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 칼럼] ESG 경영, 소비자의 인식 수준을 높이자.

입력 : 2023.02.09 00:04
이메일 글자확대 글자축소 스크랩

 


다운로드1.jpg


[김진규 칼럼] ESG 경영, 소비자의 인식 수준을 높이자.


2022년 10월 19일 KPMG에서 발간한 지속가능성 공시 분석 보고서(KPMG Survey of Sustainability Reporting 2022)에 따르면 포춘(Fortune)이 선정한 상위 매출 250대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시율은 96%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지속가능성 보고를 공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중 아이슬란드의 지속가능성 공시율이 가장 많이 늘었으며, 뒤를 이어 한국과 아랍에미리트가 각각 22% 포인트 증가했다. 현재 한국의 지속가능성 공시율은 2020년 78%에서 2022년 99%로 대폭 상승했다. 2021년 파리기후협약 발효에 따라 신(新)기후체제가 본격 시작되면서 전 세계 각국은 환경 관련 규제 이행에 대한 압박이 현실화 되었다. 

 

특히 코로나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환경, 사회에 관심이 크게 늘었으며(Schiller, Tönsing, Kleinert, Boehm, & Heinrichs, 2022), 이는 글로벌 ESG 펀드 투자 규모와 자산에 영향을 미쳤다(Lööf, Sahamkhadam, & Stephan, 2022). 또한 지속 가능한 투자는 ESG 정보를 상장 기업 및 대규모 사업에 대한 투자 결정에 통합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개발에 기여했다(Busch, Bauer, & Orlitzky, 2016).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필수 경영전략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ESG는 기업이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재무적 요소와 함께 고려해야 하는 환경적, 사회적 및 지배구조 관점의 비재무적 요소를 의미한다(Koh, Burnasheva, & Suh, 2022). 

 

기업의 지속가능한 투자는 수익을 개선하고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장기적 관점의 ESG 경영을 도입하게 된 동기가 되었으며,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하려는 동기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Brooks & Oikonomou, 2018; Camilleri, 2021). 글로벌 기업은 지난 20년 동안 지속 가능한 투자에 관심이 높아졌고,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비재무 정보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Tsang & Cao, 2022).


삼성, SK, LG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서는 탄소배출 저감, 화석연료 사용 금지, 신재생에너지 개발 등 지속가능성의 핵심지표인 ESG 경영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해관계자 이론에 따르면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주, 고객, 직원, 노동조합, 공급업체, 지역사회, 정치 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위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Freeman, 1984). 

 

이는 기업이 ESG 경영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신뢰와 명성을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긍정적 행동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Koh, Burnasheva, & Suh, 2022). BSC 경영전략 관점에 따르면, 기업이 재무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객만족이 필수 요소이다. 고객은 기업의 중요한 이해관계자 중 하나이며, 기업의 ESG 경영은 기업에 대한 고객의 평가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Kwak & Cha, 2022).


기업은 고객과의 정보 비대칭을 극복하고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ESG 성과를 공개하고 있다(Koh, Burnasheva, & Suh, 2022; Lee, Raschke, & Krishen, 2022).  ESG 성과를 공개하는 것은 소비자의 ESG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른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저비용 항공사(LCC)의 ESG 경영 중, 사회(S)활동과 지배구조(G)에 대한 인식은 LCC의 긍정적 기업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기업이미지가 신뢰 그리고 재이용 의도도 높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Hwang & Lee, 2022). 

 

또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뢰는 브랜드 이미지와 지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ae, Lee, & Luan, 2023), 기업의 환경경영 성과는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적 기업평판으로 이어지고, 이는 재무 성과로 나타났다(Cheng, Sharma, & Broadstock, 2023). 


이처럼 기업의 ESG경영 활동은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 홈페이지,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소셜 미디어, 광고 등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ESG경영 활동의 인식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겠다. 



김진규_증명사진-_용량줄임1-removebg-preview.png

 세종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지속가능(ESG)경영전공 박사수료 김진규

• 하림그룹 (주)선진 Talent Communication Team 팀장

• 주한외국기업 인사관리협회(KOFEN HR) 사무총장


- Bae, G. K., Lee, S. M., & Luan, B. K. (2023). The Impact of ESG on Brand Trust and Word of Mouth in Food and Beverage Companies: Focusing on Jeju Island Tourists. Sustainability, 15(3), 2348.

- Busch, T., Bauer, R., & Orlitzky, M. (2016). Sustainable development and financial markets: Old paths and new avenues. Business & Society, 55(3), 303-329.

- Brooks, C., & Oikonomou, I. (2018).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disclosures and performance on firm valu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accounting and finance. The British Accounting Review, 50(1), 1-15.

- Camilleri, M. A. (2021). The market for socially responsible investing: A review of the developments.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17(3), 412-428.

- Cheng, L. T., Sharma, P., & Broadstock, D. C. (2023). Interactive effects of brand reputation and ESG on green bond issues: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32(1), 570-586.

- Freeman, R. E. (2010). Strategic management: A stakeholder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wang, Y. S., & Lee, Y. K. (2022). The Effects of Low Cost Carriers’ ESG Management on Corporate Image,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Korea CEO Association, 25(4), 59-73.

- Koh, H. K., Burnasheva, R., & Suh, Y. G. (2022). Perceived ESG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and consumers’ responses: The mediating role of brand credibility,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Sustainability, 14(8), 4515.

- Kwak, M. K., & Cha, S. S. (2022). Can Coffee Shops That Have Become the Red Ocean Win with ESG?.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20(3), 83-93.

- Lee, M. T., Raschke, R. L., & Krishen, A. S. (2022). Signaling green! firm ESG signals in an interconnected environment that promote brand valu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38, 1-11.

- Lööf, H., Sahamkhadam, M., & Stephan, A. (2022). I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vesting a free lunch?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tail risk, and upside potential of stock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crisis. Finance Research Letters, 46, 102499.

- Schiller, B., Tönsing, D., Kleinert, T., Boehm, R., & Heinrichs, M. (2022).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nationwide lockdown on mental health, environmental concern, and prejudice against other social groups. Environment and Behavior, 54(2), 516-537.

서현도 기자 sksksk5966@gmail.com
©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 gen.or.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1

15963
양재영
김팀장님. 잘 읽었습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2회나 작성하고 거래선에 공지한 경험으로는 소비자나 소비기업은 우리를 매우 신뢰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매우 공감합니다.
1
0

많이 본 기사

  1. 1고용노동부, 임시 대표 누리집(홈페이지) 서비스 개시
  2. 2김민석 총리, “건설근로자의 일자리와 안전을 위해 최선 다할 것”
  3. 3광화문 수놓은 K-문화의 향연…‘2025 종로K축제’ 개막
  4. 4서울시, SLW 2025로 사람 중심 AI 도시의 길을 열다
  5. 5서울시, 노후 건축물도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 등록 가능해져…제도 개선 위한 서울시 건의 결실
  6. 6김민석 총리, 경주에서 APEC 종합 점검회의 주재 및경제인 행사 준비현장 점검
  7. 7중소벤처기업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발표
  8. 8산업부, EU(유럽연합) 철강 TRQ(관세할당) 도입에 총력 대응
  9. 9이재명 대통령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 방문
  10. 10이재명 대통령, K-게임 현장 간담회 개최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진규 칼럼] ESG 경영, 소비자의 인식 수준을 높이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