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아벨리노, 2020베스트클리닉어워드 시상… “각막이상증 유전자 검사, 트렌드 바뀌고 있어”
유전자 진단 및 치료제를 연구 개발하는 글로벌 바이오기업 아벨리노랩의 한국 법인 ㈜아벨리노가 각막이상증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환자들에게 꾸준하게 시행하고 스마일 라식, 라식, 라섹 수술 등과 같은 시력교정 수술에서 안전성을 높여온 안과의 공로를 인정하는 ‘2020베스트클리닉어워드(2020 Best Clinic Award)’를 시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질병의 보유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유전자 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안과 시장은 이러한 관심이 생기기 전부터 유전자 검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력교정 수술을 받는 환자들을 위해 안과의 장비적 검사와 유전자 검사를 진행하면서 환자 개인의 유전자 검사 결과와 장비적 검사 정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수술이 시행되고 있었다. 안과의 대표적 유전 질환 중 하나인 각막이상증은 각막에 지속적으로 단백질이 축적돼 시력저하 및 실명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특히 각막을 깎아 시력을 교정하는 스마일 라식, 라식, 라섹 등과 같은 시력교정 수술이 대중화하면서 유전자 검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좋은 시력을 가지기 위해 수술을 받았다가 오히려 시력이 나빠지거나 잃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과거 1가지의 각막이상증만 검사를 진행하던 분위기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5가지 각막이상증을 검사해 수술 전 안전성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검사 트렌드가 변화하면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안과의 노력도 점점 진화하고 있다. 이에 아벨리노는 환자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나아가 아벨리노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모든 시력교정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하는 안과를 대상으로 엄격한 심사 절차를 거쳐 선정했다고 밝혔다.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린 안과는 △공안과 △구리성모안과 △리지안안과 △부산밝은성모안과 △부평성모안과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서울다봄안과 △서울신세계안과 △수연세안과 △수원제일안과 △아이리움안과 △연세플러스안과 △연수늘밝은안과 △울산성모안과 △울산신세계안과, △일산새빛안과병원 △한길안과병원 총 17곳으로 해당 병원에는 소정의 인증패가 전달됐다. 한편 아벨리노랩은 유전자 치료와 분자 진단을 기반으로 정밀의료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로서 유전적 질병을 관리하고 치료하기 위해 CRISPR 유전자 가위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아벨리노랩 USA는 2020년 4월 코로나19 유전자 진단기술(AvellinoCoV2)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 받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AvellinoCoV2 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70가지의 각막이상증과 원추각막 연관 75종류 유전자의 유전자 돌연변이 약 1000여가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DNA검사인 AvaGen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바 있다.
몰렉스코리아 등 8개 업체, 자동화 시스템에 혁신적인 M12 커넥터용 ‘푸시 풀’ 기술 표준 정립
몰렉스(한국몰렉스 대표 이재훈)를 비롯한 M12 커넥터 8개 제조업체가 관련 시장에서 이 제품의 ‘푸시 풀 잠금’ 메커니즘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기로 동의했다. 몰렉스를 필두로 한 Phoenix Contact, HARTING, Murrelektronik, ESCHA, Binder, CONEC, Weidmüller 등 M12 커넥터 업체가 제품의 상호 호환성을 보장하는 한 가지 목표를 추구하는 데 힘을 합친 것이다. 업체들의 공통된 합의에 의해 제정된 IEC 61076-2-010 표준은 푸시 풀 잠금 기술에 의한 외부 및 내부 잠금에 대한 규정을 정의하고 있다. 제품 호환성에 관한 CDV투표는 92.9%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승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2020년 12월에 IEC에서 최종 문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커넥터 제조 업체 간 승인된 이 표준을 통해 시스템 제조업체들은 자동화 제품 설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게 됐다. 이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강력한 잠금 장치 시스템이 널리 사용될 예정이다.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 COVID-19로 인해 대두된 네트워크의 중요한 역할
에릭슨은 전 세계 5G 가입건수가 2020년 말에 1억9000만건에 달하며 2025년 말까지 28억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6월에 발행된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에 데이터 트래픽 증가 및 지역별 가입에 대한 예측 수치와 함께 포함돼 있다. 또한 동 보고서에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를 운영하고, 가족들을 연결시켜 주는 네트워크와 디지털 인프라의 역할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프레드릭 제이들링 에릭슨 네트워크 사업부문장 겸 수석 부사장은 “COVID-19의 확산은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등 전 세계 모든 이들의 일상 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은 비즈니스에서 주거 지역으로 빠르게 전화됐고, 최근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에 따르면 유무선 네트워크는 중대한 국가 인프라에서 점점 더 크고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COVID-19의 여파로 일부 시장에선 5G 성장이 주춤한 반면 이를 압도하는 성장세를 보이는 여러 시장이 공존함에 따라 에릭슨은 2020년 말 기준 전 세계 5G 가입률에 대한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프레드릭 제이들링은 “5G는 가입률 측정 외에도 5G가 사람과 기업들에 가져다주는 혜택에 의해 궁긍적으로 그 영향을 판단할 것이다. 5G는 혁신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번 위기상황으로 인해 커넥티비티의 진정한 가치와 경제 재개를 도울 수 있는 커넥티비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고도 말했다. ◇디지털 인프라의 가치 이동 제한 조치로 인한 사용자 행동 변화로 유무선 네트워크의 사용량이 크게 변경됐다. 트래픽 증가의 가장 큰 부분은 유선 주거형 네트워크에서 발행했으며, 20~100%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많은 통신 사업자들도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것을 경험했다. 에릭슨 컨슈머 랩(Ericsson Consumer Lab)이 실시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11개국 응답자의 83%가 ICT가 이동 제한에 대처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이 결과는 소비자가 커넥티비티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된 e- 러닝 및 웰빙 앱과 같은 ICT 서비스의 채택 및 사용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57%의 응답자는 자산 안전성을 위해 저축하겠다고 답한 반면, 3분의 1은 다가올 2차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5G와 가정 내 더 빠른 광대역 네트워크 서비스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