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22(토)
 

전경련 "기업들 규제개혁 체감도, 작년보다도 하락" ì „경련  

정부의 규제 샌드박스(유예)와 규제자유특구 활성화 등의 노력에도 기업의 규제 개혁 체감도는 작년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해 기업 500곳(대기업 250곳, 중소기업 250곳)을 상대로 규제개혁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올해 규제개혁 체감 지수는 93.8로 작년(94.1)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규제개혁 체감도는 100을 기준치로 해 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만족, 100 미만이면 불만족, 100이면 보통을 의미한다. 93.8은 규제 개혁 성과에 만족하지 않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감도는 2018년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으로 반등해 97.2를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세를 보인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정부의 규제개혁 성과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한 기업(18.4%)은 만족한다고 답한 기업(8.3%)의 2.2배로 나타났다. '보통'이라고 답한 기업은 전체 응답 기업의 73.3%였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매우 불만족'으로 응답한 비율이 8.2%로, 대기업(3.6%)보다 높았다.

규제개혁 성과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답한 기업 84곳(대기업 35곳, 중소기업 49곳)을 대상으로 이유를 묻자 보이지 않는 규제 해결 미흡(23.8%), 핵심 규제의 개선 미흡(19.0%), 규제 신설·강화(19.0%), 공무원의 규제개혁 마인드 불변(19.0%) 등의 순이었다.

또 규제개혁 체감도 제고를 위해 정부가 최우선으로 개혁해야 할 분야(중복응답)에 대해서는 41.8%가 노동 규제를 꼽았다. 환경·에너지 관련 규제(27.8%), 대기업 규제(26.4%) 등이 뒤를 이었다.

현 정부의 규제개혁 정책 성과에 대한 전망으로는 매우 부정적(5.4%), 부정적(19.6%) 등 부정적인 응답(25.0%)이 매우 긍정적(2.2%), 긍정적(6.8%) 등 긍정적 응답(9.0%)보다 2.8배 많았다.

규제개혁 성과 전망에 부정적인 이유는 경제 민주화 및 반기업 정서 등에 대한 우려(16.8%), 핵심규제 개선 미흡(12.0%) 등으로 조사됐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그동안의 조사 결과 규제개혁 체감도는 대체로 정권 초기에 높다가 이후 하락했다"며 "규제개혁의 추진 동력을 잃지 않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5473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경련 "기업들 규제개혁 체감도, 작년보다도 하락"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