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25(화)

Home > 

실시간 기사

  • 속보N.K. to redeploy troops to Kaesong, Mount Kumgang areas, rejects Seoul's offer for envoys
    N.K. to redeploy troops to Kaesong, Mount Kumgang areas, rejects Seoul's offer for envoys SEOUL, June 17 (Yonhap) -- North Korea said Wednesday it has rejected South Korea's offer to send special envoys and will redeploy troops to two inter-Korean business zones near the border, unrelentingly ratcheting up tensions a day after blowing up a joint liaison office. The North's disclosure of its rejection of the special envoy proposal shows the regime has no intention to defuse tensions through dialogue and will carry out a series of measures it has threatened to take in anger over propaganda leaflets criticizing its leader. The sister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lso issued a harshly worded statement lambasting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for failing to apologize for such leafleting and accusing him of "pro-U.S. flunkeyism." The moments of inter-Korean liaison office being destroyed South Korea reacted angrily to the North's moves, with the presidential office Cheong Wa Dae slamming the North Korean leader's sister, Kim Yo-jong, for her "rude" and "senseless" criticism and warning it will no longer tolerate such "indiscreet" words and acts. It also denounced the North's disclosure of its special envoy offer as an "unprecedentedly senseless act." The defense ministry warned that the North will pay the price if it actually takes military action, and the unification ministry expressed "strong regret" over the North's plan to send troops to the joint economic zones. The exchange of threats and warnings marked a new high in tensions, aggravated dramatically by the North's blowing up of an inter-Korean liaison office building Tuesday, and deepened fears that the situation could spiral out of control into accidental clashes. Earlier, the General Staff of the North's Korean People's Army said it will send troops to the now-shuttered inter-Korean industrial complex in its border city of Kaesong and the Mount Kumgang tourist zone on the east coast -- two key symbols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The North also said it will restore guard posts removed from the Demilitarized Zone separating the two sides and resume "all kinds of regular military exercises" near the inter-Korean border in an apparent move to abolish a military tension-reduction deal signed in 2018. "Units of the regiment level and necessary firepower sub-units with defense mission will be deployed in the Mount Kumgang tourist area and the Kaesong Industrial Zone," a spokesperson of the General Staff said in a statement carried by the Korean Central News Agency (KCNA). "Civil police posts that had been withdrawn from the Demilitarized Zone under the north-south agreement in the military field will be set up again to strengthen the guard over the front line," it said. The inter-Korean liaison office in North Korea's border city of Kaesong is blown up by the North on June 16, 2020, in this photo released by the North's official Korean Central News Agency.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Yonhap)
    • Animal Rights
    2020-06-18
  • 록시땅코리아, '코로나19' 극복 의사, 간호사회에 제품 기증
    록시땅코리아, '코로나19' 극복 의사, 간호사회에 제품 기증 대한의사협회, 대구시 간호사회에 '핸드밤' 기증, “어려움 함께 극복하고, 건강한 일상 복귀 기원” ▎서울 여의도 IFC몰의 록시땅 매장에서 포즈를 취한 김진하 지사장. 프랑스 자연주의 브랜드 록시땅이 지난 5월 28일 대구광역시 간호사회에 록시땅 시어 인센티브 핸드밤 3,240개를 기증했다. 록시땅코리아는 지난 2월에도 대한의사협회에 20,000개 핸드밤과 비누를 기증한 바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한 대구지역의 의료진들에게 힘을 보태기로 한 것이다. 록시땅코리아는 물론 록시땅 글로벌 그룹은 코로나19를 함께 이겨내기 위해 의료진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 2월부터 우한과 중국 상하이의 병원 근로자들에게 20,000개 핸드밤과 비누를 기증했으며 프랑스의 의료 종사자들과 보건 당국에 70,000리터의 손세정제를, 파리의 공공병원 근로자들에게 25,000개 비누와 핸드크림을 기증했다. 이어 지난 4월까지 중국과 프랑스, 미국, 대만 등의 록시땅에서도 기부를 진행해 의료진들을 위한 손 소독제, 핸드크림, 휴대용 제품 등 총 100만 개 제품을 기증했다. 4월 30일에는 록시땅이 후원하는 프로방스 열기구를 재활용해 500개의 의료 방호복을 제작해 의료진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5월에는 유럽과 태국, 일본, 러시아, 두바이 등 더욱 많은 국가에 비누와 핸드크림을 기증하며 코로나19를 이겨내는데 힘을 보태고 있다. 록시땅코리아 홍보담당자는 “록시땅코리아는 코로나19의 최전선에서 노력하고 있는 의료진들에게 조금이라도 힘이 될 수 있도록 제품들을 지원했다”며 “어려움을 함께 도우며 극복하고, 모두가 건강한 일상으로 복귀하기를 기원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1970년대 프랑스 프로방스에서 탄생한 이후 현재 전 세계 90여 개 국가에 3,000여 개 매장을 보유한 글로벌 브랜드 록시땅은 브랜드 가치 실현을 위해 국내외에서 자연과 환경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록시땅은 2025년까지 제품 용기를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록시땅의 모든 매장에서 재활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환경 보호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고 있다.
    • NEWS & ISSUE
    • Culture
    2020-06-14
  • 주한미국상의 (AMCHAM) , 포스트 코로나19, 대구시 외국인 투자유치 다시 뛴다.
    포스트 코로나19, 대구시 외국인 투자유치 다시 뛴다. 코로나19로 재편되는 미래산업 선점을 위해 대외 투자유치 활동 재개 주한미국상의 150여개 회원사 대상으로 홍보 및 네트워킹 ▲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이사진 취임식 참가 (제프리존스 전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과 안중곤 대구시 일자리투자국장 대구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춤했던 외국인 투자유치 활동을 재개하기 위해 지난 12일 오후6시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이사진 취임식에 참가해 회원사를 대상으로 대구시 투자유치 홍보와 네트워킹의 시간을 가졌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명예회장인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 제임스 김 AMCHAM 회장을 비롯해 국내에 진출한 미국계 기업 CEO와 임직원들이 대거 참석하는 이번 행사에 대구시는 잠재 투자기업을 발굴하고 대구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홍보부스를 설치·운영했다. 대구시는 최근 몇 년간 외국인 투자유치와 경제 교류를 위해 주한 미국, 독일, 프랑스, 인도, 일본 상공회의소와 투자유치 설명회 및 네트워킹 행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그 결과 이번 이사진 취임식에서도 지방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참가해 AMCHAM 회원사를 대상으로 투자유치 홍보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됐다. 안중곤 대구시 일자리투자국장은 “우리 대구는 전통적인 기계부품산업과 미래산업인 미래형 자동차, 물산업, 헬스케어산업, 서비스산업 분야에 많은 경험과 강점을 가진 도시이다”면서, “최근 전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 휘청일 때 보여준 대구시민과 대구의 저력을 바탕으로 외국인투자 수요를 대구로 끌어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는 1953년 한미 양국의 통상 확대와 무역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국내외 1,300여 회원사에 한국의 기업과 경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종 정책 및 규제에 대한 회원사들의 입장을 한미 양국 정부에 전달하는 등 한국 시장에 대한 미국 기업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외국 경제단체이다.
    • EVENT
    • Other Event
    2020-06-14
  • S. Korea soon to decide whether to extend short-selling ban
    SEOUL, June 11 (Yonhap) -- South Korea has yet to decide whether to lift or extend a temporary short-selling ban, the financial regulator said Thursday. In March, South Korea imposed the six-month ban on stock short selling to cope with a stock market rout triggered by the outbreak of the new coronavirus.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Chairman Eun Sung-soo said the authorities will lift the ban with rules if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Chairman Eun Sung-soo holds a press briefing on financial policy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t the main government complex building in central Seoul on June 11, 2020. (Yonhap) hide caption Eun said in March that the ban on short selling may be lifted before six months when and if the market becomes stabilized. On Thursday, the benchmark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fell 18.91 points, or 0.86 percent, to close at 2,176.78, up sharply from March 19, when the market crashed 8.39 percent to close at a yearly low of 1,457.64 points. It sank below the 1,500 level to hit its lowest point since July 2009. The authorities "will extend" the six-month ban if needed, Eun said in a press briefing, adding that no decision has been made yet on whether to extend the short-selling ban. The latest ban marks the third of its kind in South Korea. The country last prohibited short selling in 2011.
    • NEWS & ISSUE
    • Politics
    2020-06-14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