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02(일)

Home > 

실시간 기사

  • CEO Interview , Mr. Lee Seung Soo (CEO / Infineon technologies Korea)
    CEO Interview , Mr. Lee Seung Soo (CEO / Infineon technologies Korea) Interviewer : Alicia Song ( GEBS , Reporter) Interviewee : Mr. Lee Seung Soo (CEO / Infineon technologies Korea) Reporter (Hello Everyone, my name is Alicia Song and I am a reporter for GEBS, a foreign company news station in Korea. I am also the Director of Public Relations at the KOFA. Today, I am honored to be joined with Mr.Lee Seung-Soo, the country manager of the Korean branch of Infineon Technologies) (Hello Mr. Lee, first of all, thank you very much for accepting this interview. I know that Infineon Technologies headquarters is based in Germany and Infineon Technologies Korea’s branch is located in Samseong-dong, Gannamgu, Seoul). Would you please share with us an introduction about Infineon Technologies?) Mr. Lee Seung Soo : In the 2020 fiscal year (ending 30 September), Infineon reported revenue of more than €8.5 billion with a workforce of some 46,700 people worldwide. Following the acquisition of the US company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n April 2020, Infineon is now a global top 10 semiconductor company. We play a key role in shaping a better future – with microelectronics that link the real and the digital world. Our semiconductors enabl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smart mobility, as well as secure, seamless communications in an increasingly connected world. Infineon Technologies Korea is located in Samseong-dong, Gangnam and working around 240 employees. Also we set up the sales office in Daegu to provide qualified support for customers in South area. Major customers are Hyundai Motor group,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and Infineon Korea have ranked No.1 in Automotive semiconductor area. Reporter (Thank you for the introduction. Would you please describe w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D & Culture) and ideal Talent Style of Infineon Technologies Korea is?) Mr. Lee Seung Soo : Infineon Korea respects Korean culture based on IFX head quarter’s structure. All employees are responsible for own work and we place a high value on exchanging necessary feedback each other. There’s a communication format called Leadership dialogue that not only the manager give feedback to the staffs, but the staffs also give feedback to their manager. Infineon Korea is working on a campaign to call nickname instead of Korean title. We will continue this campaign to make more respectful and equal organizational culture. Reporter (Would you please outline the compensation & benefits (C&B) and HR (HRM) system of Infineon Technologies Korea?) Mr. Lee Seung Soo: Infineon Korea provides ‘Flexible spending account’ what employees can use this one like credit card anywhere, anytime. And we are constantly trying to offer the necessary program for employee’s wellness. Infineon Korea operate global HR system stably. Managers have a performance evaluation with each employee frequently and we managing not only evaluation, but also various training program for employee’s development. Reporter (How would you describe the labor-management culture of Infineon Technologies Korea?) Mr. Lee Seung Soo: We have the labor-management council meeting quarterly. Council members from workers are collecting feedbacks regarding all of company life and they put it on the table in labor-management council meeting. All council members discuss new feedbacks and notice the conclusion quarterly. Reporter (Would you be able to inform us of any job position currently available at Infineon Technologies Korea or a position that is scheduled to be available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Mr. Lee Seung Soo: Infineon Korea recruits experienced employee time to time. Please refer to the Infineon website for the details of recruiting. www.infineon.kr Reporter - (As a successful leader and CEO, it would be great if you could share some advice for working mothers who dream of becoming CEOs of foreign companies in the future?) Mr. Lee Seung Soo: Most working mothers should take care of both their family and work. They are used to doing two things same time and they know how to use their time efficiently. To finish the work in time, concentration and sensitivity are required. As such, working mothers have many strengths. I think it’s important to experience various positions in one field if you have a goal to become a CEO. For example, If you’re working as engineer you can try sales position, if you’re working as sales you can try marketing position. Make your unique career focusing on the position what enable to catch the big flow of company’s moving forward. I look forward to meeting many woman CEOs soon. Reporter - (The world economy has been stunned since the Pandemic. Would you please highlight some of the real difficulties that currently surround your company industry as well as the future outlook of the industry?) Mr. Lee Seung Soo: As many people know already Automotive semiconductor supply issue is very serious now days. Semiconductors account for 18% of the total cost of automotive electronics in 2000 but it’s 40% in 2020. The demand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only few foundry companies produce automotive semiconductor because it’s not profitable. It’s expected to continue overeating of automotive semiconductors for a while due to great interest of autonomous driving, electric vehicles and COVID pandemic. To counteract this problem, Infineon is doing the best to find good solutions for our customers. Reporter - (Lastly, as a mentor who contributes so much to his community, please share with us any wisdom you may have for young job seekers) Mr. Lee Seung Soo: We are living in an era of rapid change and COVID pandemic has made it harder to get a job. But the economic is slowly recovering and I believe there are opportunities even though it’s a difficult situation. It’s late if you start preparing when the good opportunity happened. You should decide the direction you want to go and make the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 to match the job you want. If you decide a job you want to do, I’d like to recommend that you get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you want to work as much as you can. It would be helpful that find the company’s management direction, changes in the industry and company’s outlook. Many companies want you if If you can clearly show your potential and your goals to contribute within the company.
    • Animal Rights
    2022-04-11
  • 중소벤처기업부, 정부와 금융기관이 함께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인식 확산에 속도 낸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케이비국민은행(KB국민은행)과 4월 11일에 케이비국민은행(KB국민은행) 신관(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서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11월에 중기부가 마련한 자가진단용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자가진단(체크리스트)’를 반영해 국민은행이 ‘이에스지(ESG) 자가진단 서비스’를 출시했는데,이날 협약으로 양 기관이 운용하는 자가진단 시스템을 연계하고, 각 기관의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지원수단을 연계해 중소기업의 이에스지(ESG) 인식 확산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중소기업의 이에스지(ESG) 인식 확산을 위한 정부와 금융기관의 협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에스지(ESG) 경영 도입 요구가 국내·외 시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 중소기업도 공급망 내에서 이에스지(ESG) 경영을 요구받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중소기업은 이에스지(ESG)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하고, 국내외 이에스지(ESG) 평가지표도 무수히 많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지난 11월에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지원을 위한 민관 합동 지휘본부(컨트롤타워)인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준비 민관협의회‘를 발족하면서,중소기업이 스스로 이에스지(ESG)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이에스지(ESG) 자가진단(체크리스트)을 마련해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등 지원을 확대해왔다. 올해는 업종별·기업특성별(수출·고탄소 등)로 자가진단(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하는 한편, 시중은행 등 민간과의 협업을 보다 강화할 예정으로,국민은행과의 업무협약은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자가진단 서비스가 민간으로 확산되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양 기관에서 제공 중인 자가진단 서비스를 우수 이에스지(ESG) 중소기업 선별에 적극 활용한다. 이에스지(ESG) 자가진단에 참여한 기업 대상으로 기관별 자체 상담(컨설팅) 등 과정을 거쳐 우수기업을 선별한 후 국민은행 및 중진공 지원사업 연계 대상으로 추천한다. 국민은행은 중기부 추천기업이 이에스지(ESG) 대출 전용상품을 이용할 때 추가 금리인하(최대 0.4%p)를 적용한다. 중기부는 국민은행 추천기업을 대상으로 현장실사 등이 포함된 심층 상담(컨설팅)과 이에스지(ESG) 교육을 제공하고, 필요시 정책자금 융자 등을 연계지원한다. 또한, 기관별 축적된 이에스지(ESG) 자가진단 데이터를 공유해 이에스지(ESG) 지표 고도화와 신규 지원 프로그램 개발 등 중소기업 이에스지(ESG)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서 중기부 김희천 중소기업정책관은 “전 세계적인 이에스지(ESG) 확산으로 중소기업이 느끼는 부담은 점차 커지고 있어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라며,“오늘 협약을 계기로 정부와 금융기관 등 민간이 함께 중소기업이 실제 필요로 하는 부분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진공 최학수 혁신성장본부장는 “이에스지(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이에스지(ESG) 경영을 달성하기란 쉽지 않다”며,“국내 선도은행(리딩뱅크)인 국민은행과 함께 이에스지(ESG) 선도기업에 유인책(인센티브)을 제공하고, 이에스지(ESG) 실천 노력기업에 다각도의 정책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중소기업 현장에 이에스지(ESG) 경영이 안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국민은행 정문철 중소기업고객그룹 대표는 “이에스지(ESG) 경영이 중소기업에 쉬운 일이 아닌 만큼, 케이비국민은행(KB국민은행)도 조금이나마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도록 지원방안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NEWS & ISSUE
    • Economy
    2022-04-11
  • 산업통상자원부-삼성전자, 중소기업에 무상 기술개방
    산업통상자원부는 ‘2022년도 산업통상자원부-삼성전자 기술나눔’ 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의 신청을 4월 11일부터 5월 13일까지 접수한다. 기술나눔은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 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미활용 기술을 중소기업에게 무상으로 이전해 주는 사업이다. 2013년부터 삼성전자를 포함한 25개 대기업․공기업 등이 기술제공 기관으로 참여하였다. 작년까지 총 1,043개 기업에 2,402건의 기술이 이전되었고, 최근 기술나눔 건수와 이전기업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올해 기술나눔에서 삼성전자는 모바일기기, 통신·네트워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7개 분야에서 총 276건의 기술을 공개한다. 이번에 기술을 무상으로 개방하는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매년 기술나눔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술을 이전받은 중소기업들은 이 기술을 활용해 혁신제품 개발에 성공하는 등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의 우수 모델로 거듭나고 있다. [기술나눔 사례A : IoT 자동심장충격기(AED) 생산] A사는 자동심장충격기(AED) 생산기업으로 AED에 IoT기술 적용방안을 고민하던 중, 삼성전자로부터 기술나눔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의 서비스 공유” 기술을 무상으로 이전받았다. 이를 통해 세계 최초로 loT 기반 AED 통합 모니터링 장치를 개발하여 우수혁신제품으로 지정되었고, 200대 이상 판매하였다. [기술나눔 사례B : 스마트 원격제어·결제장치 생산] B사는 보안기술을 활용한 원격제어·결제 장치 생산기업으로 삼성전자로부터 기술나눔을 통해 “OTP 기반 보안인증(블루투스 스마트키)“ 기술을 무상 이전받았다. 이를 통해 OTP를 보안기술로 적용한 스마트폰 제어 똑똑 우편함을 개발하여 LH, 인천도시공사 등에 납품하였다. 기술 나눔을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누리집에 게시된 사업공고에 따라 5월 13일까지 이메일 제출로 신청할 수 있으며, 심의위원회 평가를 통해 기술이전이 확정되면 무상으로 특허권 등을 이전받을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노건기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세계적인 기업인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여 우리 중소기업이 혁신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금년 중 한국전력, 포스코, SK그룹 등이 참여하는 기술나눔도 추가로 추진할 게획이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2022-04-11
  • 대기업·공공기관과 함께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도입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주관기관(대기업, 공공기관 등)’은 지난 1월부터 이미 모집하고 있었으며(6월말까지 수시모집), 1차로 삼성(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엘지전자(LG전자),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케이디엔(한전KDN), 한전케이피에스(한전KPS), 부산항만공사 등 6개 기관의 참여가 확정됐다. 한편, ‘도입기업’ 모집은 주관기관별 계획에 따라 각각 진행되며, 삼성과 엘지(LG)전자가 4월 11일(월)부터 모집을 시작하고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케이디엔(한전KDN), 한전케이피에스(한전KPS), 부산항만공사 등 나머지 4개 기관도 순차적으로 모집한다. 해당 사업의 지원방식은 정부와 주관기관의 지원 비율에 따라 크게 ▲유형1(기초, 고도화1, 고도화2)과 ▲유형2(소기업전용)로 나눠진다. 유형1은 정부지원금 비율이 최대 30%, 민간부담금(주관기관+도입기업)의 비율은 최소 70%이며, 정부지원금은 고도화 단계에 따라 기초 4.2천만원, 고도화1 1.2억원, 고도화2 2.4억원을 상한액으로 지원한다. 민간부담금은 구체적으로 대기업 등 주관기관이 30%이상 부담하고 도입기업은 최대 40%만 부담하게 되어, 도입기업은 비교적 적은 부담으로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유형2는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자 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기초단계의 소액지원(최대 2천만원) 사업이다. 정부와 주관기관이 각각 50%씩(각각 최대 1천만원) 부담해 도입기업은 별도의 구축비 부담 없이 간이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다. ‘21년에는 삼성, 현대자동차그룹, 엘에스일렉트릭(LS일렉트릭), 포스코 등 대기업 9개사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서부발전 등 23개의 공공기관이 참여해 총 270억원 출연금으로 약 1천개사에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그 결과, 제조현장의 생산성과 품질은 개선되고 반대로 원가는 절감되는 등 중소기업의 제조경쟁력이 향상됐으며, 덩달아 고용과 매출이 증가하고 산업재해는 줄어드는 성과도 거뒀다.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도입을 희망하는 기업은 원하는 주관기관에 따른 일정에 맞춰 스마트공장 1번가(1st.smart-factory.kr)로 신청하면 되고(주관기관별 모집기간은 아래 참고), 해당 사업에 참여 시 유의사항, 세부적인 지원사항 등에 대한 문의는 아래의 연락처*를 통해 가능하다. 아울러, 주관기관은 오는 6월까지 지속 모집할 예정이며, 이후 추가된 주관기관들의 지원을 받을 도입기업도 계속 모집해서 올해에는 총 1천개사 이상의 중소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 NEWS & ISSUE
    • Economy
    2022-04-1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