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5(금)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NEWS & ISSUE 검색결과

  • 中 시 주석, 또 럼 서기장과 회담..."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건설 심화하자"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하노이=신화통신) 시진핑(習近平)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국가주석이 14일 오후(현지시간) 하노이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을 가졌다. 시 주석은 이번 베트남 국빈 방문을 통해 또 럼 서기장과 첫 상호 방문을 실현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구축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 글로벌화의 수혜자인 중국과 베트남 모두 전략적 정력(定力)을 강화하고 일방적인 패릉(霸凌⋅전횡을 부림) 행위를 공동으로 반대하며 글로벌 자유무역 체제와 산업·공급사슬의 안정을 함께 수호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건설을 심화하기 위한 여섯 가지 조치를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하나, 더 높은 수준의 전략적 상호 신뢰를 증진한다. 양당과 양국 지도자는 친척처럼 자주 왕래하고 많이 소통해야 한다. 양측은 당, 입법기관, 정치협상 조직 등 채널의 역할을 잘 발휘하고 치국이정(治國理政) 경험 교류를 심화하며 국가 현대화 추진에 대한 당의 영도 수준을 높여야 한다. 둘, 보다 견고한 안보 장벽을 구축한다. 양국의 외교·국방·공안 '3+3' 전략 대화 메커니즘을 장관급으로 확정해 전략적 협력을 증진한다. 국방업무와 법 집행 안보 협력 메커니즘의 역할을 잘 발휘해 인터넷 도박, 보이스피싱 등 크로스보더 범죄를 단호히 단속한다. 양자 및 다자, 특히 란메이(瀾湄, 란창강·메콩강) 협력 틀 내에서 법 집행·사법 협력을 강화해 인민의 생명과 재산 안전 및 지역 안보와 안정을 수호해 나가야 한다. 셋, 고품질의 호리협력을 확대한다. 양측 간 표준궤 철도, 고속도로, 스마트 통상구의 전면 연결을 조속히 실현한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중국의 초대규모 시장은 항상 베트남에 열려 있으며 더 많은 베트남 우수 제품의 대(對)중 수출을 환영한다. 중국 측은 자국 기업들이 베트남에 투자하도록 장려하며 베트남 측이 더욱 공정하고 우호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해주길 바란다. 넷, 보다 광범위한 민의(民意) 유대를 공고히 한다. 올해 '중국-베트남 인문교류의 해'를 계기로 더 많은 우호 행사를 개최하고 관광, 문화, 미디어, 보건 등 협력을 심화한다. 다섯째, 더 긴밀한 다자간 협력을 전개한다. 제2차 세계대전 승리의 성과를 공동으로 수호하고 유엔(UN)을 핵심으로 하는 국제체계와 국제법에 기초한 국제질서를 확고히 지킨다. 평등하고 질서 있는 세계 다극화와 보혜∙포용의 경제 글로벌화를 추진하고 3대 글로벌 이니셔티브 틀 내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중국은 '친성혜용(親誠惠容∙친하게 지내고 성의를 다하며 혜택을 나누고 포용하다)'의 이념과 '여린위선 이린위반(與隣爲善 以隣爲伴·이웃과 선하게 지내고 이웃을 동반자로 삼는다)'의 원칙을 견지하며 주변 국가와의 우호 협력을 심화시켜 중국식 현대화의 성과가 주변에 더 많은 혜택을 줄 것이다. 여섯째, 보다 긍정적인 해상 상호 작용을 실현한다. 양국 지도자의 합의를 실천에 옮기고 해상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며 해상 협력을 확대하며 결단을 내려 공동 개발을 개시하고 조속히 '남중국해 행동준칙(COC)'을 달성하도록 추진한다. 또 럼 서기장은 양국 수교 75주년을 맞아 시 총서기, 국가주석의 베트남 국빈 방문을 열렬히 환영했다. 그는 이번 방문이 양당과 양국의 우호 교류 역사상 새로운 이정표가 되고, 양국의 전략적 의미를 지닌 운명공동체 건설이 새로운 진전을 이루도록 밀어줄 것이라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베트남과 중국은 모두 공산당이 영도하는 사회주의 국가로, 대중 관계 발전은 베트남의 객관적인 요구이자 전략적 선택이며 최우선이다. 베트남 측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확고히 준수하며 중국의 통일 대업 실현을 지지하고 어떠한 '타이완 독립' 분열 행위도 단호히 반대한다. 베트남과 중국 간 관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것은 양국 인민의 근본 이익에 부합하며 시대의 흐름에 부합한다. 베트남 측은 중국 측과 양당·양국 고위급 교류를 긴밀히 하고 치국이정 경험 교류를 강화하며 전략적 안보 협력을 증진하고 정치적 상호 신뢰를 지속적으로 공고히 할 것을 기대한다. 양자 협력 수준을 높이고 더 많은 경제무역, 과학기술, 인프라, 환경보호 등 분야의 협력 하이라이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인문 교류를 촉진하고 지방 및 청년 교류를 촉진하며 관광 협력을 강화하고 인민의 이해와 친밀감 증진을 기대한다. 베트남 측은 중국 측과의 조정과 협력을 강화하고 다자주의를 견지하며 '평화공존 5원칙'을 고수하고 국제무역 규칙을 수호하고 양측이 서명한 합의서를 준수하며 세계 평화와 인류 진보를 촉진하는 데 더 큰 기여를 하고자 한다. 베트남 측은 중국 측과 해상 이견을 적절히 처리하고 해상 안정을 수호하고자 한다. 한편 양측은 '중화인민공화국-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전면적 전략 협력 동반자 관계 지속 심화 및 전략적 의미를 지닌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구축 가속화에 관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4-15
  • OPEC, 올해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전망치 하향 조정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빈=신화통신)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14일(현지시간) 월간 원유시장 보고서를 통해 올해와 내년 세계 석유 수요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영향을 반영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OPEC은 올해 세계 하루 평균 석유 수요의 전년 대비 증가량 예측치를 145만 배럴에서 130만 배럴로 낮췄다. 조정 후 연간 하루 평균 석유 수요는 약 1억510만 배럴로 전망된다. 그밖에 2026년 세계 하루 평균 석유 수요의 전년 대비 증가량 예측치도 143만 배럴에서 128만 배럴로 하향 조정됐다. 한편 보고서는 비(非)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강력한 항공 여행 수요와 도로 운송 수요 등이 올해 세계 석유 수요를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4-15
  • 中 시진핑 주석, 하노이 도착...베트남 국빈 방문 일정 시작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시진핑(習近平)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국가주석이 14일(현지시간) 하노이에 도착해 베트남 국빈 방문을 시작했다. 이날 오후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시 주석을 위해 성대한 환영식을 거행했다. 시 주석은 공항에서 서면 연설을 통해 다음과 같이 전했다. 올해는 중국-베트남 수교 75주년이 되는 해이자 '중국-베트남 인문교류의 해'로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건설은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맞이했다. 중국 측은 새로운 출발선에 서서 베트남 측과 함께 우호의 초심을 잊지 않고 공동의 사명을 명심하며 시대의 기회를 포착해 더 높은 수준, 더 넓은 범위, 더 깊은 차원의 협력을 전개함으로써 양국 국민에게 더 좋은 행복을 주고 지역 및 세계에 더 많은 혜택을 주고자 한다. 이번 방문을 계기로 베트남 지도자들과 중국-베트남 양당∙양국 관계의 전반적∙전략적∙방향적 문제와 공동 관심사인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하고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건설의 새로운 청사진을 함께 그려나가고자 한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4-15
  • 산업통상자원부·주한인도대사관 공동 주최 '한-인도 공동 성장 인사이트 포럼' 열려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주한인도대사관과 공동으로 4월 4일 주한인도대사관저에서'한-인도 인사이트 포럼'을 개최하고, 양국 간 경제통상 분야의 전략적 협력 강화 방안을 심층 논의했다. 양국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한 이번 포럼은 공급망 재편, 기술 경쟁 심화, 글로벌 공급과잉, 관세 조치 강화 등에 따른 국제 통상질서의 구조적 전환이 심화되는 가운데, 양국 간 협력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한국과 인도가 특별 전략적 파트너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상호 교역 및 투자 확대는 물론, 개발 협력, 디지털 전환, 첨단 제조, 인프라, 청정 에너지, 인적자원 이동 등 미래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실질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철 통상협력국장은“양국은 그간 협력 잠재력에 비해 성과가 제한적인 측면이 있었지만, 올해는 인도 정부와 협력하여 기존 협력의 틀을 재정비하고 실질적인 협력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아밋 쿠마르 주한인도대사는“양국의 경제 구조, 성장 잠재력, 전략적 이익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양자협력 강화”를 제안했다. 올해는 한국과 인도가‘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한지 10주년이 되는 해로, 양국 정부는 앞으로 다양한 협력 분야에서 정책적 소통 및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4-04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