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민·관 R&D 혁신포럼’ 개최, 민·관 연구개발 협력방안 논의
탄소중립, 첨단바이오 등 5개 분야 민·관 연구개발 협력 수요 공유
기술패권경쟁에 따른 블록화, 글로벌 경기 침체 등으로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돌파구 마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가운데, 정부연구개발 투자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80%를 차지하는 민간과의 상호협력 및 역할분담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식하에 과기정통부는 민·관 연구개발 협력을 위해 2021년부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함께 ‘산업별 민간R&D협의체’를 지원해 오고 있다. 그간 많은 기업들이 국가적 이슈 등과 연계되어 정부 회의체에 참여해 왔으나 ‘산업별 민간R&D협의체’는 정부 주도의 단발성 협업체계가 아닌 민간이 주도하는 상시적 민·관 협력 네트워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는 기업의 수요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협의체 내 SMR, 로봇 분과를 신설했으며, 이 날 혁신포럼에서 발표된 협의체 분야별 전략보고서에는 그간 170여개 기업의 기술임원들과 실무진들이 70회 이상의 회의를 통해 발굴한 기술수요 및 정책·제도 개선 의견 등이 담겨 있다.
분야별 전략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❶ 탄소중립 협의체에서는 전년에 이어 산업공정 혁신을 위한 수소환원제철기술, 철강슬래그 등 공정부산물 활용 기술 및 CCUS 관련 핵심 기술수요 등을 발굴했고, 신설된 SMR 분과에서는 민간과의 협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SMR 설계·제조·검증·활용 단계별로 핵심 기술수요를 제시했다.
❷ 신재생에너지 협의체에서는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개발, 초대형 해상풍력 기술개발, 글로벌 수소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청정수소 기술개발, 액체수소 생산·저장·공급 관련 핵심기술 수요 등을 도출했으며, 성과 검증 등을 위한 공동 실증 인프라 구축 지원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❸ 미래모빌리티 협의체에서는 자율주행 반도체·센서, SDV 응용 솔루션 개발, 버티포트 통합 운용 시스템 개발 등 자율주행 차량 및 도심항공교통(UAM)의 핵심부품·서비스 기술수요를 발굴하고, 정부가 관련 정책·제도 개선 및 국제협력·인력양성을 적극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❹ 첨단바이오 협의체에서는 AI 기술과의 접목을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과 CAR-T 치료제, 원형 mRNA 기술개발 등 차세대 모달리티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디지털 헬스케어 H/W, S/W,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플랫폼 개발의 중요성 등을 다루었다.
❺ 디지털전환 협의체 AI 분과에서는 데이터-모델링, 플랫폼-인프라, 서비스 분야 기술 역량 강화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세부 기술수요를 제시했으며, 로봇 분과에서는 시장 창출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HW/SW/인프라 측면에서의 추진과제를 도출했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이 날 혁신포럼에서 발표된 전략보고서의 내용들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수립,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전략보고서는 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국토부, 중기부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부처에 전달되어 신규 연구개발사업 기획 등에 반영될 예정이며, ’24년 정부 예산안에도 협의체의 기술수요를 반영한 신규 사업 예산 916억원이 반영된 바 있다.
한편, 이번 혁신포럼에서는 국가적 임무인 국가전략기술 확보와 탄소중립 실현을 본격 지원하기 위한 분야별 전략 로드맵에 대한 발표를 통해 연구개발 관련 민·관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다.
구자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은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쳐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온 힘을 쏟아야 한다”며, “민간R&D협의체가 민·관 연구개발 협력의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산기협은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윤석열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는 민간과 시장에서 투자하기 어려운 기초·원천연구와 차세대 기술 육성에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민간 연구개발 투자의 마중물 제공을 통해 민·관 연구개발 투자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