료한 전문 글로벌 경영인이다. 2001년 Visteon Korea 입사 이후, 한국대표이사를 거쳐 2018년부터 현재까지 아레이몬드코리아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어레이몬드코리아는 프랑스에 본사를 둔 자동차 부품 기술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 25개국 7200여명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일하고 있으며 한국지사는 화성시 동탄에 사업장을 두고 있다. 아레이몬드코리아는 ‘2019년 하반기 경기도 일자리 우수기업’에 선정된 바 있다.
김종세 신임회장은 “G-CEO는 2005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16년간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들의 대표적 모임으로 자리매김하고 했고 매년 주한외국기업백서 발간을 통해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의 급여 및 복리후생조사 과 각종 인적자원경영관련 마켓리서치를 해오고 있고 대한민국 비영리 단체중 외국기업에 관한 정보력은 타의 추월을 불허할 정도의 역량을 가지고 있고 Covid19 시대에 부합되는 유익한 외국기업경영정보를 재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더욱 많은 회원사가 함께 할 수 있도록 협회 외형의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5만여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장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을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사장
아울러 수석부회장으로 새로 선임된 하운식 총괄대표이사( Johnson Controls Korea )도 “새로 선임된 신임 회장을 조력하며 한국지사장 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회원사들과 경영이슈에 관한 서베이 및 성공한 매니지먼트 사례공유등을 통해 유익한 내용을 담아갈 수 있는 모임이 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운식 존슨콘트롤즈코리아 총괄사장은 한국전력공사에서 발전소 운영, 보수 및 건설 그리고 본사 등지에서 업무를 수행했으며 1994년 GE로 자리를 옮겨 미국, 한국, 홍콩, 싱가포르 및 중국 등지에서 현장 기술감리, 식스시그마, 고객 서비스, 영업지원(입찰 및 계약) 분야뿐만 아니라 전략적 고객 지원 및 영업 분야에서 다양한 리더십 역할을 수행한 바 있으며 존슨콘트롤즈코리아 총괄사장으로 부임하기 전에는 GE Power Korea 사장을 역임 하였다.
존슨콘트롤즈코리아는 130년 이상 지속해온 혁신 경험과 최고의 빌딩 기술 및 솔루션을 보유하고 스마트빌딩 및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글로벌 리더 기업이고 2016년 소방, 보안 솔루션 분야의 리더인 타이코와 합병하였다.
한편 전임 회장이었던 박순구 회장 (리치텍코리아) 은 올해 12월부로 대만본사로 영전하여 R&D 부문 글로벌 책임자로 발령 되었다.
이밖에 각산업별분과 위원장으로 반도체산업분과 (인피니언테크널러지코리아 이승수 사장) , 자동차산업분과 (브로제코리아 금종구 사장) , 화학산업분과 (에보닉코리아 최윤영 사장) , PR.광고산업분과 (DDB Korea 고광수 사장 ), 네트워크위원장 (키네트테크널러지코리아 나종배 사장) , 골프분과 (단디코리아 홍경표 사장) 탤런트리쿠르팅 분과 (로버트월터스코리아 최준원 사장) 등이 선임 되었다.
이날 사회를 본 G-CEO 홍보대사 이상은 ( SBS 공채 탤런트)은 공로상을 수여 하였다.
(좌측 ) G-CEO 홍보대사 이상은 (SBS 공채탤런트) 우측 G-CEO 법인 이사회 의장 김경 (시너지케어 아시아태평양지역사장)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개요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는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비영리 단체이고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기업 한국대표이사 (지사장)들의 협회이고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의 소속단체이다.
출처: (사)주한글로벌기업대표이사협회 [G-CEO]
웹사이트: http://www.g-ceo.org
관련링크
티스토리: https://gceo.tistory.com/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roups/201632979847740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groups/4410834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amesmackim
사진설명
사진 1 A.RAYMOND KOREA, 김종세 ( Jason Kim , 52 ) 대표이사
사진 2 존슨콘트롤즈코리아 ( 하운식 , 62) 한국총괄대표이사
언론문의처
주한외국기업연합회 [KOFA]
사무총국
담당자 성명 김종철
02-3452-8603
kofen@kofe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