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31(금)

NEWS & ISSUE
Home >  NEWS & ISSUE

실시간뉴스
  • 에보닉, 슬로바키아에 새로운 시설 준공으로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 혁명 추진
    에보닉, 슬로바키아에 새로운 시설 준공으로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 혁명 추진     세계 최초로 산업용 람노리피드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제조하는 시설퍼스널 케어, 클리닝, 코팅, 동물 영양, 농업 및 기타 여러 응용 분야의 잠재력바이오 솔루션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     에보닉은 슬로바키아의 주요 고객과 함께 새로운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 공장을 공식 준공했다. 세 자릿수 백만 유로 규모의 이 시설은 세계 최초로 산업 규모의 람노리피드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제조한다. 이러한 뛰어난 품질의 지속 가능한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이미 클리닝,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산업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뛰어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에보닉의 CEO인 Christian Kullmann은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솔루션을 만들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주도하는 것을 넘어선다. 시스템적 사고와 고객과의 비전 공유를 기반으로 한 우리의 리더십은 이러한 확장 가능한 조치를 가능하게 했다.”라고 말했다. 에보닉은 람노리피드 생산을 위한 IP 보호 발효 기반 공정을 통해 산업 규모의 바이오 계면활성제 개발을 주도해 왔다. 람노리피드는 생명공학적 공정을 사용하여 재생 가능한 옥수수 공급 원료로 만들어지고 고성능, 무독성, 생분해성의 바이오 계면활성제를 생산한다. 람노리피드는 화석 원료 또는 열대 석유를 기반으로 하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지속 가능한 대안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에보닉은 2030년까지 지속 가능성에 탁월한 이점을 제공하는 차세대 솔루션에 30억 유로 이상을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다양한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하고 있는 바이오 계면활성제 기술 플랫폼이 하나의 예시다. 생명공학에 대한 에보닉의 전문성은 생명과학 부문인 Nutrition & Care 사업부가 주도하고 있다. 이 부서는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혁신적인 바이오 솔루션을 사용하여 폐루프 탄소 시스템을 통해 생물 순환 관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높은 기능성을 유지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고 있다. 바이오 계면활성제 외에도 Nutrition & Care 사업부의 바이오 솔루션에는 생명공학 활성 물질, 세포 배양 솔루션 및 핵산 기반 의약품이 포함된다. 새로운 시설은 에보닉 페르마스, 슬로바키아 Slovenská Ľupča에 위치하고 있다. 현장의 생명공학 역량은 수십 년에 걸쳐 구축되어 최초의 산업 규모 람노리피드 생산 시설이다. 이는 에보닉의 생명공학 확장 및 출시 플랫폼으로서 에보닉 페르마스의 입지를 강화한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31
  • 2023년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 93.1%, 전년 대비 1.6%p 증가
    고용노동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는 5월 31일 각 누리집에 '2023년 기준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직장어린이집 설치 등 의무를 미이행한 25개 사업장의 명단을 공표한다고 밝혔다.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를 이행하는 방법은 ①사업장 단독으로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거나, ②다른 사업장과 공동으로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거나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할 수 없는 사업주가 지역의 어린이집과 ③위탁계약을 맺고 근로자 자녀의 보육비용을 어린이집에 지원(위탁보육)하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 단,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로자 자녀를 위탁보육할 경우는 근로자 자녀의 30% 이상을 대상으로 위탁 보육을 지원해야 의무 이행한 것으로 인정된다. 그 간 코로나19로 인해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를 위탁보육 형태로 이행하는 사업장 중 근로자 자녀의 위탁보육률 30%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시적으로 명단공표 대상에서 제외했으나,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됨에 따라 명단공표 대상으로 결정됐다. 2023년 기준 조사결과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은 93.1%로, 설치 의무 대상 사업장 1,639개소 중 1,120개소가 직장어린이집을 설치하고 406개소가 위탁보육을 통해 총 1,526개소가 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 이행률은 2018년부터 90%를 상회했으며, 이후 매년 점진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2022년 기준 조사 결과에 비해 설치 의무 사업장이 37개소 늘어났음(1,602→1,639개소)에도 불구하고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률은 1.6%p 상승(91.5→93.1%)했다. 직장어린이집명단공표심의위원회는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 사업장(113개소) 중 영유아보육법령에서 정한 명단 공표 제외 사유인 ①직장어린이집 설치 대상이 된 지 1년이 지나지 않은 경우, ②직장어린이집을 설치 중인 경우, ③사업장의 상시근로자의 특성상 보육수요가 없는 경우 등 명단 공표가 필요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해당되는 88개 사업장은 제외하고, 25개 사업장은 명단 공표하는 것으로 심의·결정했다.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미이행으로 명단 공표된 25개 사업장 중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연속 공표된 사업장은 8개소이다. 실태조사에 불응한 사업장도 명단 공표 대상이 되나, 전년도에 이어 실태조사에 응하지 않아 공표되는 사업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를 연속적으로 미이행하는 사업장을 줄이기 위해 명단 공표 항목에 사업주 성명 및 명단공표 누적횟수를 추가함으로써 명단 공표 제도를 강화하는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개정령안을 입법예고 중(~ 5.29.)에 있다. 정부는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113개 사업장을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여 설치 이행 명령, 이행강제금 부과 등 후속 조치를 이어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은 “직장어린이집은 이용 부모의 만족도가 높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강조하며,“명단 공표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여 더 많은 사업장에 직장어린이집이 설치되도록 하고, 일하는 부모의 양육 부담을 줄여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이성희 차관도“미이행 사업장에 대해 설명회·컨설팅을 제공하고, 향후 중소기업·대기업 근로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상생형 직장어린이집을 확충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고용노동부에서는 1회 이상 이행강제금이 부과된 이후에도 직장어린이집 설치 의무 이행 계획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근로복지공단(직장보육지원센터)에서 개별 상담을 실시하여 의무이행을 유도할 계획이다.
    • NEWS & ISSUE
    • Social
    2024-05-30
  • 한·미 디지털헬스(원격의료) 분야 협력
    산업통상자원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국 상무부는 5월 30일 한국시간 오전 8시 「한·미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4년 3월 ’한·미 공급망·산업대화(SCCD, Supply Chain and Commercial Dialogue)‘의 후속 조치로 양국 디지털헬스 및 원격의료 산업에 대한 상호 이해 증진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디지털헬스 산업은 급격한 고령화, 삶의 질 향상 등으로 지속적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 등 분야에서 사업화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한·미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쇼케이스에는 산업부, 미국 상무부, 양국 디지털헬스 유관 협회와 양국의 디지털 헬스 관련 30여 개의 유망 기업이 참여했다. 한국 측은 국내에서 비대면 진료 앱 등 헬스케어 플랫폼 선도기업인 케어랩스와 룰루메딕이, 미국 측은 미(美) 원격의료 1위 기업인 텔라닥(Teladoc),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인 박스터(Baxter)가 주요 사업성과와 향후 계획 등을 발표했고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풍부한 임상 데이터와 높은 정보화 기술 등 디지털헬스 분야에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산업부는 디지털헬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품‧서비스의 상용화 지원, 인재양성 등 정책을 추진중” 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계기로 양국의 디지털헬스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6월에 개최되는 바이오 USA 2024(’24.6.3~6)를 통해 양국의 제약‧의료기기‧소부장 등 바이오 산업의 전방위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30
  • 고용노동부, 2024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미이행 사업장 명단 공표
    고용노동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고용노동부는 동종 업계·사업장 규모 대비 3회 연속 여성고용 비율이 낮고, 사업주의 실질적 개선노력도 미흡하다고 판단된 32개사를 적극적 고용개선 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ffirmative Action) 미이행 사업장’으로 선정하여 5월 29일 명단을 공표했다. 최종 명단공표 대상 32개사는 규모별로 1,000인 이상 6개사, 1,000인 미만 26개사이며, 업종별로는 ‘사업시설 관리 관련업 및 부동산 제외 임대업’ 및 ‘화학공업(의료용 물질 외 기타)’이 각 5개사(15.63%)로 가장 많았고, 중공업(비금속 광물, 금속가공, 기계, 장비)이 4개사(12.50%)로 뒤를 이었다. 명단이 공표된 사업장의 정보는 관보에 게재되고 누리집에 6개월간 게시되는 한편, 조달청 우수조달물품 지정 심사 시 신인도 항목 평가에서 감점을 받는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사업장에서 불합리한 성별 격차를 자율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사업장 사후관리, 컨설팅·코칭서비스 등 다양한 지원을 병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29
  • ‘당뇨 예방·치료’ 등 부당광고, 177건 적발·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일반 식품을 ‘당뇨영양제’, ‘당뇨개선제’, ‘당뇨약’ 등으로 광고하며 판매하는 온라인 게시물 200건을 집중 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177건을 적발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을 요청하고,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최근 당뇨와 혈당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이 당뇨 예방·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등 부당광고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식약처는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특별 점검을 실시했다. 주요 위반 내용은 ▲식품·건강기능식품을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175건, 98.8%) ▲건강기능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1건, 0.6%)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1건, 0.6%)이다. 특히, 이번 점검 결과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잎 추출물 등에 대해 식약처가 인정한 기능성 내용*이 아닌 당뇨 등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인식하게 만드는 부당광고가 다수 적발됐다. 이에 식약처는 소비자에게 온라인 상에서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제품에 표시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와 ‘기능성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허위·과대광고 등 불법행위를 지속 점검하여,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온라인 식품 유통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29
  • 머크사(社), 바이오 산업 핵심 원부자재 아태 생산거점 구축에 4,300억 원 투자
    산업통상자원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산업통상자원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5월 29일 오전 10시, 독일 머크(Merck)사(社)가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내에 총 4,300억 원(3억 유로)를 투자하여 건립을 진행하는 바이오공정 원부자재 생산공장 기공식에 참석했다. 독일 머크사(社)는 1668년 설립되어 350년 이상 헬스케어, 생명과학, 전자산업 등에서 혁신을 주도한 글로벌 선도기업(‘23년 매출 총 210억 유로)으로 1989년 한국에 진출한 이후 현재까지 평택, 안성, 인천 등 총 13곳의 생산․연구시설 등을 운영 중이며 총 1,730명을 고용하고 있다. 산업부·대전시·머크사(社)는 작년 5월 바이오공정 원부자재 생산시설 투자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으며, 산업부와 대전시의 지속적인 투자애로 해소 노력과 밀착 지원을 통해 오늘 머크사(社)의 신규공장 착공에 이르게 됐다. 머크사(社)는 동 공장이 준공되는 2026년부터 건식분말 세포배양배지 등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부자재를 국내 수요기업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소재 바이오 의약품 제조기업에 공급할 예정이며, 향후 대전 지역에서 300명 이상의 신규인력을 고용할 계획이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머크사(社)의 투자는 바이오공정 원부자재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망 확보와 수출 확대뿐만 아니라, 비수도권인 대전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정부는 머크를 포함한 글로벌 첨단기업들이 더 많이 투자할 수 있도록 우수한 투자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4-05-29

실시간 NEWS & ISSUE 기사

  • DHL, 2020 Gartner 매직 쿼드런트 전 세계 3자 물류 부분 선두업체로 선정
    DHL, 2020 Gartner 매직 쿼드런트 전 세계 3자 물류 부분 선두업체로 선정
    • NEWS & ISSUE
    • Social
    2020-07-02
  • A Model for Smart Factories in the Age of New Normal: Schneider Electric Unveiled Smart Factory in Iksan, South Korea
    A Model for Smart Factories in the Age of New Normal: Schneider Electric Unveiled Smart Factory in Iksan, South Korea Innovation Hub and Control Tower at Iksan Smart Factory of Schneider Electric Korea Schneider Electric Korea (Korea branch Country President Kyung Rog Kim), the leader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nergy management and automation unveiled the ‘Iksan Smart Factory’ located in Iksan, Jeollabuk-do, providing an exemplary model for smart factories in the age of new normal. Kyung Rog Kim, President at Schneider Electric Korea, Taiwan & Mongolia, and other executives attended the opening ceremony for the Iksan Smart Factory, celebrating with cake cutting ceremony and sharing words of encouragement. Afterward, they accompanied Chang-Keun Lee, Director of the Iksan factory, to look at the results achieved from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solutions. The results included increased energy savings and production efficiency. They looked around the factory and joined the tour of the Innovation Hub, taking the time to give a demonstration on the various smart factory solutions and digital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demo booths. The Iksan factory of Schneider Electric Korea has been a conventional labor-intensive production factory that produced one of the power products, EOCR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over the last three decades. It has been newly transformed to the smart factory with the comprehensive end-to-end solutions based on its integrated architecture platform called EcoStruxure™. ‘EcoStruxure for Industry’ is IIoT-enabled, open and interoperable system architecture for plants and machines. The IoT-enabled architecture delivers safety, reliability,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connectivity for its users. Using the EcoStruxure core leverages a wide range of technologies in IoT. This includes mobility, sensing, cloud, analytics, and cybersecurity. Together they deliver innovation for connected products, Edge Control, and Apps, Analytics & Services. The technologies that have been applied to the Iksan Smart Factory support both energy management and automation. It is also a space that the solutions are implemented for remote control, augmented reality (AR), predictive maintenance, and security solutions, which are all suitable for the domestic production market. In addition to the ‘EcoStruxure Power Monitoring Expert’, which is an integrated energ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it is noteworthy that the factory includes a ‘control tower’ based on AVEVA InduSoft System, which us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MES) to show data about human resources, product quality, energy efficiency, production level, and other indices related to factory management. It also includes a 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a monitoring system by EcoStruxure Augmented Operator Advisor using a pad. Using the EcoStruxure Augmented Operator Advis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nitor and inspect the operation of various equipment and facilities, without having to manually operate the complicated machines or open up the panel directly. Therefore, predictive maintenance can be done more easily and safely without pausing the machines. Furthermore, it is convenient to view the blueprint of the related mechanical equipment and other technical data on tablet PC or other smart devices. Also, to showcase the latest model that would serve as a model for the Korean smart factory, Schneider Electric built an ‘Innovation Hub’ within the factory. In the control tower within the Hub, the real-time data about work status, human labor hours, product quality, productivity, safety, and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checked through the factory management system. In the various demo booths, visitors can experience devices and operation related to ‘Digital Electric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Solution’, an electric device monitoring solution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a ‘Smart Motor Protection and Information Surveillance Solution’ for motor quality management, maintenance, and predictive maintenance, ‘Modicon M262 Logic Controller’ and the ‘Smart Electrical Equipment Surveillance and Predictive Maintenance Solution’ available for experience. Particularly, smartphones and tablet PCs can be used for remote controlling, cybersecurity, and monitoring experiences. Engineers in the field will be present to answer any questions visitors may have. Kyung Rog Kim, President at Schneider Electric Korea, Taiwan & Mongolia, said “The Iksan Smart Factory is exemplary in both energy management and automation. We expect that it will serve as a leading model for the domestic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and the expansion of a Korean model for smart factories.” He added, “We hope you visit the Iksan factory, which brought to life the vision of a ‘smart factory’ that now has become the core of a new normal, realizing a stable factory operation and remote work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o obtain insights on the innovations of production sites.” The Iksan Factory, first established in 1981, applied a smart factory solution based on systematic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lead to achievements such as △a decrease of product defect rate by 10% or more △a decrease of energy consumption by 5% or more △a decrease of paperwork by 60% or more. In the next three years, it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by 100%. Schneider Electric has a total of 11 smart lighthouse factories around the world. It has six smart factories in the Asian region including Korea, which include the Batam Smart Factory in Indonesia, and factories in Thailand, the Philippines, and Vietnam.
    • NEWS & ISSUE
    • Economy
    2020-07-02
  • 글로벌 MSP 클라우드포씨, 한국 진출… 1일 ‘코리아 론칭데이’ 개최
    글로벌 MSP 클라우드포씨, 한국 진출… 1일 ‘코리아 론칭데이’ 개최 ‘코리아 론칭데이’에서 서피터 클라우드포씨 한국 지사장 겸 글로벌 부사장이 한국 시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클라우드포씨 “한국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돕겠다” 대보정보통신, 하이블럭스(Hiblocks)와 ‘클라우드 MSP 파트너십’ MOU 체결 글로벌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기업(MSP · Manage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포씨(CLOUD4C)가 1일 강남구 신사동 한국지사에서 ‘코리아 론칭데이’를 개최하며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클라우드포씨는 기업 비즈니스 목적에 맞게 맞춤형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전사적 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의 대명사격인 SAP ERP의 프리미엄 클라우드 파트너십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IBM 클라우드 등뿐만 아니라 자체 클라우드를 통해 기업의 클라우드 컨설팅부터 마이그레이션, 구축 및 관리 등 엔드 투 엔드(end to en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 (Fortune)’이 선정한 500대 글로벌 다국적 기업 중 60개사를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세계 25개국에 50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차그룹, MCM(성주그룹) 등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포씨 임직원 숫자는 1만5000명 이상으로 2019년 기준 글로벌 총매출액은 3조1510억원에 달한다. 이날 행사는 해외 지사장 및 글로벌 파트너의 축하 메시지로 꾸며졌으며 서피터 한국 지사장 겸 글로벌 부사장도 직접 클라우드포씨의 한국 시장 전략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외에 대보정보통신, 소셜미디어 큐레이션 플랫폼 하이블럭스(hiblocks), 티지소프트와 각각 ‘클라우드 MSP파트너십’ MOU를 체결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국내 기업 고객 및 파트너 등 100여명이 참석해 클라우드 업계의 전망과 동향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다질 기회를 가졌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참석하지 못한 전 세계 관계자를 위해 실시간 스트리밍도 동시에 진행됐다. 클라우드포씨 창업자이자 회장인 스리다 피나푸레디(Sridhar Pinnapureddy)는 “한국이 동북아 클라우드 시장의 허브가 될 수 있도록 한국에 데이터 센터를 짓고 중국, 일본 등에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며 “특히 한국 정부, 대학과 협업해 ‘CLOUD4C 아카데미 인턴쉽 프로그램’을 만들어 한국의 청년 취업난 및 기업의 전문 IT엔지니어 인력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지사 운영을 총괄하는 서피터 한국 지사장은 “한국 기업이 사업 구조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데 있어 클라우드 도입은 이제 필수”라며 “클라우드포씨가 보유한 글로벌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기업과 공공기관이 4차산업혁명 시대 승자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7-02
  • ABB completes divestment of Power Grids to Hitachi
    ABB completes divestment of Power Grids to Hitachi ABB today reached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e company’s transformation towards a decentralized global technology company, with the completion of the divestment of 80.1 percent of its Power Grids business to Hitachi, as planned. The divestment allows ABB to focus on key market trends and customer needs such as the electrification of transport and industry, automated manufacturing, digital solutions and increased sustainable productivity. “Today’s announcement mark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ABB. Since announcing our intention to divest Power Grids to Hitachi, ABB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becoming a more customer-focused and simplified organization. We believe Hitachi is the best owner for Power Grids and its next stage of development, building on the solid foundation achieved under ABB’s previous ownership,” said Peter Voser,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ABB. “ABB remains committed to using net cash proceeds from the transaction for a share buyback program. Our goal is to execute this in an efficient and responsible way, taking account of the prevailing circumstances.” Consistent with ABB’s capital structure optimization program, ABB plans to return to shareholders net cash proceeds of $7.6-7.8 billion from the sale of Power Grids. ABB initially intends to launch a share buyback program of 10 percent[1] of the company’s issued share capital shortly after the release of its second quarter 2020 financial results. This represents about 180 million shares, when excluding treasury shares. The share buyback program will be executed on a second trading line on the SIX Swiss Exchange and is planned to run until the company’s Annual General Meeting (AGM) on March 25, 2021. At the AGM, ABB intends to request shareholder approval to cancel the shares purchased through this program and to announce further details on its ongoing capital structure optimization program. ABB aims to maintain its “single A” credit rating. “With the divestment, ABB is well positioned for the future with a strong focus on industrial customers. Leveraging our technology leadership and passion for innovation, we will now focus on creating superior value for our customers, employees and shareholders. We will do this by evolving our decentralized business model, strengthening our performance management culture and driving active portfolio management,” said Björn Rosengren, ABB CEO. ABB is a long-term partner of Hitachi and will initially retain a 19.9 percent equity stake in the joint venture that will operate as Hitachi ABB Power Grids and be headquartered in Switzerland. The joint venture is a global leader in power systems, with annualized revenues of approximately $10 billion and roughly 36,000 employees, serving customers in over 90 countries.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joint venture includes Timo Ihamuotila, Chief Financial Officer of ABB, and Frank Duggan, former member of ABB’s Executive Committee. Hitachi ABB Power Grids will be led by Claudio Facchin as CEO. The transaction terms with Hitachi remain as announced on December 17, 2018, with an enterprise value of $11 billion for 100 percent of the business. ABB has a pre-defined option to exit the retained 19.9 percent shareholding three years after closing.
    • NEWS & ISSUE
    • Economy
    2020-07-0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